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지 조성 시나리오에 따른 도시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및 조성 전략

        민진규(Min, Jin-Kyu),김주은(Kim, Ju-Eun),손정민(Son, Jeong-Min),성욱제(Sung, Uk-Je),엄정희(Eum, Jeong-Hee)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한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도시 내 생활권 녹지 조성은 중요한 방안이며, 이를 위한 일반적인 녹화 방법인 대형공원 조성, 소공원 조성, 주차장 녹화, 가로수 식재, 옥상·벽면 녹화 다섯 가지의 유형에 따른 세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열환경 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열환경 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열환경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ENVI-met 4.4.6v 모델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원의 식재 밀도가 높을수록 기온은 낮아졌으나, 동시에 풍속이 감소하고 상대습도가 증가해 열쾌적성이 악화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소공원 한 개소의 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최대 주위 107m 반경까지 기온 저감 영향을 주었고, 250m 간격으로 조성할 경우 더욱 기온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표면 포장을 아스팔트에서 잔디블록으로 변경한 경우 기온 저감에 큰 영향을 주진 못했지만, 교목 식재와 병행할 경우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가로수의 경우 고밀도로 식재할 경우 기온은 감소하였으나 풍속이 감소하여 열쾌적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풍 방향을 고려하여 가로수 간격을 조정하여야 한다. 건축물 옥상 면에 옥상녹화를 한 경우 휴먼스케일에서도 기온이 저감되었으며, 벽면녹화는 기온 저감에 큰 영향을 주진 못하였으나 열쾌적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도시 열섬현상 해소를 위한 효과적인 생활권 녹지 녹화 전략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가로수 식재 시나리오에 따른 기온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

        엄정희 ( Jeong-hee Eum ),민진규 ( Jin-kyu Min ),박주현 ( Ju-hyun Park ),손정민 ( Jeong-min Son ),서홍덕 ( Hong-duck Sou ),오정학 ( Jeong-hak Oh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한 도시 내 폭염 및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가로수의 간격과 배열에 기반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저감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로수조성 시나리오에 따른 열환경 및 미세먼지 개선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미기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NVI-met 5.0.2v 모델을 사용하였다. 가로수 간격에 따른 기온 분석 결과, 가로수의 간격이 좁아져 식재한 수목의 양이 많아질수록 낮 시간대의 기온이 낮아졌으며, 오전 및 저녁 시간대에는 가로수 간격에 상관없이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가로수 배열에 따른 기온은 배열이 증가하여 식재한 수목의 양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같은 양의 수목을 식재하고 배열의 간격을 넓힌 시나리오에서 기온 저감폭이 더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수목의 양뿐만 아니라 수관투영면적 역시 기온 저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로수 배열에 있어서 미세먼지 농도는 간격에 따른 결과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주풍향과 수목 식재 방향의 관계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가로녹지에 의한 열환경 및 미세먼지 개선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가로수 조성·관리 기본 계획, 바람길숲 조성 사업 등 효율적인 가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사업 추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cenario based on the spacing and arrangement of the roadside trees to reduce heat waves and fine dust in cities that occurred during the urbanization process an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egree of reduction. The ENVI-met 5.0.2v model, a micro-climate simulation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thermal environment and fine dust according to the roadside tree scenario. As a result of temperature analysis according to street tree spacing, the narrower the distance between roadside trees, the lower the temperature during the day as the number of planted trees increased, and a similar pattern was shown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roadside trees in the morning and evening. In the case of fine dust emitted from the roa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reased slightly due to the increase in roadside trees, but the concentration of sidewalks where people walk increased slightly or there was no difference because of blocking fine dust on trees.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street trees tended to decrease as the number of planted trees increased as the arrangement increased. However, not only the amount of trees but also the crown projected area was judg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mperature reduction because the temperature reduction was greater in the scenario of planting the same amount of trees and widening the interval of arrangement. In terms of the arrangemen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howed a difference from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interval, suggesting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ay change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wind direction and the tree planting direction.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degree of thermal environment and fine dust improvement caused by roadside tre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policies and projects to improve the roadside environment efficiently, such as a basic plan for roadside trees and a project for wind corridor forests.

      • 도시환경 여건분석에 기초한 바람길숲 조성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성욱제(Sung, Uk-Je),엄정희(Eum, Jeong-Hee),손정민(Son, Jeong-Min),김주은(Kim, Ju-Eun),민진규(Min, Jin-Kyu),마동욱(Ma, Dong Uk),김진우(Kim, Jin Woo),정동수(Jung, Dong Soo),김성규(Kim, Sung Kyu)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최근 폭염, 미세먼지 등 도시의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가운데, 산림청에서는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전국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길숲 조성사업 추진 도시 중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바람길숲 조성 여건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바람길숲 조성계획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환경취약지역 분석, 바람길 분석, 바람길숲 분석을 진행했으며, 이를 종합하여 대구광역시의 전반적인 바람길숲 조성 여건 파악 및 세부 권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광역시는 외곽에 위치한 바람 생성숲이 풍부하여 바람형성이 원활했으나, 시가지 내부의 디딤·확산숲 및 연결숲이 부족하여 찬공기의 흐름이 도심까지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계획마련이 요구되었다. 또한 권역별 특징에 따라 적합한 바람길숲 조성 전략을 제시했는데 그 중 중부권의 경우 신규 바람길숲 조성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므로 기존 건축물을 대상으로 옥상녹화 및 벽면녹화를 제안했으며, 신천대로, 달구벌대로 등 주요 도로 및 하천의 식재를 보완함으로써 바람흐름을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구광역시의 원활한 바람길숲 조성사업 추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 내 녹지를 체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관련 사업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