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 SCOPUSSCIEKCI등재

        백서 삼차신경내 신경세포체의 치아이동에 따른 CGRP 면역염색성의 변화

        박국필,성재현,박효상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중추신경계에서는 동통의 전달을 조절하며 말초조직에서는 혈관이완, 면역체계의 조절, 탐식기능 조절 등의 염증에 관여되며 골 생성세도 관여하여 치아이동시 중요한 기능을 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 CGRP의 생성장소인 삼차신경절내의 세포체의 크기에 따른 CGRP면역 반응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삼차 신경절내 CGRP면역양성을 띄는 각 크기의 세포들의 치아이동의시간 경과에 따른 반응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생후 9주령의 Sprague-Dawley계 백서 30마리를 정상 대조군 6마리, 3시간 교정력 적용군 5마리, 12시간군 4마리, 1일군 5마리, 3일군 5마리, 7일군 5마리로 나누어 실험군은 각 해당 시간동안 상악 우측 제1대구치에 30gm내외의 교정력을 가한 후 희생시켰다. 희생시킨 백서의 삼차 신경절을 적출하여 냉동 절편을 형성한 후 토끼의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삼차 신경절의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를 크기에 따라 소형 (20㎛ 미만), 중형(20-35㎛), 대형(35㎛초과)으로 나누어 교정력 적용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1. 삼차 신경절내 전 신경세포체중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정상 대조군이 33.0%였으며, 교정력적용후 1일 후에는 24.5%로 감소하였으나 7일 후에는 41.8%로 증가하였다. 2. 정상대조군에서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중 소형, 중형, 대형은 각각 51.4%, 44.0%, 4.7%였다. 3. 소형의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3시간, 12시간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4. 중형의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3일, 7일군에서 대형의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는 7일군에 높게 나타났다. 위를 종합하여 볼 때 치아이동 초기에는 CGRP면역양성 신경세포체중 소형의 세포가, 후기에는 중형, 대형의 세포가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RP was known as the modulator of pain transmission in central nervous system and local effector to peripheral tissue causing vasodilation, increased blood flow, modulation of immune sysem, stimulation of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stimulation of bone formation. Numerous study, therefore, were done to elucidate involvement of CGRP to tooth movement. To investgate the response of CGRP immunoreactive nerve cells according to cell size in trigeminal ganglion during tooth movement, immunohistochemical study was performed using rat. Experimental rats(9 weeks old, 210gm) were divided as six groups(normal(n=6), 3 hour group(n=6), 3 hour group(n=5), 12 hour group(n=4), 1 day group(n=5), 3 day group(n=5), 7 day group(n=5), and were applied orthodontic force (apporximately 30 gm) to upper right maxillary molar. After frozen sections of trigeminal ganglions were immunostained using rabbit antisera, the change of CGRP immunoreactive cells in regard to cell size distribution(small cell(upto 20㎛), medium cell(20-35 ㎛), large cell(above 35㎛)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CGRP immunoreactive cells to all nerve cells in trigeminal ganglion was 33.0% in normal control group, was decreased to 24.5% in 1 day group, and was increased to 41.8% in 7 day group. 2. The percentage of small, medium, and large cells expressing CGRP immunoreactivity in normal trigeminal ganglion to all CGRP immunoreactive cells were 51.3%, 44.0%, 4.7%, respectively. 3. The percentage of small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to all CGRP immunoreactive cells was increased in 3 hour and 12 hour groups. 4. The percentage of medium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was increased in 3 day and 7 day groups. 5. The percentage of large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in 7 day group. Conclusively, the small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in trigeminal ganglion respond to orthodontic force during initial phase of tooth movement, and later the medium and large cells with CGRP immunoreactivity respo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