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새로 발굴한 방언(4)

        박경래,강영봉,김정대,곽충구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10

        이 글은 “새로 발굴한 방언”을 소개하는 네 번째 연재물이다. 이 연재물에서는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고 다른 연구물에서도 소개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방언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지만 사전에 등재되어 있거나 학계에 소개되었더라도 풀이가 잘못 되었거나 의미나 용법이 달라 새롭게 이해하고 바로잡기 위한 목적도 있다. 이 연재물에서 소개하는 방언들은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던 단어나 형태소들이다. 이들 단어나 형태소들 가운데는 농업 기반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변하면서 생활양식이 바뀜으로써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아 소멸 위기에 처해있는 것들도 있고, 사회와 세상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토박이 화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여전히 왕성한 생명력을 유지하고 사용되는 것들도 있다.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거나 소개되지 않은 단어나 형태소들을 발굴하여 널리 알림으로써 급속히 소멸되어가는 지역어를 문자로 고정시켜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방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새로운 방언 어휘나 형태소 또는 속담이나 관용어 들을 발굴하여 알리는 작업은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준다. 새로 발굴한 방언 어휘는 국어사전의 어휘를 확장해 줄 수 있고 국어연구의 지평을 넓혀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사회의 변화와 함께 소멸 위기에 처한 방언을 발굴하여 정착시킨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고 뜻 깊은 일이다. 이런 점에서 방언 어휘의 의미는 물론이고 문법적인 기능과 용법, 어휘체계 등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는 대부분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려운 방언 어휘들이 소개되어 있지만 일부 방언 어휘는 표준어와 관련이 있는 것도 있다. 표준어와 관련이 있는 방언형은 표준어와는 형태가 다르지만 개념적인 의미에서는 연관성이 있어 보이는 것이다. 실제 사용되는 맥락이나 상황은 다르지만 기능 면에서는 유사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형태는 같지만 의미나 용법이 다른 경우도 있고 형태도 다르고 의미나 용법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방언과 방언 간에도 용법이나 의미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방언형과 대응하는 표준어가 있는 경우나 방언형과 유사 대응 표준어가 있는 경우에는 좀 더 면밀한 검토와 주의가 요구된다. 방언 어휘나 형태소는 그 어휘나 형태소가 사용되는 사회적인 맥락과 문맥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고 그 맛과 멋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언 어휘들도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주민들의 정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방언은 그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민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는 충청도, 제주도, 경상도, 함경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을 각 지역별로 다섯 개씩 뽑아 모두 스무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 소개된 방언 어휘들은 주로 필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발굴 조사한 것들이다. 따라서 여기에 소개되는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을 뜻하는 ‘관련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이나 이형태들이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Fif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fif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fifteen dialect word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fiver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five new words in Kyeongsang-do dialect and Hamkyeong-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Kyeongsa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im Jungdae(Kyungnam University) and Hamky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 KCI등재후보

        새로 발굴한 방언(6)

        박경래,곽충구,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Seven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seven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twenty dialect word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six new words in Hamkyeong-do dialect, four new words in Jeolla-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Hamky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wak Chunggu(Sogang University),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ho University) and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새로 발굴한 방언”이라는 제목으로 연재하는 여섯 번째 연재물로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새 방언 어휘들을 발굴하여 해설하고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들은 지역에 거주하는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하던 단어들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6)”에서는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고 다른 연구물에서 소개된 적이 없는 것들로 골랐다. 대부분 급속한 사회변화와 함께 소멸의 마지막 단계에 놓인 것들이거나 생활양식의 변화로 새 말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에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사회와 생활양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왕성한 생명력을 유지하면서 사용되는 것들도 있다. 어떻든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방언형들을 발굴하여 소개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인 동시에 국어 어휘를 풍부하게 하고 우리말을 살지게 할 것이다. 이 글에는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려운 방언 어휘들도 있고 대응표준어가 있지만 의미나 형태면에서 완전히 이질적인 것들도 있다. 방언은 그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민의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사회적인 맥락과 문맥에서 그 방언 어휘들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 그 맛과 멋도 가장 잘 드러내준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방언 어휘들도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그 지역 주민들의 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들이다. 이 글에는 충청도와 함경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가운데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어휘들을 가려 뽑았다. 이번 호에는 충청도 방언 다섯 개, 함경도 방언 여섯 개, 전라도 방언 네 개, 제주도 방언 다섯 개 등 모두 스무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하였다. 여기에 소개된 방언 어휘들은 주로 필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조사한 자료 가운데서 선정하였다. 다만 함경도 방언 어휘는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조사한 자료다.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조사한 방언 어휘의 사용의 지역에는 제보자들의 원적지를 표시하였다. 따라서 여기에 제시한 방언들을 이용할 경우 표제어로 제시한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지역을 뜻하는 ‘관련지역’에 표시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이나 방언의 이형태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 KCI등재

        Emergence of hydrogen bonds from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of substituted N-phenylthiourea–catechol oxidase complex

        박경래 대한약학회 2017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40 No.1

        A series of N-phenylthiourea derivatives was builtstarting from the X-ray structure in the molecular mechanicsframework and the interaction profile in the complex with thecatechol oxidase was traced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ometry and interactionsbetween ligand and receptor were highly related to theposition of the substituted side chains of phenyl moiety. Atthe end of molecular dynamics run, a concentrated multicenterhydrogen bond was created between the substitutedligand and receptor. The conformation of the ligand itselfwere also restricted in the receptor pocket. Furthermore, thesimulation time of 50 ns were found to be long enough toexplore the relevant conformational space and the stationarybehavior of the molecular dynamic could be observed.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16)

        박경래,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Elev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elev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or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three new words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and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b(Mokpo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말이지만 국어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은 방언 어휘를 새로 발굴하여 소개하는 열여섯 번째 연재물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16)’에 소개하는 어휘는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의 토박이 화자들이 지금도 사용하고 있으면서 어디에도 소개된 적이 없는 열한 개다. 어떤 어휘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새 말로 대체되어 가고 있기도 하고, 어떤 어휘는 지금도 일상생활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다. 이들 어휘는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렵거나 대응 표준어가 있더라도 의미나 형태, 용법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들이다. 충청도 방언 어휘는 충청북도 보은 지역 화자에게 조사한 것으로, ‘쭉정이를 걸러내고 남은 잘 여문 알곡’을 뜻하는 말인 ‘원수지’와 ‘곡식 수염이나 흙덩어리, 거름 덩어리를 잘게 부수다’의 뜻으로 쓰이는 ‘몽굴루다’, 그리고 ‘어떤 일이나 행위를 하는 끝에 이어서 줄곧’의 뜻으로 쓰이는 ‘내바지’ 등 세 개가 소개되었다. 제주도 방언 어휘는 ‘집을 지을 때, 바깥벽을 쌓다가 조금 남겨 마감한 맨 윗부분’을 뜻하는 ‘갯취’, ‘두 가닥의 줄을 하나의 단단한 줄로 만들 때, 뒤에서 돌리는 나무 도구’를 뜻하는 표준어 ‘돌물레’에 대응하는 ‘먹호렝이’, ‘둥근 쇠 테두리에 발이 세 개 달린 기구’를 뜻하는 표준어 ‘삼발이’에 대응하는 ‘바레기’, ‘걸을 때 발걸음을 옮겨 놓는 모습’을 뜻하는 ‘발쎄’, ‘낙숫물이 떨어지는 자리로 돌려가며 박은 돌’을 뜻하는 표준어 ‘댓돌’에 대응하는 말로도 쓰이고 ‘비가 올 때 신이 젖지 말라고 골목 양쪽 가장자리나 한가운데로 연이어 박은 돌’을 뜻하는 말로도 쓰이는 ‘숙전’ 등 다섯 개가 소개되었다. 그리고 전라도 방언 어휘는 ‘상대에게 말을 걸 때 부르는 말’로 쓰이는 표준어 ‘여보세요’에 대응하는 ‘에말이요’와 ‘물건을 사고 값을 치를 때 돈을 내밀면서 하는 말’로 쓰이는 표준어 ‘옜소’에 대응하는 ‘에씨요’, 그리고 ‘남편보다 손위의 남자, 즉 시아주버니나 동네의 남자 어른을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는 표준어 ‘아주버니, 서방님’에 대응하는 ‘아잡씨’ 등 세 개가 소개되었다. 어떤 어휘는 다른 어휘들과 함께 어휘체계 내에서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이고, 어떤 어휘는 형태나 의미면에서 독자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들도 있다. 또한 개념적인 의미는 같거나 비슷하지만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달리하여 얼마간의 의미 차이를 보이는 것들도 있다. 이 때문에 방언형과 표준어형을 일 대 일로 대응시키는 것은 위험하다. 이 글에 소개한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지역이라고 언급한 지역 외의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어형은 같지만 지역에 따라 의미나 용법, 기능 면에서 여기에 소개한 표제어와 다른 경우도 있다. 또한 방언형이 표준어와 동일한 형태로 쓰이지만 의미 범주나 용법이 표준어와 다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디아릴설포닐이미다졸론의 결정구조상의 분자간 인력구조- C-H가 관여된 수소결합

        박경래,장석영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02 藥學論文集 Vol.17 No.-

        In the search for a water soluble form of the potential anticancer agent, (S)-(+)-4-Phenyl-1-[1-(4-aminobenzoyl)indoline-5-sulfonyl]-4,5-dihydro-2-imidazolone (I), a series of salt forms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single crystal crystallography. The stoichiometrically correct form was found as a 2:1 HCl salt and this HCl salt of the title compound (I) crystallises in space group C2 as [C_24H_22N_4O_4S][C_24H_23N_4O_4S]^+CL^- from a methanol/methylenechloride solution. In this unusual crystal, there are two conformers, which show diffe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terminal amine is clearly protonated in the one form with NH_3-Cl distance of 3.110Å, whereas the amine group in the other form is expected to be unprotonated with NH_2-Cl distance of 3.502Å. The role of imidazolone NH group in salt formation is also very peculiar. The imidazolone NH of the two conformers have almost the same distance (3.106Å and 3.103Å) to Cl ion in the crystal packing. In the crystal structure, there are eight distinct hydrogen bonds comprising four N-H…Cl, three N-H…O and one N-H…N, one of which builds bifurcated hydrogen bond with two acceptors sharing one H atom. There exist also one carbonyl oxygen atom accepting two hydrogen atoms. Furthermore, C-H…O contacts assist in the overall hydrogen bonding process.

      • KCI등재후보

        범죄위험성평가도구의개발과적용: 서울시와경기도주거지역을중심으로

        박경래,최인섭,강용길,박현호,박성훈 한국법경제학회 2013 법경제학연구 Vol.10 No.1

        According to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causes of crime, regional or space characteristics have been considered utmost important.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assumptions that crime has the nature of environmental opportunity and that it can be prevented from a point of view of risk assessment.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define crime risk by likelihood and consequences of crime occurrence, to develop tools of crime risk assessment at specific region and/or space, to apply these tools to the region and/or space, and to test appropriateness of the tools. And, the study was also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the crime prevention in each region and space by making more systematic the whole process of diagnosis of crime, development of policy alternatives, and assessment of policy effects and feedback. 범죄발생의원인에대한이론적흐름과경험적연구를살펴보면, 지역또는공간적특성은결코간과될수없는요인중하나로판단된다. 본연구는범죄를환경적기회구조에서비롯되는현상인동시에위험관리의시각에서범죄를사전에충분히예방할수있다는가정에서시작되었다. 이연구의목적은범죄위험성을‘범죄발생의가능성’(likelihood)과그결과(consequence)라는개념으로정의한후, 특정지역혹은공간에대해범죄위험성을평가할수있는도구(tool)를개발하고, 이에근거해실제특정지역과공간에개발된측정도구를적용시켜, 범죄위험평가도구의타당성을검증하는데있다. 더나아가지역및공간특성에맞는적절한범죄예방정책대안을제시하고, 범죄예방을위해‘범죄위험의진단→정책대안의개발→정책효과의평가→환류’라는정책과정이체계화되어야함을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