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효의 외도(tīrthaka) 비판에 관한 고찰 - 『기신론소기』 중 眞如自性 관련 四句 분석을 중심으로 -

        박기열 인도철학회 2019 印度哲學 Vol.0 No.56

        Wonhyo explains the concept of tathatā-svabhāva*(眞如自性) by quoting Śatakakārikāvṛtti of Dharmapāla in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āyana. Concretely, Wonhyo transforms two kinds of four negative alternatives, one is the case of ‘being’, ‘non-being’, ‘being and non-being’, ‘non-being and non-non-being’, the other is the case of ‘identity’, ‘non-identity’, ‘identity and non-identity’, ‘non-identity and non-non-identity’, into four positive alternatives to criticize four schools - Sāṃkhya, Vaiśeṣika, Jaina, Ājīvika, in the manner of prasaṅga. He proves at the last step the doctrines of each school cannot be true through indicating logical errors. On the other hand, though Wonhyo does not refer to the relation of the two kinds of four alternatives, the paper infers logically the correlation of both to make a sure the relation of being and svabhāva that would be a clue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of tathā-śūnya*(如實空) and four prasaṅga alternatives. The paper, moreover, puts a value of the following as three points to develop its argument. First, whether the two kinds of four alternatives are a suitable instrument or not to examine all of the beings and their svabhāva-s. Second, the principle of each school in the alternatives is just determined from the view of Buddhist, so the paper reviews some Buddhist texts written by Vasubandhu and so on to find the same view to each school. Third, the paper considers the meaning of tathā-śūnya* as tathatā-svabhāva* through the prasaṅga alternatives. The paper says, in its turns, on the point that tathā-śūnya* is the state of neither grāhaka nor grāhya,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the perfect(pariniṣpanna) or of self-awareness(svasaṃvedana) in Yogācāra theory. 원효는 『기신론소기』에서 호법의 『대승광백론석론』을 인용하여 진여자성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①유, 무, 유와 무, 비유와 비무, ②같음(一), 다름(異), 같음과 다름, 같지 않음과 다르지 않음이라는 두 종류의 사구를 귀류논증으로 변용하여, 상키야 학파, 바이셰시카 학파, 자이나교, 아지비카의 견해를 검증한다. 궁극적으로 이들의 견해가 모두 잘못되었다고 논파한다. 한편 원효는 유, 무 등의 사구와 같음, 다름 등의 사구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직접 설명하지 않지만, 필자는 두 사구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고찰한다. 나아가 필자는 다음 세 가지 점을 본고의 가치로 둔다. 첫째, 언급된 사구가 진여자성을 검증하는 수단으로서 올바른 것인지를 검증한다. 둘째, 각 사구가 각 학파의 견해로 단정하는 불교 입장을 세친의 논서들을 중심으로 단편적이나마 입증한다. 셋째, 귀류논증을 통해서 진여자성으로서의 여실공의 의미를 명확히 한다. 결론에서는 여실공은 능취와 소취가 없는 상태이고, 이를 正觀(=觀智)이라고 한다는 점에서 필자는 초·중기 유식학의 원성실성과 후기 유식학의 자증과 동등한 개념으로 본다.

      • KCI등재

        유식학파의 실재ㆍ형상ㆍ존재에 관한 논리학적 논증

        박기열 인도철학회 2022 印度哲學 Vol.- No.64

        Yogācāra school persuades realists that beings in the phenomenal world can be explained enough without the external beings through the inductive standpoint. One of the persuasive ways is a simile to express experiential phenomena or objects by taken as an example to support the school's proposition in the argument. The paper reviews the eight examples described in the 11th chapter of Mahāyānasūtrālaṃkāra (MSA), and analyzes the example of an elephant by illusion in the perception chapter of Pramāṇavārttika (PV), Trisvabhāvanirdeśa (TSN) and MSA Ⅺ to figure out the epistemic implication relating to the conception of vastu, ākāra, bhāva from the view of Buddhist logic. The paper considers in detail the elephant caused by illusion in PV Ⅲ 354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analyzing it with the role of sapakṣa and vipakṣa of syllogism.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example in the passage of TSN is described from the view of trisvabhāva, and examine the relation of dependent arising (pratītyasamutpāda) among the three svabhāva-s. The passage of MSA is noticeable to characterize the example as two truths. Both of all have the meaning of reality and unreality, but also the identity between being (bhāva) and perception (upalbdhi). Yogācāra school does not only deny the external world, but emphasizes the reality and unreality of the world at the same time, and brings a focus to explain why the outsides are not real with the actual example. 유식학파는 경험적, 귀납적 방법으로 외계 존재가 없이 인식만으로도 현상세계의 존재가 충분히 설명된다고 실재론자들을 설득해 왔다. 그 설득 수단의 대표적인 것이 비유(upamā)이다. 즉 그들은 일상에서 경험 가능한 구체적 사례들을 자기주장에 관한 비유로 사용하여 상대방의 이해를 도모한다. 본고는 대승장엄경론 의 팔유(八喩)를 유식학파의 대표적 비유의 사례로서 소개한다. 그중에서 환술에 의해서 코끼리가 현현하는 비유에 관해서 법칭의 『양평석』, 세친의 『삼성론』, 『대승장엄경론』에서의 해석의 차이를 고찰한다. 나아가 각 논서가 환술의 비유를 통해서 유식학파의 형상, 실재, 존재를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불교논리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양평석』의 ‘환술에 의한 코끼리의 현현’에 관한 비유는 논증식의 긍정적 비유와 부정적 비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삼성론』의 해당 개소는 삼성의 입장에서 서술된 점에 주목하고, 원성실, 의타기, 변계소집의 연기적 구조을 통하여 실재, 형상, 존재의 관계성을 살펴본다. 『대승장엄경론』의 해당 개소는 이제설에 기반한 실재성과 비실재성의 이중적 함의, 즉 존재와 인식의 동일성을 다룬다. 환술에 의한 코끼리의 비유를 통해서 결론적으로 유식학파는 현상세계를 무조건적으로 부정하지 않는다. 그들은 현상세계의 실재성과 비실재성을 모두 긍정하는 동시에 부정한다. 나아가 실재인 것과 같이 보이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비실재에 불과하다는 유식철학의 본연의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그들은 오히려 비실재의 실재성을 역설한다.

      • 비단가리비 인공종묘 생산

        박기열 한국양식학회 2002 韓國養殖 Vol.14 No.2

        비단가리비의 인공 종묘 생산을 목적으로 전라남도 신안군 대흑산도 주변에 서식하는 비단가리비를 대상으로 인공 종묘 생산을 위한 산란 유발, 수정란의 발생 과정, 유생 사육, 채묘 및 중간 육성 등 양식 생물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어미의 각종 산란 유발 자극에 대한 반응은 Serotonin 주사, 온도 자극, 혼합 자극에서 반응율이 가장 높았으며, 자외선 조사 해수 자극은 수컷만 반응을 하였고 간출 자극은 반응이 없어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정란의 크기는 $69.5{\mu}m$이었고, 수정 후 약 2시간에 2 세포기, 8시간 후에 8 세포기, 20시간 후에는 담륜자 유생으로 부화하였으며 40시간 후에는 D상 유생으로 되었다. 수온별 비단가리비 유생의 성장은 수온 $20^{\circ}C$에서 각장 $178.9{\mu}m$로 가장 좋았으며, 이 때의 생존율은 15.5%이었다. 그러나 수온 $15^{\circ}C$에서는 낮은 성장을 보여 각장 $135.9{\mu}m$로 성장하였으며, 생존율도 9.8%로 저조하였다. 수용 밀도별 사육 시험에서 $1m{\ell}$당 1개체와 5개체에서 성장 및 생존율이 양호하여 성장 및 생존율을 볼 때 적정 사육 밀도는 $1m{\ell}$당 5개체 이하로 나타났다. 먹이 생물 종류에 따른 유생의 성장을 알기 위하여 I, gal-baba, C, calcitrans, N, oculata를 단독 또는 혼합으로 공급하였을 때 실험 종료후 각장의 성장은 I, galbana+C. calcitrans+N. oculata구가 $194.2{\mu}$로 가장 좋았고 N. oculata구는 $162.2{\mu}m$로 가장 낮은 성장을 보였다. 생존율에서는 I. galbana+C. calcitransoculata구는 9.4%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채묘기별 유생의 부착률은 염화비닐판을 수평으로 놓은 것과 패각이 각각 3.43%와 3.17%로 가장 양호하였으나, 양파망과 염화비닐판을 수직으로 놓은 것은 각각 1.52%와 1.61%로 비교적 저조하였다. 수정 후 40일째부터 90일째까지 측정한 부착치패의 경과 일수에 따른 각장의 성장은 $SL=184.44e^{0.0335X}(r^2=0.9861)$의 회귀직선식으로서 나타났다. 중간육성 시험에서 수심별 성장을 분석한 결과, 비단가리비 치패는 저층보다 표층이 각장 5.92mm, 전중량 6.07g 정도 더 빨리 성장하였다.

      • KCI등재

        IoT 시스템 인과율에 대한 불교논리학적 해석

        박기열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4 No.-

        According to TTA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IoT (Internet of Things) is defined as the infrastructure of the global service to offer the advanced service through connecting mutually diversified things that are not only physical but also virtual things. For networking among things, each thing has its own identifier and has a device to maintain its own latest information as well. The network of IoT means the activity between a thing(a) and a thing(b) of IoT for recognizing each other. In that activity, things of IoT can be expressed as nothing but their identifiers in the network. Thus, IoT is the incessant interaction among IoT things as ‘cause ⇔ its effect(=result).’ The interaction, however, is possible only in that things are assumed as momentary beings. This paper,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part, aims at understanding the general conceptions of IoT revolving around the functions of the identifier. In the second part, the reinterpretation of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gic of the Yogācāra School is made as an attempt to show that the interaction of IoT is not different from the interac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in Buddhism. The conclusion in this paper is that the rule of dependent origination might be clearly applied to the principle (=inter-causality) of IoT system.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정보통신단체표준(국문표준)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를 기반으로 다양한 물리적(physical) 및 가상(virtual)의 사물들을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글로벌 서비스 인프라”라고 정의된다. 사물들 사이에 네트워크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각 사물마다 식별자를 가져야 하는 동시에, 자신의 정보를 최신의 것으로 유지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갖추어야 한다. IoT에서의 네트워크(network)란 IoT 사물(A)과 IoT 사물(B)이 상호간에 인지하는 작용이다. 따라서 네트워크상에서는 IoT 사물은 식별자들 사이의 인지를 의미한다. 이것은 IoT란 식별자들 사이에서는 끊임없이 ‘원인⇔결과’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IoT 사물을 찰나적 존재로 규정하는 것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즉 찰나적 존재가 식별자에 의해서 동일한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IoT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고는 이상과 같은 논지로 IoT에서의 식별자의 기능을 중심으로 IoT에 관한 일반적 이해를 도모한다. 나아가 IoT의 상호인과율과 불교의 연기(緣起)를 후기 유가행유식학파의 논리학(=위자비량)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불교의 근본교리인 연기법이 IoT 시스템에 여실히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Hart Crane의 The Bridge 연구 서설 : An Introduc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Proem: To Brooklyn Bridge" 서시 "To Brooklyn Bridge"를 중심으로

        朴琪烈 漢陽大學校 人文科學大學 1986 人文論叢 Vol.11 No.-

        The Bridge(1930), Crane's most ambitious work, was intended as an epic of modern American life in the Whitman tradition of optimism and the Eliot manner of The Waste Land(1922). The poem consists of eight major sections, some of which in their turn divide into subsections. The main parts follow this sequence; "Ave Maria", "Powhatan's Daughter", "Cutty Sark", "Cape Hatteras", "Three Songs", "Quaker Hill", "The Tunnel", ",Atlantis". Briefly, the poem proper begins with a semihistorical, a semimythical interpretation of America's past in its first three major sections. Then returning to the present it deals with the vastness and variety of modern life and also with the "Waste land" aspects of modern life("The Tunnel") It concludes("Atlantis") with an optimistic prophecy of man's ultimate union with God. This paper is chiefly focused on "Proem; To Brooklyn Bridge" in respect to its interpretive analysis. It(this paper) is intended as a preparation for an overall study of The Bridge. Though in itself the "Proem" is a poem of impressive beauty, it is also an effective announcement and abstract of the symbolic devices of the poem that is to follow, In a word the "Proem" epitomizes the whole poem with subtle anticipations.

      • 촉각센서를 위한 실리콘 마이크로다이어프램 배열의 제조

        박기열,심준환,류인식,조찬섭,이종현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4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5 No.1

        Silicon diaphragm arrays were fabricated by silicon micromachining using porous silicon. Fabricated diaphragms consist of 3x3 array. The thickness of diaphragm is 5μm and theire size are 200x200, 300X300 and 400X400μm^(2), respectively. Several % of resistance change is observed, when stress was applied at diffused resistor on the diaphragm. Microdiaphragm arrays were easily fabricated by silicon micromachining using porous silicon, and we confirmed feasibilty of application at tactile sensor.

      • 감관지의 인식대상, ‘집합체(sañcita)’에 관한 고찰

        박기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4 불교학 리뷰 Vol.15 No.-

        디그나가가 말한 감관지의 인식대상으로서의 집합체(sañcita)는 외계 대상 과 인식대상이 다르다는 점에서 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피사체에 비유 할 수 있다. 외계 사물는 감각기관을 포함한 제반 여건에 따라 한순간 일부분 만이 포착되어 인식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집합체는 감관지의 인 식대상임에도 불구하고 ‘푸른색 그 자체’는 동일한 제반 조건을 가진 사람들 에게는 모두 ‘푸른색 그 자체’로 파악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독자상이 가지는 보편적 성격을 필자는 디그나가가 다수의 극미로 이루어진 집합체는 보편 (sāmānya)이라는 형태로 인식영역(āyatana)에 투영되어 五識身의 인식대상이 된다고 말한 것과 결부 시켜 이해하고자 한다. 본고는 집합체, 그것의 보편 그리고 인식영역 내의 독자상이라는 감관지의 인식대상과 관련된 중심 술어들을 디그나가의 프라마나사무차야와 그 자주, 지넨드라붓디의 프라나마사뮤차야티카 그리고 다르마키르티의 프라마나와르 티카의 해당 원문들을 비교 검토하고 각 술어들의 관계성을 규명한다. 한편 필자는 다르마키르티가 집합체들은 지식을 일으키는 원인들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의 ‘지식’이 무엇인가에 주목한다. 왜냐하면 이 지식은 감관지의 인식결과로서의 지식과 지식의 2상성에서의 대상적 측면의 지식, 즉 독자상 을 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후자의 경우, 개념적으로 집합체는 인식영역 외 부에, 그리고 독자상은 그것의 내부에 존재하면서 상호 인과관계에 놓이게 된 다. 여기서 집합체의 보편은 인식대상이 인식영역의 외부에서 내부로 옮겨가 는 과정에서의 구체적 형상으로 집합체와 독자상을 연결해 주는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한편 디그나가는 ‘푸른색 그 자체’와 같이 하나의 집합체가 인식대상이 될 경우에 관해서 서술한다. 이에 반해서 다르마키르티는 ‘푸른색 그 자체’와 ‘노 란색 그 자체’와 같은 다수의 집합체들이 동시에 하나의 지식을 일으키는 원 인들이 된다고 한다. 즉 그는 디그나가의 집합체론을 하나의 인식영역에서 일 어날 수 있는 집합체들의 복합적 관계를 부분과 전체라는 관점에서 보다 미시 적으로 고찰하였다고 할 것이다. The object of cognition by five sense organs in Dignāga’s PSV would be metaphorically expressed as the appearance reflected on the mirror in the camera inasmuch as the exterior substance is different from the object of cognition. Because cognition by the sense organs is limited to all conditions surrounding the object which we try to be aware so that we can only perceive a part of all aspects of the object. The appearance reflected on the mirror of the camera is being before understanding through combining with languages in our mind. Dignāga describes on the object of perception by sense organs as ‘blue, itself’, but ‘this is blue’ having been defined and categorized by means of words and the exclusion of different objects. On the other hand, all people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perceive the object should get a common result of cognition to the object, that is ‘blue itself’, although the object is for the direct perception by sense organs(indriya-pratyakṣa) called svalakṣaṇa. This common aspect of svalakṣaṇa could be understood Dignāga’s common property (sāmānya) of the aggregate (sañcita) made of a lot of atoms, is grasped as the whole in the cognition sphere (āyatana). In this paper, the three terminologies; sañcita, its sāmānya, and svalakṣaṇa, are compar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m on the base of Dignāga’s PSV, Jinendrabuddhi’s PSṬ, and Dharmakīrti’s PV. Sañcita is said that it has the ability to cause knowledge (jñāna). In this case, the knowledge could be supposed to be not only indriya- pratyakṣa as the result of cognition, but also svalakṣaṇa which is one of knowledge as the object aspect in the two aspects (dvirūpatā) of knowledge. In the latter, as sañcita is located out of the cognition sphere and svalakṣaṇa is in the cognition sphere, sāmānya is acceptable as a style(rūpa), how the aspect(ākāra) to move from outside to inside the cognition sphere. Thus, sāmānya would be said to play a role in a link to connect between sañcita and svalakṣaṇa. Unlike Dignāga basically describes on the object of cogni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sañcita is one, Dharmakīrti assumes the object of cognition under multi-conditions that plural aggregates (sañcita) bring out one knowledge in one cognition sphere at the same time. Therefore, if Dignāga’s sañcita theory is said to be plain like ‘blue itself’ becomes svalakṣaṇa, Dharmakīrti’s sañcita has multiple layers like ‘blue itself' and 'yellow itself’ become one svalakṣaṇa simultaneously.

      • KCI등재

        Gametogenic Cycle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Male Chlamys (Azumapecten) farreri nipponensis (Kuroda, 1932) (Bivalvia: Pectinidae) in Western Korea

        박기열,정의영,이기영,박관하 한국패류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9 No.1

        We investigated the gametogenic cycle and spawning seasons of the male Chlamys (Azumapecten) farreri nipponensis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and also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was calculated by the data of first sexual maturity. In this study, the male gametogenic cycle of this species by qualitative analysis was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March to April),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ly to September),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January). The male gametogenic cycle showed similar patterns with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and condition index. Particularly, spawning in male scallop occurred once a year from July to September, unlike the spawning period of this species (from June to August) reported by the previous researchers.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s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June, and then sharply dropped from July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A.) farreri nipponensis occurred once per year from July to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RM50)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estimated to be 49.90 m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and it was 100% for male scallops over 61.0 mm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 KCI등재

        인도 사상에 있어 표현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언어표현

        박기열 한국불교연구원 2021 불교연구 Vol.54 No.-

        In the first part, the paper examines the debate between Naiyāyika and Bauddha about the term, inexpressible(avyapadeśya) described in the context of the definition of perception(pratyakṣa) in Nyāya sūtra. In the second part, the paper considers their arguments about the terms, perception, and conceptual construction(kalpanāpoḍha). Nyāya school acknowledges two kinds of perceptions, one is non-inexpressible and devoid of conceptual construction, the other is expressible and conceptual construction. Buddhist school admits, however, the formal as the only perception. The paper summarizes the perspective of Vātsyāyana and Uddyotakara on inexpressible perception as Nyāya school's positions and also examines their contentions from the view of Buddhist school.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not only the viewpoints of Dignāga and Dharmakīrti on the exclusion of conceptualization but also how they are criticized by Nyāya school. Besides, the counterargument of Kamalaśīla is introduced with my analysis according to Buddhist logic. Finally, the research examines the term, non-erroneous(abhrānta) in Dharmakīrti's definition on perception described in Pramāṇaviniścaya and Nyāyabindu with the angle of Dignāga that is the same as he verifies inexpressible of Nyāya school. On the other hand, I consider the inexpressible perception of Nyāya with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perception is the cognition of substance(dravya), properties(guṇa), action(karman). Second, perception of something has to have the preceding condition that is the cognition of universality(sāmānya) or specificity(viśeṣa) to validate perception. Third, The preceding universality or specificity is not inherent in substance, properties or action, but has already been cognized as the designation before perceiving universality or specificity inherent I conclude it is impossible to aware of universality or specificity inherent in substance, properties, or action when we have inexpressible perception because there is no way to reach universality or specificity without designation of universality or specificity. 본고의 주요 논지는 제2장과 제3장으로 구성된다. 제2장에서는 구 니야야 학파의 지각의 정의 중에 서술되는 “표현할 수 없는 것(avyapadeśya)”이라는 용어를 둘러싼 불교와의 논쟁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디그나가의 지각의 정의 중에 지각(pratyakṣa)과 분별의 배제(kalpanāpoḍha)라는 용어를 둘러싼 니야야 학파와의 논쟁을 살펴본다. 니야야 학파는 지각을 표현할 수 없는 무분별지와 표현할 수 있는 분별지라는 두 종류를 인정한다. 그러나 불교는 지각을 표현할 수 없는 무분별지만 인정한다. 니야야 학파의 견해로서는 바츠야야나와 웃됴타카라의 입장을 정리하고, 불교 측이 비판하는 논리를 검증한다. 또한 불교의 견해로서는 디가나가의 입장을 정리하고, 니야야 학파 측이 비판하는 논리를 검증하는 동시에 카마라쉬라의 재반론의 논리를 분석한다. 본고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필자는 전반부의 논지를 기반으로 각 학파의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이 가지는 논리의 자기모순성을 실험적으로 지적한다. 우선 불교 측의 자기모순성에 관해서는 다르마키르티의 지각 정의에 등장하는 “착각이 없는 것(abhrānta)”을 디그나가가 니야야 학파의 표현할 수 없는 것이라는 한정사를 비판하는 논리의 잣대로써 검증한다. 이어서 니야야 학파 측의 자기모순성에 관해서는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을 다음 세 가지 점에 주의해서 살펴본다. 첫째, 지각이란 실체, 속성, 운동에 대한 인식이라는 점. 둘째, 지각은 보편 내지 특수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그 보편과 특수가 대상에 내속하는 것이 아닌 명칭으로서 보편과 특수라는 점. 결론적으로 필자는 니야야 학파의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은 실체, 속성, 운동에 내속하는 보편 내지 특수를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그것을 전제로 하는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의 생기는 논리상 자기모순이라고 결론짓는다.

      • KCI등재

        『사르바 다르샤나 상그라하』 「아크샤파다 철학」의 진리지(tattvajñāna)에 관한 고찰

        박기열 한국불교연구원 2023 불교연구 Vol.58 No.-

        Naiyāyikas say that the highest good is achieved through the right knowledge (tattvajñāna) for the sixteen topics (padārtha), beginning the means of knowledge, the object of knowledge, etc. The acquisition of the right knowledge would be the direct cause to remove the wrong knowledge (mithyājñāna), and the mental disturbances (doṣa), the bad activities (pravṛtti) by body-language-mind, birth (janman) one after another would be removed. Finally, the right knowledge leads to reaching liberation (apavarga), being in the complete extinction of suffering. This order to get liberation is backward against the order to generate suffering.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attainment of the right knowledge is the key to have liberation that is the highest good. The classic Nyāya theory, however, does not concretize the acquisition method of the right knowledge, but in Sarvadarśanasaṃgraha (SDS) Ⅺ, there is a supplement on how to get the right knowledge. That is the role of the Supreme Being (parameśvara) as the direct cause to raise the right knowledge. It is defined as the authority (or proof) of the right means of knowledge (prāmāṇya) that tends not to be emphasized in the classic Nyāya school. Mādhava says in SDS Ⅺ that it is required to attain preveniently dharma on the Supreme Being as the authority of the right means of knowledge through śabda, one of the means of the right knowledge-s (pramāṇa-s) defined as teachings by a trustful teacher (āptopadeśa) according to Nyāya’s theory. Practicing the contemplation (samāhi) repeatedly and continuously, keeping the dharma of the Supreme Being at the same time, Yogi could, at last, come to the right knowledge. It does not mean the Supreme Being is the object of knowledge, but the means of knowledge in the yoga practice. The concept of the dharma is supposed to be influenced by the dharma in VS 1.1.2. The sūtra defines dharma as the means to reach at exaltation (abhyudaya) and the highest goods (niḥśreyasa). The paper considers the above summary of Nyāya’s liberation theory with the right knowledge as the central figu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quoted Nyāyabhāṣya and Udayana’s Nyāyakusumāñjali 4.5.-6. in SDS Ⅺ, splitting up the contents on the right knowledge into the definition of, the role of, and the attainment of the right knowledge chapter. The paper would have a chance to introduce Nyāya school’s liberation and the practice. There may have been overemphasized the aspect of the epistemological and logical theory of the Nyāya school as compared to the aspect of the liberation and truth of the Nyāya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paper would show the fragmentary aspect that Mādhava tries to consolidate the liberation theories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schools (āstika-s) into one theory in SDS Ⅺ based on the thought of Udayana, who had integrated both theories of Nyāya and Vaiśeṣika school. 고 니야야학파는 인식수단, 인식대상 등의 16구의에 대한 진리지(tattvajñāna)를 원인으로 최상의 행복(niḥśreyasa=해탈, apavarga)을 성취한다고 말한다. 즉 진리지의 성취는 잘못된 인식(mithyājñāna)의 제거 → 번뇌(탐욕 등)의 제거 → [신·구·의] 활동의 제거 → [출]생의 제거, 그리고 최종적으로 고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니야야학파의 해탈의 관건은 진리지의 성취이다. 이 진리지는 요가행자의 삼매의 수습에 의해서 획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고 니야야철학의 해탈의 과정과 진리지의 역할 및 확립을 위한 수습은 마다바의 『사르바 다르샤나 상그라하』 「아크샤파다 철학」장(SDS Ⅺ)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SDS Ⅺ는 진리지를 성취하는 바른 인식의 근거로서 최고의 주재신(쉬바)를 내세우는 점이 고 니야야학파에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다. 최고의 주재신에 관한 다르마를 신뢰할 수 있는 스승의 증언이라는 인식수단에 의해서 먼저 확립하고, 그것을 근거로 삼아 삼매 수행을 해야 한다. 즉 SDS Ⅺ는 최고의 주재신을 인식의 근거로 하는 요가의 수승한 단계에 올랐을 때 비로소 진리지가 확립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최고의 주재신은 진리지의 대상이 아니라 그것을 획득하는 ‘인식수단의 근거 내지 권위(pramāṇya)’로서의 다르마(dharma)라는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논지를 SDS Ⅺ에 인용된 『니야야 수트라』, 『니야야 브하샤』 등의 원전들과 마다바의 해설을 고찰하여 고 니야야학파의 이론들과 차이를 보이는 마다바의 독자적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진리지의 정의, 역할, 수습이라는 장으로 나누어 니야야학파의 해탈론에서 논의되는 진리지를 검토한다. 이 작업은 니야야학파가 인식·논리학에만 치우쳐있는 학파가 아니라, 해탈을 위한 바른 인식과 그것을 얻기 위한 요가(=삼매) 수습의 중요성도 역설한다는 것을 소개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나아가 SDS Ⅺ에서 보이는 우다야나의 진리지가 타 학파의 진리지 및 해탈론과 융합을 시도하는 일면을 보여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