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7가지 멀티미디어 기능을 만끽하라

        박남수,Park, Nam-Su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5 디지털콘텐츠 Vol.4 No.-

        지난 해‘PMP 열풍’으로 디지털 컨버전스라는 개념이 일반인의 머리 속에 깊이 자리 잡았다. 디지털 컨버전스하면 단연 휴대폰일 것이다. 휴대폰은 어떤 모바일 기기보다 기능이 많다. 현재 이러한 휴대폰의 인기에 편승해 휴대폰 형태로 디자인 된 MP3 플레이어와 디지털카메라가 속속 시장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웨이키안 DV-6500은 폴더 타입 휴대폰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에 7가지 멀티미디어 기능을 담은 최근 경향에 충실한 제품이다.

      • KCI등재

        일본의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에서의 정치참여 교육

        박남수 ( Park Nam-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에서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정치 참여 교육의 실천 양상을 고찰하고 시사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일본의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에서의 정치참여 교육의 배경과 실태를 알아보고, 실천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에서의 정치참여 교육은 선거권 연령 하향이라는 배경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정치참여 교육은 선거체험 학습과 모의투표 학습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선거와 관련된 지식에 대한 체계적 이해와 실제 상황에서 활용해 보는 과정을 통해 실제 투표행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셋째, 일본의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에서의 정치참여 교육은 발달장애 학생들에게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정치참여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은 다양한 형태와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al aspec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Japan and to obtain suggestions. [Method] For this purpose, the background and actual conditio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at special support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vestigated, and practical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First,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special support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being emphasized in the background of lowering the age of voting rights, and is being conducted premeditatedly and systematically. Second,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consists of learning about election experience and simulated voting, and through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related to election and the process of using it in actual situations, it can lead to actual voting behavior. Third,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Japan's special support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lies tha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ed a planned and systematic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such education needs to be carried out through various forms and methods.

      • KCI등재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

        박남수 ( Park Nam-su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은 다양성의 존중과 공존의 실현이라는 다문화교육의 관점보다는 민족이나 전통문화의 파악과 같은 문화적 특수성의 파악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둘째, 교과서는 단일 민족의 이념 및 특정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고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바람직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으로는 첫째,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의 질적 전환을 통해 문화적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민족 혹은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집단의 경험이나 문화유산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해서는 형식보다는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접근과 다문화적 학교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 direc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I analyz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on the view poi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laid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cultural specificity. Therefore it is a necessary to keep a balance between cultural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rough qualitative conversion of curriculum. Second, the textbooks were fostered homogeneous nationalism and prejudice about cultural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eat experience or heritage of cultural groups on various viewpoint.

      • KCI등재

        한문교과 예비교사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모의수업에 대한 요구분석 및 교수- 학습모형 개발 -대학교원, 현직교원, 예비교원의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朴南洙 ( Park Nam-su ),許喆 ( Heo Chul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본 연구는 한문과 예비교원의 교수역량 강화를 모색하고자 모의수업에 대한 교원(대학교원, 중등교원, 예비교원)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교수 - 학습모형안과 표준화된 강의계획안을 도출하였다. 교원의 요구분석 결과, 모의수업에 대한 필요성과 교수역량 증진에 도움이 되는 교과목이라는 인식을 확인하였다. 교원들은 모의수업에 운영에 대한 표준화된 강의 계획안과 교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예비교원의 경우에도 수업의 실제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았으며 모의수업 중 동료피드백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방법 도입의 요구가 확인되었다.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 횟수는 3회 이상으로 확대 운영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교생실습 시행시기에 대해 대학교원은 6학기에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과 달리, 예비교원은 교생실습 이전인 4~5학기에 시행되는 것이 요구분석 결과를 통해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원의 요구사항에 대한 텍스트 분석 결과 모의수업 실습실의 개선 및 설치 요구, 녹화 장비의 필요성이 언급되어 모의수업이 가능한 특화된 강의실 확보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대학교원, 중등교원, 예비교원)의 요구분석의 결과를 통해 모의수업에 대한 교수 - 학습 모형안과 강의계획안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모의수업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한문과 예비교원의 전문성 강화와 교원양성기관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문교원양성과정을 운영 중인 한문과 모의 수업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편의표집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나 혼합연구를 통해 요구분석을 실시한 실증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후속연구로서 모의수업 평가 모형 및 평가도구 개발, 모의수업 교재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효과성 검증 실증연구를 제안한다. In this study,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a standardized syllabu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teachers (University Faculty, middle-high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simulated instruction classes in order to explore the reinforcem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teacher's need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simulated instruction classes and the perception that it is a subject that is helpful in enhancing teaching competency. Teachers mentioned the need for standardized syllabus and textbooks for operation in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 and even in the case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quirements for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 were high, and various evaluation methods that could be improved through peer feedback during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 were introduced request was confirmed. University Faculty was a perception that the number of executions for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es should be expanded to 3 or more. Contrary to the opinion that it is appropriate to operate in the 6th semester for graduate school gradua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t was required to be implemented in the 4th and 5th semesters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for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ext analysis on the requirements of pre-service teachers,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install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classrooms and the need for recording equipment were mentioned, suggesting the need to secure specialized classrooms for mock less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syllabus for simulated instruction classe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needs of teachers (University Faculty, middle-high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and evaluat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simulated instruction class curriculum that is operating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 Since this study was arbitrarily sample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but it has significance as an empirical study that conducted a demand analysis through a mixed study. As a follow-up study, we propose an empirical study to verify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simulated instruction class evaluation model and evaluation tool,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 textbook.

      • KCI등재

        한.일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 비교 :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과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박남수(Park, Nam-Su) 한국일본교육학회 2022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를 비교・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과 일본의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사회과 관련 편제, 사회과의 목표와 내용 구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육과정의 정체성은 대안 교육과정이라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사회과 편성 학교급과 관련 교과 및 교육활동 영역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두 교육과정에서는 사회과의 목표를 사회현상에 대한 인식을 통한 자질 육성에 두고 있으며, 세부 목표를 역량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자질의 특성에서 기본교육과정은 학습자 측면을, 지적장애 교육과정은 국가・사회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두 교육과정에서 사회과의 내용은 전통적인 학문영역을 포함하고, 학교급에 따라 심화・발전되도록 배열하고 있으며, 성취기준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내용의 특성, 배열, 성취기준의 제시 방식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와 같은 이원적 교육과정 개발체제를 유지할 경우, 일반교육과정의 보편성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사회과의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의 편제, 사회과의 성격, 목표, 내용 등에 대해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ocial studie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both Korea and Japan to reve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To this end,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special support school curriculum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Japan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identity of the curriculum, social studies-related organization, and the goals and content composition of the social studies in each count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ties of the two curricular are similar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level in which social studies are differently organized and related subjec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the two curricular are similar, that is, they focus on fostering qualities through awareness of social phenomena and presenting detailed goals centered on competency, but in terms of the quality, the basic curriculum emphasizes learner’s aspect and the intellectual disability curriculum emphasizes national and social aspects. Third, in the two curricular,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are arranged to be deepe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rrangement of contents, and way of pres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the current dual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 is maintained, in-depth discussions are needed on its organization, nature,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a way that can guarantee the identity of the social studies while considering the universality of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specificity of the special curriculum.

      • KCI등재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과학태도, 과학흥미, 만족도 및 과학성취도에 대한 효과성 검증

        박남수 ( Nam Su Park ),김동심 ( Dong Sim Kim ),이은율 ( Eun Yul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2

        박물관은 과거 소장품을 보존 및 전시하는 장소에서 현재 관람객의 교육을 위한 장소로 변모하고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에서 스마트워치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기존의 활동지를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과 성과와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인과학흥미, 과학태도,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A자연사 박물관의 기획전시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7-10세의 참가자 4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전시 관람을 돕는 교육활동 자료로 기존의 활동지와 스마트워치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집단의 과학흥미, 과학태도, 박물관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 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으로는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Cronbach의 α를 구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과학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과학흥미, 박물관교육 만족도와 성취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현재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 및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활동 자료로 활동지, 전시안내 해설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등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스마트워치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이 박물관교육에서 의미 있는 교육 효과를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박물관교육 프로그램의 방법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향후 박물관교육에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시 관람을 돕는 교육자료로 스마트워치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관람객의 학습 성과는 물론 학습역량 강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스마트워치 적용을 위한 실행 방안과 통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Museums are being transformed from the place where past collections were stored and displayed into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visitors. In this study, by conducting comparative study between museum education programs that utilize smartwatch and that utilize previous activity paper. We aimed to verify effectiveness o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s outcomes(science interest, science attitud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We have divided 46 participants ages ranging from 7 to 10 who participated in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of A natural history museu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and proceeded with the programs that utilize both smartwatches and existing activity papers that act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museum exhibition. By this method, we measured the science interest, science attitud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o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of each group. We used SPSS as a research method and measured Cronbach’s alpha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Also,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As a result, whi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science attitude,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ce interest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o the education program. Currently, various museum educational programs are being developed and operated. Also, activity papers, exhibition guide, and mobile applications are being utilized as museum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museum program that utilize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smartwatch can have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in terms of museum education and shows its potential and diversity regarding methods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we suggests that concrete action plans and integrated research in regards to the smartwatch is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 및 영역의 통합지도: 일본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생활단원학습을 중심으로

        박남수(朴南洙)(Nam-Su Park)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 및 영역 통합지도의 한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생활단원학습의 성격과 지도계획 작성 시의 주안점과 고려사항, 의의와 과제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의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과 실천사례,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단원학습은 학생의 생활을 중심으로 자립과 사회참여에 필요한 내용을 실제적이고 종합적으로 학습하는 형태이며, 지도계획은 각 교과의 목표와 내용을 생활상의 목표와 과제를 중심으로 조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활단원학습은 학생의 생활을 중심으로 일련의 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장애학생의 자립과 사회참여 능력 향상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생활단원학습에 대한 정확한 이해, 학생의 주체성을 강조한 지도계획의 수립. 활동의 정형화와 매너리즘에서의 탈피, 개인차를 반영한 수업 설계 및 전개 등의 과제가 제기되고 있다. 셋째, 이러한 결과는 학생의 생활을 중심으로 실제 생활상의 목표나 과제에 주안점을 둔 통합지도의 필요성, 통합지도와 관련한 교육과정 차원의 구체적인 지침의 제시, 생활단원학습의 의의를 살리면서 제기되는 과제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의 필요성, 통합적 지도계획 수립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실천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本研究の目的は、日本の特別支援学校学習指導要領で、教科及び領域の統合指導の一形態として提示している生活単元学習を中心に、その性格、指導計画作成時の主眼点と考慮事項、実践の意義と課題を探索し、韓国における特殊教育教育課程の開発及び実践のための示唆点を得ることである。このため、日本の特別支援学校学習指導要領と実践事例、先行研究を考察した。研究結果は、以下の通りである。第一に、生活単元学習は、学生の生活を中心に自立と社会参加に必要な内容を実際的で、総合的に学習する形態であり、指導計画は、各教科の目標と内容を生活上の目標と課題を中心に組織する必要がある。第二に、生活単元学習は、学生の生活を中心に一連の活動を経験することによって、障害学生の自立と社会参加能力の向上を指向するという点で意義があるが、生活単元学習に対する正確な理解、学生の主体性を強調した指導計画の樹立、活動の定型化やマンネリズムからの脱却、個人差を反映した授業設計や展開などの課題が提起されている。第三に、このような結果は、学生の生活を中心に実生活上の目標と課題中心の統合指導の必要性、教育課程に統合的指導に関する具体的な指針の提示、生活単元学習の意義を生かしながら提起される課題に対する解決方案の模索の必要性、統合的指導計画樹立のための教師の専門性の伸長のための方案の模索の必要性という側面で、韓国における特殊教育課程開発及び実践に示唆点を提示している。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the main points, and considerations when creating instruction plans, as well as the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life unit learning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f special support schools in Japan. Furthermore, it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a in Korea based on this explor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urriculum and practical cases of special support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as related previous research in Japa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life unit learning is a form of learning where students learn content necessary for indepen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centered around their daily lives in a practical and comprehensive manner. Therefore, in planning instruction, there is a need to organize the goals and contents of each subject around the goals and tasks of daily life. Secondly, life unit learning aims to enhance the independence and social participat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experiencing a series of activities centered around daily life. However, challenges arise such as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life unit learning, the establishment of instructional plans emphasizing student-initiated activities, breaking away from formalism and mannerism in activities, and designing and implementing lessons reflecting individual differences. Thirdly, these results indicat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a and practice in Korea, particularly in terms of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integrated instruction focused on real-life goals and tasks centered around students' lives, providing specific guidelines at the curriculum level related to integrated instruction, seeking solutions to challenges while preserving the significance of life skills learning, and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in developing integrated instructional plans.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 농문화 활용에 대한 청각장애학교 교사들의 인식

        박남수 ( Nam-su Par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4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s can be devide into two dimensions such as basic curriculum for all students and restructuring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in spite of these characteristics it have some problems on the process of management in the Deaf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etho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on the Deaf school. For this purpose, 106 teachers on the Deaf school in the whole country were employed and researched b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to be demand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 the method of reconstruc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e Deaf has to be based on bicultural approach and new paradigm to be accepted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for the Dea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for the Deaf has to be focused in Deaf society and Deaf culture.

      • KCI등재

        초등 사회과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의 방향 탐색

        박남수 ( Nam Su Par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n the disabil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I reviewed about relation to social studies and disabilities human rights education, and analyzed the problem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instru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extbooks and instruction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ies human rights contents in textbooks were presented partially on specific grade, did not coincide with characteristic of social studies, and various views about human rights was lacked. Also, it was described disabilities human rights at a view of protection, benefits and national effort. Second, the classroom instruction have problems as value injection about human rights respect, absence of substant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insufficient of process that deal with disabilities problem. In basis of these results I propos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s follows. First, it has to presented gradually instances of violation of disabilities human rights in all grade level and described disabilities human rights in side called right and social mechanism associated with problem occurrence that is violation. Second, it has to designed instruction a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or students’ various thinking and judgment, and introduced inquire process according to child’s developmental stage so that can understand structurally occurrence mechanism of disabilities human rights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