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세기 민화의 제작과 유통 일면 고찰 - 전주역사박물관 김철순 기증민화를 중심으로

        박근아(Park, Geunah) 한국민화학회 2021 한국민화 Vol.- No.14

        조선 후기의 서화 애호풍조가 민간에 점차 확산됨에 따라 19세기 서울 도심에서는 광통교를 중심으로 민화(民畵)를 포함한 각종 서화가 유통되었고, 지방에서도 이전 시기보다 활발하게 화단이 형성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20세기에 들어서면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시장을 통한 서화 거래가 더욱 증가하였으며, 민화는 방문 또는 벽장문에 바르는 도배지나 병풍 형식의 장식 그림으로 유통ㆍ소비되었다. 본고는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김철순 기증민화 중에서, 인쇄 민화와 연관성을 보이면서 화격(畫格)과 솜씨가 자유분방하고 소박한 필치의 민화 네 점을 중심으로 20세기 민화의 제작과 유통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단순하고 재미있는 그림, 해학적인 그림, 소박한 그림으로 보고 넘길 수도 있지만, 면밀하게 살펴보면 20세기에 대량 제작되어 대중적으로 유행한 인쇄 민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이에 더해 민화의 주된 형식이었던 병풍, 그리고 일제강점기 농촌(農村)의 부업(副業)에 주목하여 당시 신문기사 등을 1차 자료로 삼아 민화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인쇄 민화를 그대로 모방하여 그리거나 여러 인쇄 민화에서 취사선택하여 재구성한, 그러나 필력(筆力)이 뛰어나지 않은 민화 영모ㆍ화조도는 농촌에서 부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생필품으로써 농촌에서 소비되었을 가능성도 제기해 보았다. As the trends of love for painting and calligraphy had spread gradually among the general public in the late Joseon period, various painting and calligraphy pieces including folk paintings were distributed around Kwangtong Bridge at the heart of Seoul, and art circles tended to form more actively than before also in other regions in the 19th century. With the arrival of the 20th century, the trades of painting and calligraphy pieces had increased not only in Seoul but also in other regions, and folk paintings were distributed and consumed as the decorating picture of wallpaper on the room door or the closet door, or the folding screen.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an aspect of bird and flower painting, a folk painting of the 20th century, focusing on 4 folk paintings that showed a relationship with printed folk paintings as well as freewheeling but simple brush strokes in styles and skills, among folk paintings donated by Kim Cheolsoon, in the Jeonju Museum of History. Although these might be overlooked as just simple and interesting paintings, witty paintings or rustic paintings, it could be seen upon scrutinization that they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printed folk paintings that were mass-produced and distributed among the general public in the 20th century. Moreover, by focusing on the folding screen, a main form of folk paintings, and a side job of rural commu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ewspaper articles and other relevant documents were analyzed as the primary data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with folk paintings. Through this analysis, a possibility was suggested that folk painting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which were drawn to imitate the printed folk paintings as they were or reproduced with selections from multiple printed folk paintings but with low skills, were consumed in rural community as daily necessities produced as a side job there.

      • 일제강점기 ‘제지강습회(製紙講習會)’를 통한 전통제지기술의 변화 양상

        박근아(Park Geunah) 무형유산학회 2019 무형유산학 Vol.4 No.1

        한지는 닥나무를 원료로 하여 ‘견지’라 불릴 만큼 질기고 두터우며 윤택 있고 매끄러운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한지와 관련하여 중요무형문화재 제117호 한지장에 대한 연구, 겨레과학기술로서 한지의 우수성을 다룬 기술사적 연구, 조선시대 제지수공업을 중심으로 다룬 연구, 일제강점기 한지의 개량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성과가 있었다. 한지를 만드는 가둠뜨기(쌍발뜨기) 방식은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 유입된 기술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지금까지 일본식 방식과 도구를 한지 제작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전통방식에 비해 종이의 견고함은 낮아졌지만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본식 기술과 도구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떤 방식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는지 그 과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지기술이라는 무형유산 연구에 있어서, 일본식 도구와 기술이 언제, 어떠한 방식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개량과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제지강습회’에 주목하여 관보와 신문기사 및 문헌자료 등을 1차 자료로 삼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 총독부 정책의 일환으로 개최된 강습회는 가내수공업에 머물러있던 전통 제지의 원료재배에서부터 도구, 기술에 이르기까지 근대적인 개량과 이를 보급․확산하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이는 전통 제지기술의 직접적인 변화 요인이 되었다. 또한 강습회에 참가한 강습생들은 개량 제지법을 적극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로 인해 수출에 적합한 규격화가 이루어지는 등 근대화에 다가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이의 규격화 과정에서 우리의 다양한 전통 종이들이 사라졌으며, 질길 정도로 강했던 한지가 ‘개량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현재까지 일본의 제지방식이 주를 이루게 된 것은 또 다른 결과라 할 수 있다. 근대를 기점으로 근대 이전과 이후의 제지기술의 변화과정과 변화요인에 대해 접근함으로써 전통 제지기술의 실상에 다가가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Made from paper mulberry tree, hanji was also called ‘gyeonji’ for its durability, thickness, gloss and smoothness. With regard to hanji, there have been much accomplished on the researches on hanjijang (hanji craftsm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17), superiority of hanji as a national scientific technology, papermak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mprovement on hanji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Gadumddeugi technique, or ssangbalddeugi technique, in making hanji is known to have brought in from Japan during their occupation. We still use Japanese technique and instruments in hanji-making because although they may diminish paper durability, overall productivity increased. However, it is unknown exactly when and how these Japanese technique and instruments were brought into Korea.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intangible asset of papermaking, this paper explored on when and how these Japanese technique and instruments were brought into Korea and made a difference in the industry by focusing on the ‘papermaking institute’ and relevant gazettes, newspaper articles, literature. The institute was held as a part of the policy enfor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ts role was to modernize through diffusion and proliferation of cultivation of raw materials for traditional papermaking as well as instruments techniques for papermaking, and it served as a direct cause for change in traditional papermaking. The students also enthusiastically accepted the modified papermaking techniques. There were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modernization including standardization for export. Unfortunately, in the process, our traditional papers have disappeared, and sturdy hanji came to be perceived as a ‘subject for modification’ and Japanese papermaking techniques have become mainstream in the present day. I plan to find an opportunity to approach the true nature of traditional papermaking by exploring the course and factors of change in papermaking before and after modern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