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미동맹에 대한 경제학적 분석과 함의 —군사동맹의 경제이론 모형을 중심으로—

        박기홍 한일군사문화학회 2018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5 No.-

        Economic analysis on the ROK-US military alliance has been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Korea. Most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s have focused on political theories of military alliance to explain the effects of the ROK-US military alliance on the security issues for Korea and Northeast Asia. This paper attempts to fill this gap by using theoretical models of military alliance and to analyze the ROK-US military alliance and provid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In the analysis, the current study applied public goods theory to the ROK-US military alliance. More specifically, two theoretical models of military alliance are employed in the analysis : pure public good model suggested by Olson and Zeckhauser (1966) and joint product model suggested by Sandler (1975). The joint product model is a generalization of the pure public good model and when the activity yields only a pure public good, these two models are identical. This paper draws some general future directions for Korea’s defense policy as follow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new regional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s, both Korea and United States needs to consider in restructuring and adapting their military alliance. In line with demands for restructuring, Korean government should develop a self-defense policy without upsetting the present balance of power in the Northeast Asia area. 본 연구는 경제학의 공공재(public goods) 또는 집단재(collective goods)이론을한미 군사동맹에 적용하여 동맹의 형태를 주로 경제적 동기나 경제학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공공재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한미 군사동맹에 의해 공급되는 안보(security)서비스의 적정규모(최적 공급량)와 군사동맹의 효과를 분석하고 향후 한미동맹의 상호 보완적 성격의 강화와 한국군에 의한연합방위 주도의 필요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동맹관계에서의 방위분담 문제에대한 올슨(Olson)과 제크하우저(Zeckhauser)의 선구적 연구가 발표된 후 많은경제학자들이 군사동맹을 순수공공재(pure public goods)인 경우로 가정하고 공공경제학(public economics)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군사동맹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도 군사동맹에 대한 대표적인 현대경제학 이론인 올슨과 제크하우저의 순수공공재(pure public goods) 모형과 샌들러(Sandler)의 결합생산물(joint product) 모형을 이용하여 한미 군사동맹을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적 합리적 선택의 관점에서 보다 엄밀하게 분석하였다. 세계전략을 구사하는 미국이 전략적으로 보다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국가의 방어를 위해 자신의 전략자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고 한국의 방위를 상대적으로 소홀히 한다면 한미 군사동맹의 순수공공재로서의 성격은 약화된다. 결국 한국의 안보를 지탱하는 한 축인 한미동맹의 순수공공재적 성격이 약해질 경우를 대비하여한국군의 독자적인 국방역량 강화는 불가피하다.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자국의안보를 동맹국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은 정치적·외교적 측면에서 자주성이 저해될 수 있으며,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 증가, 높은 대미 무기 의존도에 따른 예산비용 증가 등 경제적 실리라는 측면에서도 부담이 만만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굳건한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을 위한 체계적인 추진기반마련과 한국군의 연합방위 주도를 위한 핵심 군사능력 확보를 차질 없이 추진해야한다. 아울러 북한의 핵·대량살상무기(WMD) 위협을 억제하고 유사시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력증강을 통한 독자적인 대북 방어체제 구축 또한 강력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항공 영상 분석을 위한 고유영상과 멀티 스케일 감마 보정 기반의 그림자 복원

        박기홍 한국항행학회 2019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23 No.5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도의 영향에도 본질적인 특성이 변하지 않는 고유영상을 이용한 그림자 검출과 멀티 스케일 감마 보정 기반의 그림자 복원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림자 검출은 컬러 영상의 그레이스케일 영상과 고유영상 간의 화소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추정하였으며, 그림자 복원 과정에서는 감마 보정을 통해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감마 보정은 개별적 화소값에 대한 비선형 조정으로 채도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컬러 영상의 채널별로 수행되는 멀티 스케일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멀티 스케일 감마 값은 컬러 영상에서 그림자와 그림자가 아닌 영역의 교차 윤곽을 획득한 후 이 정보를 기반으로 추정되며, 결과적으로 서로 다른 유형의 영역 특징을 멀티 스케일 감마 값으로 보정하여 그림자를 복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그림자가 포함된 단일 자연 영상에서 그림자를 효과적으로 복원함을 보였다. In this paper, the shadow detection and reconstruction method are proposed using intrinsic image, which does not chang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illuminance, and multi-scale gamma correction. The shadow detection was estimated by the pixel change information between a grayscale and an intrinsic image of the color image, and the brightness of the image were adjusted by gamma correction in the shadow restoration process. Multi-scale gamma correction is performed for each channel of a color image due to the fact that the saturation can be changed by nonlinear adjustment to individual pixel values. Multi-scale gamma values are estim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rossed edge between shadows and non-shadowed regions in the color image, as a result, the shadows are reconstructed by correcting different region features with multi-scale gamma valu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reconstructs shadows in a single natural image.

      • KCI등재

        Reference ranges for autonomic function tests in healthy korean adults

        박기홍,Byoung Joon Kim,강사윤,오선영,손은희,Kyeong-jin Song,Jin-Hong Shin,Kyoung Hwa Kang,조은빈,정희정,이형,김현아,김록범,박기종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2019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21 No.2

        Background: The standardized autonomic function test has become widely available. However, there are no reference data for this test for the Korean population. This study explored reference data for sudomotor and cardiovagal function tests for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The sweat volume by quantitative sudomotor axon reflex test, heart-rate response to deep breathing (HRdb), expiration:inspiration (E:I) ratio, and Valsalva ratio (VR) were measured in 297 healthy Korean volunteers aged from 20 to 69 year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ge, sex, and body mass index on these variables. The 2.5th, 5th, 10th, 90th, 95th, and 97.5th percentile values were obtained for each investigation. Results: The sweat volume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The HRdb and E:I ratio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and were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The V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but it was not correlated with sex. Conclusions: This study has provided data on the reference ranges for sudomotor and cardiovagal function tests in healthy Korean adults.

      • KCI등재

        Gender Wage Differentials among Disabled People : Evidence from South Korea

        박기홍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Asian Women Vol.27 No.1

        Empirical analysis for the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among disabled people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literature on discrimination. This paper using data from the 2008 PSED investigates gender wage differentials among the disabled in Korea. The selectivity corrected decomposition framework is employed to examine what factors - endowments, discrimination, and selectivity - account for the wage gap. The main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the gender wage gap among the disabled is sizable. Second, the wage gap is significantly attributable to discrimination. Moreover, disabled female workers also suffer a substantial wage penalty in terms of the portion of their wages attributable to discrimination. Third, the endowments factor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gender wage differentials as well. Finally, the presence of selection effects raises the observed wage gap. Such evidence suggests that Korean disabled female workers are more likely to be disadvantaged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in terms of wages. Thus, national policies, regulations or laws against gender discrimination (e.g., the U.K. DDA 1995, the U.S. ADA of 1990) and additional supports beyond prohibiting discrimination (e.g., vocational training, on-the-job training) are needed to enhance the labor market status of disabled female workers in Korea.

      • KCI등재

        플랫폼 노동자의 성별 소득격차에 대한 실증연구

        박기홍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3 産業關係硏究 Vol.33 No.1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gender earnings gap among platform workers in South Korea using the Oaxaca-type decomposition approach. Using data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re exists the gender earnings gap in the platform work and examines to what degree gender discrimination could account for this earnings gap.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on the gender pay gap, this analysis employs the Oaxaca-Ransom decomposition technique to divide gender earnings differentials into a component that is explained by gender differences in productivity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or work experience, and a residual component that cannot be accounted for by such differences in earnings determinants. This unexplained component is often used as a measure for discrimina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 For salaried workers (resp. non-salaried workers), the means of log hourly earnings are 11.347 (resp. 9.644) for men and 11.228 (resp. 9.342) for women in platform work, which amounts to a gender difference of 12% (resp. 32%). Adjusting women’s endowments levels to the levels of men would increase women’s earnings by 24.7% (resp. 14.3%). A gap of 75.3% (resp. 85.7%) remains unexplained. 플랫폼 노동시장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성별 격차와 같은 전통적인 노동시장에서의 문제가 유사한 형태로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다. 특히, 플랫폼 노동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적게 버는 성별 소득격차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랫폼 노동시장의 여러 가지 이슈 중 최근 보고되고 있는 성별 소득격차에 대해 소득 분해 방법론을 활용하여 엄밀하게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KLI)의 『한국노동패널(KLIPS) 21차연도(2018년) 부가 자료(설문)를 이용하여 플랫폼 노동자를 식별한 후, 성별 소득결정 요인을 분석하고 소득격차 중 임금근로-비임금근로 형태에 따른 소득차별의 비중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플랫폼 노동자는 임금노동과 비임금노동 모두에서 성별이 소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여성이 남성보다 소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소득격차의 경우, 임금근로자는 약 12%, 비임금근로자는 약 32%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소득격차를 생산성 특성에 기인하는 격차와 합리적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격차로 분해할 경우, 임금노동자의 경우 각각 24.7%, 75.3%, 비임금근로자의 경우는 각각 14.3%, 85.7%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플랫폼 노동자의 성별 소득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제도나 지속적인 성차별적 관행과 같은 차별적 소득격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의 모색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 KCI등재

        Blood Transcriptome Profiling in Myasthenia Gravis Patients to Assess Disease Activity: A Pilot RNA-seq Study

        박기홍,정정희,이정희,홍윤호 한국뇌신경과학회 2016 Experimental Neurobiology Vol.25 No.1

        Myasthenia gravis (MG) is an antibody-mediated autoimmune disease characterized by exertional weakness. There is no biomarker to reflect disease activity and guide treatment decision. Here, we reported a pilot blood transcriptome study using RNA sequencing (RNA-seq) that identified differences of 5 samples in active status and 5 in remission from 8 different patients and 2 patients provided samples for both active and remission phase. We found a total of 28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possibly related to disease activity (23 up-regulated and 5 down-regulated). The DEGs were enriched for the cell motion and cell migration processes in which included were ICAM1, CCL3, S100P and GAB2. The apoptosis and cell death pathway was also significantly enriched, which includes NFKBIA, ZC3H12A, TNFAIP3, and PPP1R15A. Our result suggests that transcript abun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