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의 교수-학습, 어떻게 정의돼야 하나?

        박권생 ( Kwon Saeng Park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1 교육학논총 Vol.32 No.1

        지식-기반 사회, 그와 함께 열린 학습시대, 그리고 지식산업의 출현으로 주입식 강의 위주의 대학교육이 바뀌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걸맞게 바뀌어야 할 교수-학습 모형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먼저 대학교육을 통해 개발되어야 할 지적능력 5가지를 확정하고, 이들 능력의 본질을 지식의 종류와 관련시켜 분석하였다. 그리고는 이들 능력은 전통적 교수-학습 모형으로는 향상시키기 어려운 이행지식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고, 새로운 모형의 교수-학습 활동이 전개되어야 할 모습을 그려보았다. The emergence of knowledge-based society, knowledge industries, and the new learning age made it inevitable to discard the traditional cramming methode of college instruction. To explore a new teaching-learning model appropriate to the new society, this article first identified 5 intellectual abilities that should be developed through college education, and then analyzed the nature of the abilitie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knowledge associated with the abilities. Ascertaining that the abilities were associated mostly with procedural knowledge which was difficult to expand through the traditional model of instruction, a new model of teaching-learning was proposed.

      • KCI등재

        과거와 미래 그리고 교수법

        박권생(Park Kwon-saeng)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9 No.1

        With an attempt to abstract implications for classroom instruction, this study reviewed clinical psychological and neuropsycholog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t knowledge and the future imagination ability. Both clinical and neuropsycholgical evidence clearly indicates that the two are inseparably related. More specifically, those patients who cannot recollect their own episodic knowledge turned out to be unable to imagine or think about what would be happening in their future. Since the fundamental function of knowledge is to enable the knowers to plan their prospective actions so sophisticatedly that the success rate of the action be enhanced, it was concluded that all three types of knowledge ― semantic knowledge, episodic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 should equally be emphasized in all classroom instruction.

      • KCI등재
      • 분야-구체적 배경지식과 글의 결집성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양희경 ( Hee Gyung Yang ),박권생 ( Kwon Saeng Park )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2012 교육학논총 Vol.33 No.1

        분야-구체적 배경지식이 읽기를 통한 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이 글의 결집성(text cohesion)에 의해 조정되는 양상을 검토하였다. "세포분열"에 관한 글의 결집성 높낮이를 조작한 후, 이 글에 대한 분야-구체적 배경지식이 풍부한 집단(생물학 전공)과 빈약한 집단(심리학 전공)의 학습량을 세 가지 문제(글-기반 문제, 추론 문제, 상황모형 문제)로 구성된 검사로 측정하였다. 배경지식이 빈약한 학생들의 배움은 결집성의 영향을 받지 않는데 비해, 배경지식이 풍부한 학생들은 결집성이 낮은 글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는 것으로 드러났다. 배경지식과 결집성 간 상호작용 효과는 글-기반 문제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추론 문제와 상황모형 문제에서만 두드러졌다. This study explored how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text cohesion interactively contribute to learning from biology text. Two groups of college students read one of two biology texts-one of them was high in text-cohesion and the other was low in text-cohesion. One group of the students were rich in domain-specific biology knowledge and the other group was poor in domain- specific knowledge. Participants` learning was assessed with open-ended questions designed to measure different levels of understanding(i.e., text-base, inference generation, situation model). Results indicate that 1) students with poor in domain-specific knowledge were not affected by the levels of text- cohesion, while those with rich domain-specific knowledge learned more from the text with low cohesion; 2) overall learn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ticipants`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3) the interaction effects observed between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text-cohesion increased with the levels of comprehen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ctive involvement is prerequisite to reading for learning and that one way to induce readers` active involvement is to adjust the cohesion of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text.

      • KCI등재후보

        영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성인의 생리적 반응과 심리적 반응

        김영아 ( Young A Kim ),박권생 ( Kwon Saeng Park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8 동서정신과학 Vol.11 No.2

        모성애가 특별한 사랑인지를 검증하기 위해, 영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성인의 생리적 반응과 심리적 반응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영아의 웃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과 영아의 우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자극으로 제시하고, 자녀를 둔 어머니와 미혼 남녀대학생의 정서반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영아가 웃는 모습에 대해서는 각 집단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영아가 우는 모습에 대한 반응은 어머니와 남녀 대학생 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는 ``짜증난다``라고 반응한 응답자가 없었으나 남녀 대학생의 응답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 ``짜증난다``였다. 그리고 남녀 대학생 중 ``불쌍하다``, ``안됐다`` 등으로 응답한 참여자와 ``시끄럽다``, ``짜증난다``고 응답한 참여자의 생리적 반응에도 차이가 있었다. 생리적 반응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인 것은 피부전도도인 GSR 수치였다. GSR 수치가 짜증난다고 응답한 참여자의 경우는 내려갔으나 불쌍하다, 안됐다 등으로 응답한 참여자의 경우 GSR수치가 상승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students` emotional responses to emotional expressions of infants. Nine mothers and 67 students were shown video clips depicting infants smiling and crying. Using a polygraph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collected while each participants watched a video clip.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verbally describe the emotional feelings elicited by the video clips. Among several physiological responses, especially GSR analysis showed that the smiling infant clip equaled to the baseline, but the crying infant clip elicited much more autonomic arousal. And the verbal responses to the crying infant clip was different among subjects. Increase in GSR was associated with the response of a pity, but decrease in GSR was associated with the responses of a irritable. While no mother reported ``irritable`` to the crying infant, many students responded to the clip as ``irri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