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위기와 불교의 생태적 실천

        민정희,장성우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9 No.-

        Nowadays humankind is confronted with the enormous challenge of climate change.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earth’s climate has being effected negatively. The global temperature has risen by 1℃ due to the heavy increase of green-house gases. Climate scientists warn that human civilization may collapse before 2050 if the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continues. The IPCC encourages people to act in ways to reduce and maintain the earth’s temperature by 1.5℃. Furthermore, a drastic cut in green-house gases should be accomplished within the next ten years. But the international response is progressing slowly. Although the usage of renewable energy is increasing steadily, it isn't enough. Less energy consumption and a reduction in production that causes pollution are two necessary steps. Buddhism is regarded as a nature-friendly and ecological religion. Dependent origination (緣起) promotes a worldview that highlights mutual dependence as well as the theory of Buddha-nature (佛性), which emphasizes the inherent value of all sentient beings. These teachings are in line with promoting the changes needed to combat the climate crisis. However, mutual dependence also tends to promote acceptance of reality in a passive way rather than establishing a bases for active, ecological practice where individuals and groups can create change. Emphasizing socio-economic and structural aspects, Bhikkhu Bodhi suggests reasons and solutions regarding the climate crisis through the four noble truths (四諦). Furthermore, David R. Loy recognizes that Buddhist solutions to individual suffering may be applied to the ecological crisis as collective suffering. Also, Thich Nhat Hanh mentions that collective awakening may halt the course of destruction. Non-harming or ahimsā (不害) as a precept, the four immeasurable states of mind (四無量心), and the six perfections or ṣaṭ-pāramitā (六波羅蜜) can all be utilized as ethical, ecological practices. However, to curb the problematic trends causing the climate crisis, concrete practices leading institutional and social changes are needed. Buddhist studies should act as a theoretical starting point and provide values and visions for the solution to this human crisis.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modernization and materialization of doctrine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fields in question. 오늘날 인간은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산업혁명 이후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면서 지구의 기온이 100여 년 동안 1℃ 정도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지구의 기후시스템이 붕괴하고 있다. 현재와 같이 온실가스 배출이 계속 증가하면 2050년 안에 인간의 문명이 붕괴할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경고하고 있다. 2018년에 IPCC는 지구의 기온상승을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하여 1.5℃ 이하로 유지할 것을 발표하였으며, 10년 안에 과감한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여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대응 속도는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사용이 세계적으로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에너지 수요를 줄이는 저에너지수요, 또는 모든 경제활동을 축소하는 탈성장이 요구되고 있다. 불교는 자연 친화적이고 생태적인 종교로 여겨지고 있으며,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불교의 가르침으로는 상호의존성을 강조하는 연기적 세계관과 살아있는 존재의 내재적 가치를 의미하는 불성론이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호의존성은 개인과 집단의 변화를 가져올 적극적이고 생태적인 실천의 근거를 제시하기보다는 수동적으로 현실을 긍정하는 측면이 있다. 한편 비구 보디는 사성제를 이용하여 기후위기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사회 경제적이고 구조적인 측면을 강조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데이비드 로이는 개인적인 고난에 대한 불교적 해법이 집단적인 고통인 생태적 위기를 해결할 방법일 수 있다고 보았으며, 틱낫한은 집단적인 깨달음으로 파괴의 과정을 멈출 수 있다고 하였다. 불살생과 같은 계율과 사무량심과 육바라밀도 생태적인 행동윤리가 될 수 있는데, 현재의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도적이고 사회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이 필요하다. 불교학은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준의 교리 현대화와 구체화, 그리고 인류의 위기극복을 위한 가치와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 제공의 기지가 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교도소 수형자의 심리적 요인과 시설내 적응태도

        민정희,강혜자 한국교정학회 2009 矯正硏究 Vol.- No.45

        본 연구에서는 교도소 수형자의 심리적 요인과 시설내 적응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 전과력 및 범죄유형에 따라 심리적 요인과 시설 내 적응태도에서 각각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의 3개 교도소에 수감 중인 초범 및 재범의 성인 남녀 수형자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407명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각각 교도관에 대한 태도, 준법 태도 및 수형생활 자기 긍정도와 정적상관이 유의하였다. 분노는 시설내 적응태도 네 가지 하위변인들과 각각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심리적 요인들을 수형자의 성차, 전과력 및 범죄유형별로 차이 분석한 결과, 분노수준은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고, 내적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여자가 유의 하게 더 높았다. 전과력별 차이검증 결과에서는, 분노수준은 초범보다 재범이 더 높았고,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사회적 지지의 지각은 모두 초범이 더 높았다. 범죄유형에 따라서는 강력범의 분노수준이 재산범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 다. 성별, 전과력 및 범죄유형별 시설내 적응태도의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시설 내 적응태도의 4가지 하위요인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초범이 재범보다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특히 남자수형자, 재범, 강력범 수 형자들에 대한 분노조절 및 사회적 지지와 내적 통제의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vict's psychological factors and adaptational attitudes in a prison. For this end,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adult inmates who are imprisoned in three correctional institutions in the nation. We analyzed the data of 407 prisoners and found that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ttitude toward prison guards, law-abiding attitude and self-affirmation for prison life, respectively. Anger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4 sub-factors of adaptational attitudes in a prison. Additionally, after analyzing sex, criminal record and difference among types of crime in terms 4 psychological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anger was higher in males than females and internal contro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The analysis based on criminal records found that the level of anger was higher in second offenders than in first offenders and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higher in the first offenders. By types of crime, felonious criminals' level of anger was higher than those who committed crimes to other persons' properties. The results of analysis on adaptational attitudes within the facilities by sex, criminal records and criminal types found that scores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higher in the first offenders than in the second offenders in aspects of all the four sub-factors of adaptational attitudes in a prison. It was discussed the necessity to step up anger control, social support and locus of control about male convicts, second offenders and felonious criminals.

      • KCI등재

        16세기 野祭의 실태와 그 의미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민정희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6

        Yaje(the Field Shamanic Rituals) is a concept full of variou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in terms of place, objective, and method of the ceremony. It started outdoors, which is “outside home,” and ended in the evening. Its objective was to console the spirits of the deceased or prevent any ghost attack following a disease or death. In some cases, it was performed as part of the expiration procedure of the mourning period. Yaje was often mixed in usage with “Yasa.” There were examples of Yaje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since when almost no examples had been confirmed. While Yaje is a broad term to include a range of ceremonies performed to achieve various goals outdoors, this study limited its scope to Mangjacheondogut presided over by a female shaman. In an exile in Seongju, Gyeongsang Province, Lee Mun-geon once held a high central government position and had a high level of Confucian knowledge. In an effort to console the spirit of his deceased son, he held a Buddhist ceremony at a Buddhist temple and also a Cheondo ceremony at his home by inviting a female shaman. In addition to regular female shamans, certain female shamans with a higher level of capacity were invited to hold Yaje. Female shamans would cleanse their bodies and souls in a separate place before holding Yaje.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pecific ceremony process, it is widely accepted that Yaje was a gut intended to console the spirit of the deceased and to relieve the grief of the living. There was also a custom of the female shaman secretly escaping the venue and heading home after the ceremon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a group of Buddhist monks made the offerings and ornaments for Yaje in the house of Lee Mun-geon, which is a good example to prove the close interactions between the shamanist custom and Buddhism. Like all the literature materials about the shamanist custom, the ones about Yaje are very poor, which means there are limitations with the examination of its state in the 16th century. However, it is known that the shamanist-style Cheondo gut was performed in the name of Yaje and that even the noblemen and illustrious officials did not refuse it, which is attributed to the social idea that placed more importance on an effort to console the spirit of the deceased. 野祭는 장소, 목적, 굿 양상 등의 다양한 특성과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개념이다. 우선 야제는 ‘집 밖’이라는 공간에서 낮에 시작되어 저녁 무렵에 종료되었다. 제의 목적은 망자의 넋을 해원하여 천도하였으며, 질병이나 죽음의 빌미를 일으키는 寃鬼를 위무하거나 구축하고자 하였다. 경우에 따라 脫喪의 한 절차로도 행해졌다. 굿 양상은 무당이 주재하는 무속의례로 행해졌다. 野祭는 ‘野祀’와 混用되었다. 그리고 임진왜란 이전까지 그 용례가 보이지만, 그 이후에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곧 야제는 집 밖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행한 의례를 포괄하는 광의의 용어이지만, 본고에서는 주로 ‘집 밖에서 망자를 천도하는 굿’을 중심으로 야제의 한 단면을 살펴보았다. 경상도 성주지역에서 유배생활을 하였던 이문건은 중앙관료 출신으로 높은 유학적 식견을 겸비한 인물이다. 그는 죽은 아들의 넋을 천도하기 위해 자신의 집에서 야제를 거행하였다. 단골무녀 이외에 좀 더 능력을 갖춘 무당이 초빙되어 야제를 주재하였다. 무녀는 야제를 지내기에 앞서 별도의 공간에서 자신의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였다. 제의 과정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없지만, 야제를 통해 죽은 자의 넋을 위로하고 유족에게는 가슴에 맺힌 恨을 풀어주는 주었다. 굿이 끝나면 무녀가 몰래 歸家하는 관행이 당시에도 있었다. 한편 흥미로운 점은 승려가 이문건의 집에서 야제에 필요한 제물과 장식물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巫俗과 佛敎의 밀접한 상호관계성을 살필 수 있는 사례라 하겠다. 무속과 관련된 문헌자료가 그러하듯이 야제에 대한 내용 또한 매우 엉성하다. 따라서 16세기 야제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당시에 무속식 천도굿이 야제라는 용어로 거행되었으며, 양반사대부라 하더라도 이를 거부하지 않았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 한국관광 품질인증제 도입 및 운영 현황

        민정희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2000년 이후, 한류확산에 따른 아시아권 중심의 방한객 증가, 국민소득 증가 및 웰빙문화 확산 등은 우리 관광산업이 양적으로 급성장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개별 지자체를 중심으로 내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지역관광콘텐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도권 등 주요도시 대비 관광서비스 인프라의 경쟁력은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한국관광 품질인증제는 국내 관광산업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표준을 제시함으로써 전반적인 관광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고, 지역별 관광 서비스의 편차를 줄임으로써 국가관광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품질인증은 숙박, 쇼핑 등 관광산업의 주요 접점 사업장을 대상으로 시행 중이며, 업종별 특성에 따라 정한 필수기준을 충족하고, 1, 2차 현장평가 점수 총점의 70% 이상을 득점한 사업장을 대상으로 부여하고 있다. 인증제의 운영을 위하여, 한국관광공사에서는 국내외 사례를 참고로 국내 관광산업에 적합한 품질평가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준으로 업종별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운영 중이다. 향후 한국관광 품질인증제의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 관광서비스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하며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하여 국가관광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