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경(越境)하는 정서 소외자와 대화의 (불)가능성 : 손장순 「對話」(1969)를 중심으로

        박구비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4 No.-

        손장순의 「對話」는 한국전쟁을 소환하여 인민군 소좌 나신호가 서울에서 마주치는 우발적 사건들과 변화를 그리고 있다. 미래에 좋은 삶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는 ‘행복’은 주체 구성과 지배의 테크놀로지로 기능한다. 나 소좌는 민족 통일과 인민 해방이라는 행복의 약속을 믿으며, 지배 이데올로기의 균열을 환상으로 가린 채, 이념 전쟁을 수행한다. 그러나 나 소좌는 서울을 점령하면서, 규범에 불합치를 느끼는 불온한 자, ‘정서 소외자’로서 행복에 의문을 제기하고, 다른 방식의 삶을 상상할 수 있게된다. 나 소좌는 남한 고위 공무원 안 국장의 저택을 점령하면서 여전히 부르주아 계급에 대한 분노를 보이면서도 안 국장의 서재의 문학 서적들과 음악들을 통해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삶의 층위에서 안 국장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그에게 친밀감을 느끼기까지 한다. 정림과의 우연한 마주침을 통해 나 소좌의 행복의 대상은 이데올로기에서 교양으로, 교양에서 감정으로 이동한다. 나 소좌의 말하기는 독백에서 대화로 변하는데, 이는 자신이 가진 폭력적 권력을 내려놓고, 경계를 넘어 사랑의 대상인 정림의 고유한 삶에 말 걸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반면 정림은 대화를 통해 나 소좌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면서도, 그를 반공 이데올로기라는 자기동일성으로 포섭하고자 하면서 이들의 대화는 불가능해진다. 결국 나 소좌만는 살아남아 이방인으로 살아가기를 선택하는데, 이는 손장순 문학의 윤리적 주체 형상이 ‘孤獨한 아웃사이더’에서 시작된다는 점, 행복을 재발명하는 ‘불행한’ 정서 소외자라는 것을 보여준다. 생존은 대화의 불가능성을 인식하면서도 끊임없이 타자에게 말을 걸고,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윤리적 이방인에게만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Son Jang-soon's “Conversation” depicts the changes and contingencies encountered by People's Army Major Na Shin-ho in Seoul by recalling the Korean War. Happiness, which is expected to bring a good life in the future, functions as a technology of subject composition and domination. Major Na believes in the promise of happiness of national unification and people's liberation, and conduct an ideological war, covering the cracks in the governing ideology with illusions. But as he takes over Seoul, Na realises that the ideology's "promise of happiness" is not right. As an unstable person who feels rejected by norms, he questions his happiness as an "affect alien" and can imagine a different way of life. He still shows anger at the bourgeoisie, occupying the mansion of Ahn, a high-ranking South Korean official. However, through Ahn's literature books and music in his study, the Major experiences Ahn indirectly on the level of life, not ideology, and even feels close to him. Through an accidental encounter with Jeong-rim, Mr. Na moves from ideology to culture and from culture to emotion. Na's speech changes from monologue to conversation. He tries to put down his violent power and talk to her existence, as the object of love beyond his boundaries. On the other hand, through conversation, Jeong-rim has a positive feeling about his position, but tries to embrace him with the self-identity of anti-communist ideology. Eventually, as their conversation slips, Major Na chooses to survive and live as a stranger. “Conversation” shows that Son Jang-soon's ethical figure of literature begins with a “solitary outsider”, and that he is an “unhappy” affect alien who reinvents happiness. This is because survival is only possible for an ethical stranger who constantly wants to talk to others and live together, while recognising the impossibility of dialogue.

      • KCI등재
      • KCI등재

        정서 소외자의 탄생과 행복의 재발명―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박구비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1960년대의 국가 재건 프로젝트는 젠더화되어 여성들을 사적 영역에 배치하고, 여성들을 ‘스위트홈’의 ‘가정의 천사’로 호명하면서 사회적 코드로서의 젠더화된 교양에 따를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여성 지식인 인물들은 ‘행복’의 약속을 믿고 살아가는 여성들의 현실화된 ‘불행’을 그려낸다. 유예되고 어긋나는 ‘행복’의 약속은 ‘행복’ 자체에 대한 의문을 낳는다.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은 남지영의 서사를 통해서 ‘좋은 삶’에 대한 애착을 만들어내는 이데올로기들의 작용으로 인해 정서 소외자가 탄생하는 지점을 보여준다. 분위기를 깨는 정서 소외자는 억압되었던 자신의 불행을 말할 수 있게 되고, 지배 질서가 요구하는 행복의 실재를 드러내게 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전쟁은 모든 이들의 삶을 파괴하는 죽음의 사건이지만, 여성 인물에게는 공적 공간으로 진출할 수 있게 하는 삶의 사건이기도 하다. 전쟁 경험의 폭력성은 주체를 정서 소외자에서 그치지 않고 윤리적 ‘순애자’ 주체로 나아가게 한다. 일상의 단절로 인한 소진의 경험은 주체를 한계 너머로 이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면서 자신의 취약성과 타자와의 우발적 만남에 열리게 한다. 타자들을 향한 돌봄의 삶은 지금 여기의 행복을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열려 있는 삶의 우발성과 불확정성 앞에서 주체는 ‘행복’이란 불가능한 것에 대한 향유라는 것을 인식하고 주어진 길을 묵묵히 걸어간다. 행복은 그 길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타자들과 매순간 재발명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The national reconstruction project of the 1960s was gendered, placing women in the private domain, calling them ‘house angels’ of the ‘Sweet Home,’ and requiring them to conform to the gendered culture of social code. However, female intellectual figures portray the realized ‘unhappiness’ of women who believe in the promise of ‘happiness.’ The promise of ‘happiness,’ which is deferred and contrary, raises questions about ‘happiness’ itself. Park Kyung-ri’s Market and Battlefield shows the point where ‘Affect Alien’ is born due to the actions of ideologies that create an attachment to ‘good life’ through Nam Ji-young’s narrative. The emotionally marginalized person, who breaks the mood, is problematic in that he or she will be able to speak of his or her misfortunes that have been suppressed and reveal the reality of happiness demanded by the ruling order. War is an event of death that destroys everyone’s lives, but it is also an event of life that allows female figures to advance into public spaces. The violence of war experience does not only stop the subject from being emotionally alienated, but also moves on to being an ethical subject. The experience of exhaustion due to daily disconnection opens up to one’s vulnerability and accidentally encounters with others, creating the possibility of implementing the subject beyond its limits. A caring life for others is now an attempt to reconstruct happiness here. In the face of open life contingencies and uncertainties, the subject walks silently along the given path, recognizing that ‘happiness’ is a joy to the impossible. For happiness is to be reinvented every second with others who run into each other on the road.

      • KCI등재

        문자/비문자 세계의 접합 (불)가능성과 ‘있지 않음’의 윤리 - 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2016)를 중심으로 -

        박구비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6

        In this study, we read Kim’s “Too Bright Midday for Romance” as a work that proposes a new contemporary ethics through the articulation of the literal and non-literal worlds. On the surface, it is a story of a failed romance, however,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as a supplement for each other, while witnessing the love that lies beneath the failure. Pil-yong, who lives in the world of letters, and Yang-hee, who lives in the world of non-letters, reach the moment of articulation through an extraordinary event called “love.” Pil-yong and Yang-hee are temporarily able to communicate with Yang-hee’s confession, but in the end, the worlds of Pil-yong, who asks for the reason for her love, and Yang-hee, who cannot answer, are driven apart. However, as they have crossed the threshold of their two worlds, they cannot revert to their former identities. The subject’s experience of self-dispossession at the confluence of two disparate worlds destroys the perfection of the “Capital Self” that the Logos has created as a fantasy. In the end, Pil-yong realises his vulnerability and interdependence, breaks away from the literal world, and embraces the non-literal world that exists as a “Not-being.” When we recognise our vulnerability through falling, we can see things that we thought were absent because they were invisible. Through the moment of convergence between the literal and non-literal worlds, “Too Bright Midday for Romance” suggests a new ethics for the invisible, the things that exist around us as “Not-there”, and tests the possibility of cohabitation with the others. 본 연구는 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를 문자와 비문자 세계의 접합을 통해 동시대의 새로운 윤리를 제시하는 작품으로 읽는다. 이 소설은 표면적으로 실패한 연애담을 통해 오히려 그 실패의 기저에 잠재되어 있는 사랑에 주목하게 한다. 나아가 두 인물과 세계가 서로를 대리보충하며 공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것이다. 문자의 세계를 살아가는 필용과 비문자의 세계를 살아가는 양희는 ‘연애’라는 비일상적인 사건을 통해 접합의 순간을 맞이한다. 양희의 고백으로 인해 그들은 일시적으로 소통의 가능성을 갖지만, 결국 사랑의 이유를 묻는 필용과 그 이유를 대답할 수 없는 양희의 세계는 멀어지고 만다. 그러나 이 실패한 연애담은 15년만의 우연한 마주침을 통해 한 번 자신의 문턱을 이행한 주체는 다시 이전의 자기동일성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점을 드러낸다. 이질적인 두 세계가 접합할 때 주체가 경험하는 자기-박탈의 순간은 로고스가 거짓으로 만들어낸 대문자 자아의 완전성을 무너뜨리기 때문이다. 양희와의 재회를 통해 필용은 자신의 취약성을 인식하고, 비로소 문자의 세계에서 벗어나 ‘있지 않음’으로 존재하는 비문자의 세계를 받아들이게 된다. 추락을 통해 자신이 이미 박탈되어 있음을 인식할 때, 비가시적이라는 이유로 부재한다 여겼던것들이 비로소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 이렇듯 김금희의 「너무 한낮의 연애」는 문자 세계와 비문자 세계의 접합의 순간 일어나는 자기-박탈 경험을 통해 비가시적인 것들, 우리 주변에 ‘있지 않음’으로 존재하는 것들에 대한 새로운 윤리를 제시하며 자기보존의 시대, 타자들과의 공거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