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실행경험 및 인식 -인공지능 교육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박경옥 ( Park Kyoung Ock ),옥민욱 ( Ok Min Wook ),김지연 ( Kim Ji 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3 지적장애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공지능 교육의 현재 상황과 성공적인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방향성과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인공지능 교육 선도학교를 운영 중인 특수학교의 교사 5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는 개방형 코딩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의 분석을 통해서 44개 범주, 19개의 주제, 5개의 대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시대적, 사회적 요구로 인해 특수교육 현장에 인공지능 교육이 도입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교육은 초기 단계로 교사들의 이해는 충분치 않은 상태로 나타났다. 셋째, 그러나 특수교사들은 인공지능의 장점과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변화로 인해 특수교육 현장에 긍정적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넷째, 긍정적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특수교육에서의 인공지능 교육의 발전은 요원하고 점검해 나가야 할 부분이 많다고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육에서 인공지능 교육의 안착을 위해서는 교육과정과의 연계, 콘텐츠 개발과 플랫폼 마련, 교사 역량 강화와 학교 풍토 변화, 행·재정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도출된 결과에 따른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AI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and discuss the directions and support needs for successful AI education. For this purpose, two grou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AI education leading sch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 open-ended coding method, yielding 44 sub-themes, 19 themes, and 5 categorie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I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du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changes in society. Second, AI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teachers' competency is not yet sufficient.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cted positive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due to AI's advantages and the changes it brings. Fourth, despite the positive expecta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that the development of AI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was still a long way off and that there were many areas that need to be explored. Last, the findings revealed that use of AI aligning with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ing AI content and platforms, developing teacher competency, changing the school atmosphere,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ere needed for successful AI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실습을 이수한 예비특수교사의 수업설계활동에 대한 인식 비교

        박경옥 ( Kyoung Ock Park ),서선진 ( Seon Jin Se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3

        이 연구는 교육실습 과정에서 수업설계 활동을 경험한 예비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설계 활동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정도가 특수교육전공과 교수학습과정안 작성 경험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특수교육과가 설치된 11개 대학 360명의 학생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수업설계활동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천정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였고, 수업설계 순서는 유아, 초등, 중등특수교육 전공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업설계과정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은 학습목표 설정, 교수·학습 활동 계획, 수업자료의 선정및 제작, 수업 실행, 개별화된 교수적 지원, 교육성과의 평가, 수업 개선 노력 등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앞으로 특수교육에서 양질의 수업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업설계 과정의 교육 강화와 현장실습의 체계적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nactment of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by their majors and previous experience of developing lesson plans. Three hundreds and sixty pre-service teachers from 11 universities nationwide answered the survey on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from Dick & Carey model right after finishing their teaching practic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did not enact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enough to satisfy what they actually perceived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s importantly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their instructional planning differently by their majors (that is, early childhood, elementary, and secondary special education major).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y had trouble with instructional design in terms of developing learning objectives, planning instructional activities,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 engaging instructional evaluation, and using reflection.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teach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were provided.

      • KCI등재

        COVID-19를 경험한 장애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요구분석

        박경옥 ( Park Kyoung-ock ),김지연 ( Kim Ji-ye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장애대학생 및 장애 유형별 온라인 수업 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온라인 수업을 개선을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에서 장애대학생이 가장 많이 재학하고 있는 A 대학교 장애대학생 5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장애 영역별 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과 관련된 요인들의 중요수준과 실행수준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7개의 요인 중 교수·학습 방법을 제외한 학습내용, 컴퓨터 및 시스템 지원, 학습자 또는 지원인력과 상호작용, 심리·정서적 지원, 학습 성과관리, 교·강사의 역량에서 중요수준이 실행수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수업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과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종합한 결과, 컴퓨터 및 시스템 지원, 심리·정서적 지원, 학습 성과관리가 가장 최우선적으로 강화해야 할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장애유형별로 온라인 수업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최우선적 강화 요인으로 시각장애, 청각장애, 뇌병변장애학생 공통으로 심리·정서적 지원이 도출되었다. 컴퓨터 및 시스템 지원은 청각장애와 뇌성마비장애학생, 학습성과관리는 청각장애학생, 교·강사의 역량은 뇌병변장애학생에게 우선 강화해야 할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세부 항목별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및 뇌병변장애학생 모두 요구의 우선순위가 달리 나타났다. 이는 개별 학생의 지원 요구의 개별성을 바탕으로 한 학습 및 생활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online classes, and find support plans for improving online classes based on the nee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53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factors related to online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mportance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level in learning content, computer and system support, interactions with learners, psychological & emotional support,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 and instructors’ competency. In particular, computer and system support, psychological & emotional support, and assessing learning outcome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reinforced as a result of combining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eds for online classe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psychological & emotional support was derived in common wit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earing impairments, and brain lesions as the most important reinforcing factors. Computer and system support was identified as a factor that should be firstly strengthened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brain lesions, assessment of learning outcome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instructors’ competencies for students with brain lesions. By detailed category, the priority of needs was different for all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earing impairments, and brain lesions. This suggests that learning and life support based on the individuality of the individual student's support needs is necessa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future support was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분석

        박경옥 ( Park Kyoung Oc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교(급)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으로 수집한 161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삼았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발달단계는 변인에 따라 t =149.89(p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성장단계 및 성숙단계에서 저경력 교사와 고경력 교사들이, 그리고 부장교사와 교사들 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수학급과 통합학급 교사 간에는 성숙단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은 변인에 따라t =124.074(p <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내용지식 교수법, 수업설계, 수업실행, 수업 성찰 및 반성 등의 영역에서 고경력 교사, 부장교사가 저경력 교사나 부장이 아닌 교사 간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 전문성의 차이를 살펴본결과, 생존단계의 특수교사 및 직업적 좌절단계 특수교사들과 성장 및 성숙단계 특수교사 간에는 내용지식교수법, 학생이해, 그리고 학습 환경조성 및 수업에 대한 반성 영역에서 유의 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특수교사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사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수업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극적 지원과 교직 적응에 대한 지원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함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of differences in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out adaptation to teacher training and process of developmen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rveys were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on 161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nationwide. First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eacher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of teachers with t =149.89(p < .001). Secondly,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of teachers with t =124.074(p <.001). Thir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teacher develop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knowledge education, understanding of students, promotion of learning environment and self-reflection on lessons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urvival and occupational frustration stage and growth and maturation stage. Thus,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support system that consid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s also included in this study for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adaptation to teaching profession that could satisfy teachers’ needs.

      • KCI등재

        유·초·중등 특수교사의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교수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잠재평균분석

        박경옥 ( Park Kyoung Ock ),김지연 ( Kim Jiyeo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급별(유, 초, 중등)에 따라 특수교사의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교수 효능감,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하위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 특수교사 지원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695명의 특수교사의 온라인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우선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후, 확인적요인분석방법으로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교수효능감,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측정변수들이 상위 개념인 잠재변수으로 설명되는지 확인하였다. 유, 초, 중등 특수교사 집단별로 각 도구 내의 잠재변수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기 위하여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특수교사는 중등특수교사에 비해 감정노동의 표면적 행동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초등특수교사 또한 중등특수교사에 비해 감정노동의 표면적 행동에서 높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 중 정서적 고갈에서 유아특수교사와 초등특수교사는 중등특수교사보다 높게 나타났고,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반면, 심리적 소진 중 개인적 성취감은 중등특수교사가 초등특수교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 효능감의 하위 요인인 학생지도효능감과 업무관계효능감에서 유아특수교사와 초등특수교사는 중등특수교사보다 낮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인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에서 유아특수교사와 초등특수교사는 중등특수교사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학교급별에 따른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교수효능감, 사회적 지지 차이를 논의하였고, 향후 특수교사의 지원 정책 마련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atent means of emotional labor, psychological burnout, instructional efficiency, and social support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at which they are employed (i.e., preschool, elementary & secondary). [Method] We analyzed online survey data involving 695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e then confirmed whether variables measuring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psychological burnout, instructional efficiency, and social support were latent variables. A latent mea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s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for each grou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ults] First,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preschool teachers than in secondary teachers. Second, in terms of emotional exhaustion in psychological burnout, preschool and elementary teachers were higher than secondary teachers and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psychological burnout, personal achievement was lower in secondary teachers than in elementary teachers. Third, in terms of student guidance efficiency and work relationship efficiency, preschool and elementary teachers were lower than those seen in secondary teachers. Fourth, in terms of emotional and information support, preschool and elementary teachers had less support than secondary teachers. [Conclusion] U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differences between emotional labor, psychological burnout, instructional efficiency and social support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different school levels were discussed. Suggestions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support polici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the future were also made.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구현: 특수교사 연구회 구성원의 인식 및 경험을 중심으로

        박경옥 ( Kyoung Ock Park ),서선진 ( Seonjin Se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IEP)을 작성하는데 있어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특수교사의 경험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수학교의 수업연구회 소속 교사 6명이 핵심집단면담에 참여하였다. 총 3회에 걸친 면담은 반구조화 된 면담 질문을 사용하였고, 면담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멤버체크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면담은 모두 전사되었으며 주제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자료를 분석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IEP는 과정, 교과목, 교사 등에 따라 다 양하게 작성되며, 2) 성취기준 기반 교육과정을 적용하면서 특수교사는 내적 갈등과 함께 학 교 관리자와의 갈등을 경험하였다. 3) 성취기준 기반의 교육과정을 IEP에 적용하는 과정에 서 교사는 낮은 자기 효능감을 보여주고 있으며 4) IEP 실행 체제의 취약성이 성취기준 기 반 교육과정과 IEP를 적용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5) 중도·중복장애 학생 의 IEP와 교육과정을 연계하기 위한 종합적인 지원과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IEP를 효율적으로 구안하고 실현하기 위한 주요 요 소와 실제를 밝히고 이 학생들의 장애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IEP 수립과 운영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special education teacher learning cohort``s experiences and suggestions on improving individualized educational plans(IEPs) using standards-base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or multiple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 was a group of 6 teachers who served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 special school, whose group pursued quality IEPs for their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three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EP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or multiple disabilitie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ways depending on subjects, school levels or teachers. Second, there were inner and outer conflict in teache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 needs and how curriculum was operated.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low self-efficacy to develop IEPs for those with severe and/or multiple disabilities. Fourth, IEPs had a weak implementation system on its own. Last, teachers mentioned multiple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standards-based curriculum and IEPs for their students with severe and/or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시 기본 교육과정 적용 및 평가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박경옥 ( Park Kyoung-ock ),강은영 ( Kang Eun-young ),박남수 ( Park Nam-su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 특수학급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함에 있어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경우, 특수학급 교사가 기본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80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학교급별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활용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교육과정 적용 여부 결정 기준과 교육목표 우선순위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적절성, 활용 정도에 대한 인식에서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기본 교육과정 적용 시 어려움과 성취기준의 위계를 고려한 평가 정도, 그리고 효과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한 개선 요구에 있어서는 과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기본 교육과정 적용 시 평가방안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al class teachers’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he basic curriculum across the level of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804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ne-way ANOVA and χ2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find ou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by school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special class teachers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to apply the basic curriculum and the priority of educational goals. Second, teachers in special class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chool cours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appropriateness and degree of use of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ird, special class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valuation considering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the hierarchy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in order to be evaluated eff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discussion on evaluation methods of special clas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oposed when applying the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ssigned to special classes.

      • KCI등재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 특수교육 교원이 겪는 교직 적응 과정에서의 도전과 지원 요구

        박경옥 ( Park Kyoung-ock ),서선진 ( Seo Seon-ji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1

        이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 교원들이 특수교육 현장에 적응하면서 경험한 고충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인적인 노력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 특수교육 교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그들의 교직적응 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면담 결과, 지체장애인 교원들은 높은 기대와 교직적응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가지고 교직에 입문하였으나 막상 교육현장에서 그들이 맞이한 것은 이동 제한, 역기능적 사회적 관계, 불합리한 업무 배정 등에서 두터운 장벽이 존재하고 있었다. 지체장애인 교원들이 가진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지원 방안에 대해서 제안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체장애인 교원이 특수교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첫째, 장애인 교원의 직업적 자기결정력을 강화할 수 있는 개인적인 노력의 방법과 직업 전 교육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지체장애인 교원들의 직무수행에 실제적이고 실질적인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체장애인 교원들의 정당한 권리 보호를 위해 정부 및 지역 교육청 차원에서 장애인교원 단체의 설립을 지원해 나가야 함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performing their teaching jobs. Seven teach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cerebral palsy who have worked in special schools or self-contained classroom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interviewed had high expectations on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reer and strong self-efficacy in doing their work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realities in schools they have worked were somewhat crucial. School building were slippery for teachers with clutches. The teachers interviewed have been concerned with unfairness in their job assignment and dysfunctional social relations with their peers. The teachers also suggested that strong support for helping them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as well as more attentions are needed to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the adjust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의 특수교육 적용기대감과 현존감(Presence) 요인에 대한 연구: 예비특수교사 대상으로

        박경옥 ( Kyoung Ock Park ),백종남 ( Jong Nam Baek ),서선진 ( Seon Jin Seo ),이양원 ( Yang Won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1

        이 연구는 실제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현실 세계에서는 쉽게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정보를 제공해 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의 특수교육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기대감은 어떠한가? 둘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현존감 요인은 무엇이고 그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증강현실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에는 총 230명 학생이 참여하였고, 그 중 영상을 모두 시청하였고 증강현실에 대해 매우 잘 이해한다고 응답한 학생 183명을 첫 번째연구문제 자료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다시 이중에서 1회 이상 증강현실 체험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한 학생 108명의 자료를 두 번째와 세 번째 연구문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특수교사들은 증강현실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갖고 있었으며, 증강현실 기술이 장애학생들에게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평소 경험하지 못했던 자유로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강현실 적용에 대한 부정적 우려는 그 기대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증강현실에 대한 부정적 우려감은 학생이 선호하는 콘텐츠에 과도하게 몰입할수도 있고 다른 평면적인 학습 자료에 대한 흥미가 저하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둘째, 증강현실 현존감은 즐거움과 상호작용 요인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접근성과 몰입감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 기대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현존감 요인은 즐거움과 상호작용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따라 증강현실을 특수교육에 적용할 때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Augmented Reality(AR) in applying it to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3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who agreeing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relatively high expectations on applying AR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s reasons mentioned were that AR technology provides many experiential opportunities and more freedom whi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not yet experienced.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so had concerns about applying AR to special education. Their concerns about AR were appeared in terms of the possibilities of students being excessively engaged in AR and being less interested in traditional learning materials. Second, AR presence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high enough to expect the future use of AR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terms of its enjoyment, mutual communication, realization, and performance, whereas low expectations for AR``s accessibility and flow. Third, major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ositive perceptions on AR were enjoyment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