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정보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 핵심지역 도출

        박곤,김윤기,홍성언 한국지적학회 2020 한국지적학회지 Vol.36 No.1

        This study suggests methods to extract significant areas of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using methods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based on cadastral data. A green infrastructure network is classified into ‘hubs’ and ‘links.’ Although many prior studies have focused on land uses to establish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this study suggests quantitative methods for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formula to calculate values in the relation between hubs in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was developed and suggests importance of hubs with applying to a method of weighted degree in soci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five hubs in Gangbuk has the higher values of importance in comparison with hubs in Gangnam that also contains five hubs within ten hubs that have higher values in 20 hubs for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in Seoul. This study also suggests hubs and links based on variable scenarios to establish networks. The most significant part of this study is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to geospatial data based on cadastral data. This study suggests importance of cadastral data to analyze environmental issues with different methodologies in comparison with prior studies. 본 연구는 지적정보를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에 적용하여 네트워크 개념의 그린인프라스트럭처 핵심지역 도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는 ‘핵심 녹지지역’과 ‘연결지역’으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토지이용현황 정보만을 이용한 구성요소 분석을 진행하여 네트워크의 정량적 분석방법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수치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적정보 기반의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사회연결망 분석 수식을 해당 연구에 적합하도록 개선하여 네트워크 결집력을 나타내는 ‘핵심 녹지지역 간 관계수치’ 수식을 도출하였다. 수식에서 산출된 결과는 연결정도 가중치 분석에 적용되어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핵심 녹지지역’의 중요도 분석에 활용되었다. 그 결과 서울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를 위한 상위 5개 ‘핵심 녹지지역’은 강북지역에 위치하며, 다음으로 강남지역의 5개 ‘핵심 녹지지역’이 중요지역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미래 시나리오에 따른 효율적인 ‘핵심 녹지지역’과 ‘연결지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핵심 데이터로 활용된 지적정보는 환경 분야의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제시하고, 지적정보의 중요성 및 활용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연속지적도를 이용한 서울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분석

        박곤,김윤기,홍성언 한국지적학회 2018 한국지적학회지 Vol.34 No.2

        서울시의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녹지축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시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고려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계획을 수립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현황 및 면적 등의 필지정보를 제공하는 연속지적도를 활용하여 서울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현황과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는 지역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964,674개 필지정보와 토지피복지도의 일치 비율을 산출하여 필지정보의 활용 적절 여부를 분석하였고, 각 지목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방해수치를 도출하여 서울시의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방해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구의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1㎡당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1인당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와 권역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정도,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시급지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린 인프라스트럭처와 같은 환경 분야에 필지정보의 활용방안 및 중요성을 제시한다. Seoul city established the 2030 Seoul City Master Plan to resolve the environmental issues with green corridors. Green strategies of Seoul city have limitations of planing because of their conven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are only classified into protection areas and conventional development. Thus, this study assesses green infrastructure of 25 boroughs within Seoul city to identify significant areas for green strategies. To apply parcel data of cadastral information, 964,674 of parcels were compared with 135 of land use maps with calculating percent agreements of land categories of parcel data and land uses from satellite imagery. Impedance values of land uses were applied to land categories to assess green infrastructure of Seoul city. This study indicates levels of green infrastructure of 25 boroughs, per person, and per 1㎡, and suggests site prioritization for green infrastructure initiatives of Seoul city.

      • SCOPUSSCIE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