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메드밸브삽입술 및 트리암시놀론 테논낭밑주사 후 발생한 결막 괴사

        박기섭(Kee Sup Park),김경남(Kyoung Nam Kim),김우진(Woo-Jin Kim),이성복(Sung Bok Lee),김창식(Chang-sik Kim)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9

        목적: 아메드밸브삽입술 및 트리암시놀론 테논낭밑주사를 시행한 녹내장 환자에서 결막 괴사가 발생한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22세 여자 환자가 타 병원에서 우안 섬유주절제술 후 반복적인 마이토마이신 C 결막밑주사에도 불구하고 안압이 조절되지 않아 내원하였다. 우안에 아메드밸브삽입술을 시행하면서 트리암시놀론 테논낭밑주사를 병행하였고, 4주 후 결막 괴사가 관찰되었다. 괴사 부위를 제거하였으나 결막 괴사가 재발하여 자가결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한 차례 더 결막 괴사가 재발하여 양막이식술을 시행 하였고 이후 결막 상피가 완전히 회복되었다. 결론: 트리암시놀론 주사 후 결막 괴사는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증례의 환자처럼 이전에 반복적인 마이토마이신 C 결막밑주사와 같이 결막의 조직학적 약화를 초래할 수 있는 기왕력이 있는 경우에서는 발병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가 결막 상피의 재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conjunctival necrosis in a glaucoma patient who underwent Ahmed valve implantation and subtenon triamcinolone injection. Case summary: A 22-year-old female was referred to our clinic for uncontrolled intraocular pressure despite trabeculectomy and repeated subconjunctival injections of mitomycin C in her right eye. Ahmed valve implantation and subtenon triamcinolone injection were performed in the right eye. Four weeks later, conjunctival necrosis was observed. After debridement of necrotic tissue, an additional conjunctival autograft was needed because of recurrence of the conjunctival necrosis. After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for one more recurrent conjunctival necrosis, conjunctival epithelialization was completed. Conclusions: Although conjunctival necrosis after periocular injection of triamcinolone is a rare complication, previous multiple usage of antimetabolites such as mitomycin C might be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developing conjunctival necrosis. In such cases, aggressive surgical intervention may be helpful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onjunctival epithelium.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9):887-892

      • KCI등재

        한국인에서 리바운드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

        이종욱(Jong-uk Lee),박기섭(Kee Sup Park),김재영(Jaeyoung Kim),이성복(Sung Bok Lee),이연희(Yeon Hee Lee),김경남(Kyoung Nam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리바운드안압계 Icare ic200으로 측정한 안압을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과 비교하여 임상에서 Icare ic200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체 한국인 294명, 294안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Icare ic200으로 안압을 측정한 뒤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였다. 두 안압계의 안압 일치도를 평가하였으며, 골드만압평안압계의 22 mmHg 이상에 대한 Icare ic200의 진단능을 분석하였다. 생체계측을 포함한 임상인자들이 두 안압계로 측정된 안압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Icare ic200의 안압과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875, p<0.001). Icare ic200의 안압이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보다 평균 3.07 ± 2.67 mmHg 낮았고, Bland-Altman plots에서 95.24%의 환자가 95% 일치한계(-2.16 to 8.30 mmHg) 안에 분포했다. 22 mmHg 이상의 고안압에 대한 Icare ic200의 진단능은 0.959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itic)였다. 다변량회귀분석 결과 나이가 많은 것(β=0.034, p=0.020)과 각막곡률이 높은 것(β=0.213, p=0.030)이 두 안압계의 차이가 큰 것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care ic200은 골드만압평안압계와 좋은 일치도 및 고안압에 대한 높은 진단능을 보였으나, 평균 3 mmHg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Icare ic200은 임상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를 대체해서 사용하기보다는 고안압에 대한 선별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Icare ic200 in clinical practice by comparing the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d with the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to the IOP measured with the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 Methods: A total of 294 eyes of 294 Korean patients were included. IOP was measured with the Icare ic200 and then measured again with a GAT in all patients. We evaluated the degree of IOP agreement between the two tonometers and analyzed the diagnostic ability of the Icare ic200 for a reading ≥ 22 mmHg with the GAT. We also analyzed whether clinical factors including biometry affected the difference in IOP measured by the two tonometers. Results: The IOP values measured with the Icare ic200 and GAT were strongly correlated (r = 0.875, p < 0.001). The IOP measured with the Icare ic200 was lower than the IOP measured with GAT. The mean difference was 3.07 ± 2.67 mmHg, and 95.24% of patient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95% limits of agreement (-2.16 to 8.30 mmHg) on Bland-Altman plots. The diagnostic ability of the Icare ic200 for IOP ≥ 22 mmHg was 0.959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itic).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older age (β = 0.034, p = 0.020) and greater corneal curvature (β = 0.213, p = 0.030) were correlated with larger IOP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onometers. Conclusions: Although the Icare ic200 was more consistent than the GAT with reasonable diagnostic ability for ≥ 22 mmHg, the IOP measured 3 mmHg lower than the GAT. Therefore, the Icare ic200 might be more useful as a screening test to increase IOP rather than replacing GAT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

        소아 암 환자에서 발생한 Bacillus cereus 균혈증의 분자역학 분석에 관한 연구

        김종민 ( Jong Min Kim ),박기섭 ( Ki-sup Park ),이병기 ( Byung-kee Lee ),김수진 ( Soo Jin Kim ),강지만 ( Ji-man Kang ),김양현 ( Yanghyun Kim ),유건희 ( Keon Hee Yoo ),성기웅 ( Ki Woong Sung ),구홍회 ( Hong Hoe Koo ),이남용 ( Nam Yo 대한소아감염학회 201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3 No.3

        목적: Bacillus cereus 는 암환자들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2013년에서 2014년 기간 동안 삼 성서울병원 소아 암 병동에서 B. cereus 균혈증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에 증가된 B. cereus 균혈증에 대해 분자역학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의 기간 동안 B. cereus 균혈증이 발생한 소아 암 환자들을 확 인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B. cereus 균혈증은, 오염여부와는 상관없이, 혈액배양검사에서 적어도 한 번 이상 B. cereus 가 확인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획득 가능한 균주들에 대해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분석을 시행하였고, 후향적 챠트 리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19명의 B. cereus 균혈증 환자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2013년도에는 B. cereus 균혈증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응급실 공사 중이던 2013년 7월의 1주, 2013년 10월의 한 주 동안 각각 3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MLST 분석상 일정한 패턴이 없는, 다양한 sequence types (STs)들로 확인되었다. 2013년 이전의 5개의 균주들의 ST는 ST18, ST26, ST177, ST147-like type, ST219-like type이었고, 2013년도의 균주들의 ST는 ST18, ST73, ST90, ST427, ST784, ST34-like type, ST130-like type으로 확인되었다. 고찰: MLST 분석상 B. cereus 균주들의 다양한 ST 분포가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단일 ST의 B. cereus 에 의한 균혈증 발생의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Purpose: Bacillus cereus has been reported as the caus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cancer patients. In our pediatric cancer ward, a sudden ri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 cereus bacteremia was observed in 2013 to 201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epidemiology of increased B. cereus bacteremia cases in our center. Methods: Pediatric cancer patients who developed B. cereus bacteremia were identified from January 2001 to June 2014. The B. cereus bacteremia in this study was defined as a case in which at least one B. cereus identified in blood cultures, regardless of true bacteremia. Available isolates were further tested by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analysi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Results: Nineteen patients developed B. cereus bacteremia during the study period. However, in 2013, a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 cereus bacteremia was observed. In addition, three patients developed B. cereus bacteremia within 1 week in July and the other three patients within 1 week in October, respectively, during emergency room renovation. However, MLST analysis revealed different sequence types without consistent patterns. Before 2013, five tested isolates were ST18, ST26, ST177, and ST147-like type, and ST219-like type. Isolates from 2013 were ST18, ST73, ST90, ST427, ST784, ST34-like type, and ST130-like type. Conclusions: MLST analyses showed variable ST distribution of B. cereus isolates. Based o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evidence suggesting a true outbreak caused by a single ST among patients who developed B. cereus bacteremia.

      • KCI등재

        섬유주절제술과 아메드밸브삽입술 후 초음파수정체유화술의 수술 결과 비교

        박지석(Gi Seok Park),김경남(Kyoung Nam Kim),박기섭(Kee Sup Park),이한민(Han Min Lee),이남호(Nam Ho Lee),김창식(Chang-sik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3

        목적: 섬유주절제술과 아메드밸브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에서 백내장수술 후 임상경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한 29명 29안(1군)과 아메드밸브삽입술을 시행한 20명 20안(2군)을 대상으로 백내장수술 전에 세극등현미경검사와 안압검사를 포함한 전반적인 안과검사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1일, 7일, 1개월, 3개월, 6개월째 검사를 반복하였다. 두 군에서 수술 후 안압 및 안압하강점안제의 개수를 포함한 임상경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평균 안압은 1군과 2군에서 각각 15.34 ± 4.34 mmHg와 16.35 ± 3.44 mmHg였다(p=0.265). 1군에서는 수술 후 1일째 평균 안압이 3.86 ± 9.69 mmHg (p=0.038) 상승하였고, 수술 후 3개월째(0.28 ± 0.70, p=0.046)와 6개월째(0.34 ± 0.94, p=0.047) 안압하강점안제의 개수가 증가하였다. 2군에서 안압과 안압하강점안제의 개수는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모든 시기에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1군의 2명에서 수술 후 1개월 이내에 안압조절을 위해 결막하 5-fluorouracil 주사를 시행하였다. 결론: 섬유주절제술을 시행받은 군에서 백내장수술 직후 유의한 안압상승이 있었고, 일부 환자에서는 안압조절을 위한 추가적인 술기가 요구되었으며 수술 후 3개월째부터 안압하강점안제의 개수가 수술 전보다 증가하였다. 따라서 백내장수술 후 초기에는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아메드밸브삽입술을 시행한 환자에서보다 여과포의 기능이 더 떨어질 가능성을 고려하여 보다 면밀한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We compared the outcomes of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ho underwent trabeculectomy and Ahmed glaucoma valve implantation. Methods: Twenty-nine trabeculectomized eyes of 29 patients (group 1) and 20 Ahmed glaucoma valve-implanted eyes of 20 patients (group 2) were enrolled consecutively. All subjects underwent thorough ophthalmic examinations, including slit-lamp microscopy and 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preoperatively, on postoperative days 1 and 7, and at postoperative months 1, 3, and 6. The surgical outcomes including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the required number of IOP-lowering medica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IOP in groups 1 and 2 was 15.34 ± 4.34 and 16.35 ± 3.44 mmHg, respectively (p = 0.265). In group 1, the IOP on postoperative day 1 increased significantly (by 3.86 ± 9.69 mmHg, p = 0.038), and the number of IOP-lowering medications rose at both 3 months (0.28 ± 0.70, p = 0.046) and 6 months (0.34 ± 0.94, p = 0.047) postoperatively. Group 2 exhibited no change in the IOP postoperatively or the number of IOP-lowering medications required in the postoperative period. Subconjunctival 5-fluorouracil injections for IOP control were required by two group 1 patients within 1 month postoperatively.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a trabeculectomized eye, the IOP increased immediately after cataract surgery; additional IOP-lowering procedures were required by some patients. The number of IOP-lowering medications increased after 3 months postoperatively. As cataract surgery may compromise filtering bleb function to a greater extent in trabeculectomized than in Ahmed glaucoma valve-implanted eyes, the former eyes require closer observation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