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프랑스 格言, 俗談에 관한 考察(I)

        閔憙植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73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collecting the oldsayings and proverbs of French and after that surveying them. As the oldsayings and proverbs of Korea derived from Chinese writings or the sacred books, so did those of France come from the words of Greek or Latin classics or the Bible. The proverbs are the things which maintained the great thoughts of mankind and are common in every country of the world. The proper oldsayings and proverbs of a country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life of the people. In them there are not a few expressions of vulgarity. To know a people, however, the investigation of them is indispensable, because these are not the words by the philosophers but those inherited from the accumulated experience and knowledge through all the life of a people and they obviously show the nationality of the country. Because such examination of the oldsayings and proverbs not only help us Know France, but also from them we can take great advantage by comparing and studing them with those of our country. I believe that they offer valuable data to those who are studying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to those whom French literature is of interest. Also we arranged French literary works of middle ages and other sources of old French sayings and proverbs, in the form of a dictionary and we examined them on a large scale.

      • 렝보의 <취정선>의 타롯트점에 의한 연구

        閔熹植 漢陽大學校 人文科學大學 1984 人文論叢 Vol.7 No.-

        Le but de cette etude est de faire des recherches sur<le bateau ivre> de Rimbaud en se basant sur l'occultisme, surtout le signe de Tarot. Nous abons constate que les recherches sur la technique de ia Poesie de Rimbaud sont relativement nombreuses, par contre les recherches sur des rapports entre L'occultisme et la Poese de Rimbaud sont tres rares, bien que ce theme, chez Rimbaud, soit tres important. Il serait donc tres interessant de porter notre etude sur le domaine de l'occultisme pour en decouvrir la vraie valeur de poesie de Rimbaud. Une analyse minitieuse sur <le bateau ivre> de Rimbaud nous permettra de demontrer que Rimbaud n'est pas seulement le symboliste, mais encore qu'il est un temoinage d'une grande valeur poetique contemporaine. Nous avons deviee notre etude en deux parties. Dans la premiere, nous nous sommes efforces d'analyser <le bateau iver> en tenant compte de la position de ce poeme dans le courant de la poesis symboliste. Ensuite, nous avons examine la genese de ce poeme. Dans la deuxieme, nous avons etudie le symbol de Tarot ainsi que les rapports existant entre (le bateau iver) a travers le Tarot d'une part, le texte d'autre part. De la nous en sommes venus a faire un rapprochment du torot avec <le bateau ivre.> Enfin il s'agit d'ecIairer le symbole de <le bateau ivre> en tenant compte du tarot. En conclusion, nous avons constate que dans l'univers de Rimbaud, il y a la tendance prophetique sur son epoques.

      • 프랑스의 格言 俗談에 대한 考察(II) : 프랑스의 歲時風俗과 農民의 生活

        閔熹植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74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23 No.-

        La recherche sur des proverbs et des dictons jouit d'une nogur aussi encourageante que preoccupante. Notre premier moyen d'investigation a ete l'etude des recueils de proverbs et de dictions Si nous essayons de faire une etude comparee sur ce sujet, nous pourrons obtenir le resultat utile, parce que cette recherche est l'etude des relations spirituelles, des rapport des fait qui ont existe parmi des peoples Durant des siecle. Cette recherche n'est qu'une partie d'etude sur les proverbs et les dictons francais. Donc, nous aboutirons pour notre recherche a l'etude suivante: Premierement, une recherche sur la vie quotidienne du people se basant sur les jous des saints. Deuxiemement, une recherche sur la formule d'almanach a l'usage du people, par laquelle la sagesse populaire exprime son experience.

      • 불교기록에 나타난 예수의 생애

        閔憙植 중앙승가대학교 1987 僧伽 Vol.4 No.-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신약성서>의 편집자들이 알지 못하고 있는 예수의 생애에 대한 불교관계문헌에 나타난 기록의 일부를 소개하는 데 있다. 이것은 명백한 진실의 기록으로 기독교의 전통적인 교리의 입장에서 볼 때는 이 사실을 부정할는지 모르나 시간이 갈수록 이 문제는 더욱 더 명백해질 것이다. 종교의 역사를 더듬어 볼 때 종교의 순수성을 말살해온 것은 언제나 성직제도가 그 원인이었다. 성직자들은 세속적인 힘이 증대함에 따라 탐욕스러워지고, 강대해져 불필요하고 무의미한 종교의식에만 집착하고 그 때문에 인간의 구제보다는 자기들의 입장을 옹호하는 데 더 힘을 써왔으며 순수한 진실에 대한 무지로서 어리석은 민중을 노예화해 온것이다. 그러기에 필자는 그동안 프랑스를 중심으로 여러 나라에서 수집한 알려지지 않은 자료의 일부를 여기에 공개하고자 한다. 예수가 동방의 여러 나라를 편력한 것은 엣세네파의 문서에도 기록되어 있으며 예수에 대한 기록은 초기 로마 교회가 삭제해 버렸던 엣세네파의 책들을 포함한 여러 가지 자료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성경이 만들어져야만 할 것이다. 현재 인도의 라다크 지방의 몇 군데 수도원에는 예수에 관한 기록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그중 헤미스 사원의 두루마리는 거의 여기에 대한 완벽한 기록이 티벳어로 남아 있다. 이것은 1887년에 당시 제정 러시아인 노토비치(Nicolas Notovitch)가 라다크의 레에서 남방 40킬로되는 헤미스 사원에서 발견하여 그것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1894년에 프랑스어로 출판하였다. 당시 <예수의 생애>라는 대작을 쓴 프랑스의 에르네스트 르낭은 이 발견물이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도록 박해를 가하였다. 그 후 도링이 이 책에서 영감을 받아 <보병궁 복음서>를 저술하였고, 복크(Richard Bock)는 티벳의 여러 수도원에서 새로 발견된 기록을 붙여 <예수의 잃어버린 시절>이라는 영화를 만들었다. 그후 많은 자료가 발견되어 왔으나 여기서는 헤미스 사원에 기록된 예수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여 소개코저하면 편의상 예수에 관한 <불교계통 연대기>라 부르기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