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吳貞姬 소설에 나타난 環境의 修辭學

        박경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4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of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as the intersection of the rhetoric of using the environment to tell stories and the rhetoric of telling stories about the environment in Oh Jung-hee’s novels.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s a strategy of constructing a narrative by representing the environment in a certain way through the environmental rhetoric. In “The Gray of the Morning(未明)”, the place that has been neglected by humans and the non-human ecosystem that is formed there function as the environmental rhetoric. This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lluminates the human body shaped by its material interaction with non-human ecosystems, and constitutes a narrative in which the character’s self and perception of the world are changed and her wounds are healed. In “Paroho(破虜湖)”, the place destroyed by humans and the history of non-humans that has accumulated there function as the environmental rhetoric. This rhetoric of the environment constitutes a narrative in which the character seeks a new language that can tell the self and the world, by representing the history of non-humans and showing how the character accepts the sign of non-humans, which humans cannot define. The rhetoric of the environment in Oh Jung-hee’s novels shows that literature is formed in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which is an active agent of meaning-making. 박경진, 2023,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환경의 수사학, 어문연구, 200 : 277~311 이 글에서는 오정희 소설에서 환경을 이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사학과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수사학의 교차점으로서 ‘환경의 수사학’이 나타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환경의 수사학은 환경의 수사를 통해 환경을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하면서 서사를 구성하는 전략이다. 「미명」에서는 인간에 의해 방치된 장소와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비인간의 생태계가 환경의 수사로 나타난다. 「미명」에서 환경의 수사학은 비인간의 생태계와 물질적으로 상호작용하며 형성되는 인간의 몸을 조명하며 인물의 자아와 세계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그의 상처가 치유되는 서사를 구성한다. 「파로호」에서는 인간에 의해 파괴된 장소와 그곳에서 축적되는 비인간의 역사가 환경의 수사로 나타난다. 「파로호」에서 환경의 수사학은 비인간의 역사를 재현하며 인물이 인간이 규정할 수 없는 비인간의 기호를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인물이 자아와 세계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를 모색하는 서사를 구성한다. 환경의 수사학은 문학이 환경과 불가분한 관계에서 형성되고 환경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만들어 내는 주체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기업집단의 총수는 어떤 회사를 직접 경영하는가?

        박경진,오원정 한국기업경영학회 2009 기업경영연구 Vol.16 No.3

        In Korea, the business groups, as it is called Chaebol, are controlled and owned by families. Although own family members took charge only 3~6% of the whole board member, the higher rank,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ir members. In that, only few of families took charge of higher rank of board member, so they can manage and control their whole companies. After IMF, Chaebols had to carry out major restructuring and the heads of them adopted “the agreement of restructuring of the five groups”. But, chaebol families haven't changed their ownership, instead, they have decided to make professional CEOs to manage their companies. So, they have to choose that companies are manage directly by themselves. It can be issues who owns companies as well as who manages cause the executives can decide the whole activities directly. Also, the heads of groups are representative of groups and they are the most powerful to control whole groups so the issue that which companies are managed directly by them can be material. Most of prior studies regarded the ownership-management structure as a exogenous factor. They researched how the separation of ownership and control affected effectiveness or firm value. But We think own families have the selection power which companies are managed or not. This paper examines which companies are directly managed by the heads of the business groups. As a result, the head of business groups have taken charge of the CEO of representative companies that have large assets or that can be regarded as parent companies that are the oldest among groups or that are listed to stock market, We find that the head-CEO dummy is not sensitive to the firm profitability, so that indicates the head of groups are less likely to consider companies’ profitability. Next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head-CEO dummy and the disparity between cash-flow rights and voting rights that measures tunnelling, In business groups, the less disparity, the higher ownership structure, so the head of groups tend to manage companies that have less parity. These results show the head of business groups are more inclined to manage directly companies that are widely known and have less disparity in order to control whole groups because these companies have the representativeness, so they have a great influence to whole companies within groups. Next we can research which managing companies own families select when groups establish holding companies or spin off, then we can find that own families want to keep certain companies as managing companies because of governance. 본 연구는 대규모 기업집단의 지배가족 중 대표자인 그룹 총수가 그룹 내의 어떤 회사의 대표이사직을 맡는 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그룹 내에서 자산규모가 크거나 기업년수, 즉 설립한지 오래된 회사 그리고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회사의 대표이사직을 맡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결과는 총수의 경우 그룹 내에서 가장 대표성이 높은 회사들을 직접 경영하려는 경향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기업의 수익성은 그룹 총수의 경영권 선택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의 이전과 관련하여 살펴 본 현금흐름권과 의결권 차이를 나타내는 괴리도는 유의성이 떨어지고 모형마다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나 총수경영과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규모 기업집단의 효율적인 수익성이 높은 회사보다는 그룹 내의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 회사 또는 소유구조에서 상위에 있는 기업의 대표이사직을 맡음으로써 그룹 전체를 지배하고자 함을 의미한다.

      • 포토마스크가 필요 없는 스크린 제판 기술 개발(II)

        박경진,강효진,김성빈,남수용,안병현,Park, Kyoung-Jin,Kang, Hyo-Jin,Kim, Sung-Bin,Nam, Su-Yong,Ahn, Byung-Hyun 한국인쇄학회 2008 한국인쇄학회지 Vol.26 No.2

        We have manufactured a photoresist which has excellent dispersity and good applying property due to 330 cps of viscosity for environment-friendly and economical maskless screen plate making. And the photoresist applied on the screen stretched was exposed with mask by UV-LED light source so we could manufacture the photoresist which proper for the UV light source. And it was developed by air spray with $1.7\;kgf/cm^2$ of injection pressure. Because of the excellence of power and resolution of the UV-LED light sourse, the pencil hardness and solvent resistance of curing photoresist film were excellent as those of conventional photoresist film. Moreover the $100{\mu}m$-width stripe image which has sharp edges was formed. So we confirmed a possibility of dry development process by air spray method.

      • KCI등재

        식품산업체에서 확률분포 모델을 이용한 불규칙적인 미생물 수 분포 활용

        박경진,김성조,심우창,천석조,최원상,홍종해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8 No.4

        식품산업체에서 검사한 자료의 일반세균수는 대부분 불규칙 분포를 나타낸다. 최근 이러한 불규칙적인 경향에 대하여 미생 물수의 lognormal 분포 특성을 이용하는 확률분포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좀더 정확한 변화의 특성을 밝히고 있다. 확률분포 모델을 이용하면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 등의 분석결과에 대해 과거의 단순한 경향분석을 벗어나, 유용한 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 다. 본 연구는 냉동만두류를 생성하는 2개 업체의 각각 1년 동안 실험된 일반세균 자료를 갖고, 확률분포 모델 활용의 타당성과 업체간의 위생수준 상호비교 그리고 예상되는 위해 발생 예측에 적용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정량적인 미생물 자료에 대한 확률분포 모델의 적용은 식품산업체에서 일반세균수에 의한 위해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안전관리 수준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Sequences of industrial microbial counts of foods shows irregular fluctuating patterns as a definition of fluctuating microbial counts(FMC). Recently, it became clear that the FMC was considered as having a lognormal distribution as first order approximation. Application of lognormal distribution to the industrial microbial counts could produce useful information in practice. This study is intended to verify the application method of lognormal distribution in FMC. The one year's records of microbial counts of frozen dumplings from two companies were obtain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frequencies of future events where counts exceeding selected levels and to compare the sanitation level of the two compan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application method enable translation of irregular records of microbial counts into an useful information such as the actual probabilities of outburst of a given level and the quantitative predictions of potential hazards in the processing.

      • KCI등재

        차세대 신생아 선별검사에 대한 전망

        박경진,김종원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5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5 No.4

        Newborn screening (NBS) has been effective for detecting asymptomatic newborns with inherited metabolic diseases and has facilitated early clinical intervention, which has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rat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caused by these diseases. The outcome of the NBS program heavily depends on technological advances. Since Dr. Robert Guthrie developed a bacterial inhibition assay to screen for metabolic diseases in the early 1960s, use of the NBS program has spread to many countries. Tandem mass spectrometry (TMS) was a second major technological breakthrough that has allowed screening to be extended to disorders of fatty acid and organic acid metabolism as well as to those of amino acid metabolism, and recently screening has also been expanded to include lysosomal storage diseases. TMS can detect multiple analytes rapidly and simultaneously and is currently applied to nearly 80% of the newborn population in Korea.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could be another major breakthrough to improve the current NBS program. To integrate NGS into the NBS program, various considerations about its analytical validity, clinical validity, clinical utility, and 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should be addressed on the basis of population screening. Here, the authors review population screening criteria, the current status of NBS, and recent advances in NGS. In addition, we discuss the practical and ethical issu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NGS in NBS. 신생아 선별검사는 증상이 없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함으로써 합병증 및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입된 프로그램이다. 꾸준한 기술적 진보를 통해 신생아 선별검사 프로그램은 공중보건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1960년대 초반 R. Guthrie에 의해 세균억제법이 개발된 이후, 프로그램은 여러 나라로 널리 확대 시행되었다. 이후, 탠덤질량분석법이 개발되어 지방산질환 및 유기산질환, 최근에는 리소좀축적질환까지 선별할 수 있게 되었다. 탠덤질량분석법을 이용하면 단시간 내 여러 물질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어, 선별검사 프로그램 향상에 획기적 기여를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신생아의 80% 정도에서 탠덤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신생아 선별검사를 시행한다. 향후에는 차세대유전체분석법의 적용에 의해 현행 신생아 선별검사 프로그램이 더 향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차세대유전체분석법을 신생아 선별검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통합하기 위해서는 분석적 타당성, 임상적 타당성, 임상적 유용성 및 윤리적·법적·사회적 이슈 등을 집단선별검사라는 관점에서 고려하여야 한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신생아 선별검사의 현황, 집단선별검사 기준, 차세대유전체분석법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차세대유전체분석법을 신생아 선별검사에 적용 시, 고려사항 및 기회 및 해결과제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