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민예지 ( Min Ye Ji ),강현아 ( Kang Hyunah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진로결정성에 종단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이중매개효과를 갖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차 자료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3차-6차년도에 참여한 1,307명 청소년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진로결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또한 우울을 매개로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과 팬텀변수 모델링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영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청소년이 초등 6학년 시기에 경험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중학교 1학년의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중학교 2학년 시기의 우울에 영향을 미쳐, 중학교 3학년 시기에 이르러 진로결정성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지닌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cculturative stress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longitudinally influences career determination. Also, it is to verify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determination among multicultural youths. Using secondary data analysis method, we analyzed data from the 3rd through 6th wave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in which 1,307 adolescents participated. Firs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acculturative stress did not directly affect career determination. Secondly, self-esteem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determination. Thirdly, depression also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determination. Lastly, in terms of the analysis of bootstrapping and phantom variable modeling, we found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career determination. It was identified that acculturative stress experienced in the early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negatively affects self-esteem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It has an effect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depression in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which consequently leads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career determination when multicultural youths are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youths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외모만족도와 우울감의 이중매개효과

        오세현,민예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of being bullied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961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seventh and eighth survey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was used. PROCESS macro’s Model 6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victimization of being bullied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ppearance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of being bullied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depress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of being bullied and academic achievement. Fourth,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d double-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of being bullied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우울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7차와 8차 조사에 모두 참여한 청소년 96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의 모델 6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외모만족도는 집단괴롭힘 피해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은 집단괴롭힘 피해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다문화청소년의 집단괴롭힘 피해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우울감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성취 발달을 위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Effect of Methylene Blue-mediated Photodynamic Therapy on Wild-type and Ciprofloxacin-resistant Mycobacterium smegmatis

        심인수,최명원,민예지,석광혁,김지연,정지영,옥철호,박인달 대한미생물학회 2016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Vol.46 No.1

        Tuberculosis (TB) patients are normally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antibiotics. However, with improper or incompletetreatment of antibiotics, the disease may progress to multidrug-resistant TB (MDR-TB). The treatment of MDR-TB is verycostly and inefficient. Therefore, there is a great demand of new therapeutic approaches for MDR-TB such as photodynamictherapy. In this study, we tried to optimize the conditions for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TB using methylene blue as aphotosensitizer. Different combinations of methylene blue concentrations and light doses were tested for their photodynamiceffects to A549 cells or Mycobacterium smegmatis (M. smegmatis).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photodynamic therapyon ciprofloxacin-resistant M. smegmatis. Methylene blue treatment alone did not affect the survival rates of A549 cellsor bacteria up to 5 μg/ml. When the A549 and M. smegmatis cells treated with methylene blue were irradiated with laserlight (wavelength, 630 nm), photodynamic inactivation of cells was increased in methylene blue concentration- and lightdose-dependent manners. Interestingly, the ciprofloxacin-resistant M. smegmatis exhibited higher level of susceptibilityto methylene blue-mediated photodynamic inactiv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hotodynamic therapy at 3.6 J/cm2 inthe presence of 5 μg/ml methylene blue may be an appropriate range for therapy due to the high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high level of ciprofloxacin-resistant M. smegmatis and the low damaging effect to mammalian cells. This study demonstratesthat photodynamic therapy could be a potential alternative for MDR-TB treatment.

      • KCI등재

        대학생의 감각처리유형과 자존감, 학습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박초희,김경희,백정은,김진연,오가희,민예지,임가영,천슬기,홍은경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2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감각처리유형과 학습 능력, 자존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10월 3일부터 2011년 4월 1일까지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 대학의 작업치료과 학생 총 84명이었다.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고,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사항,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 자아존중감 척도, 학점으로 구성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ersion 15를 사용하여 피어슨 상관분석하였다. 결과 : 감각처리유형의 감각 회피(r=-.25), 감각 민감(r=-.22), 감각 저하(r=-.31)는 자아존중감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감각처리유형 중 감각추구(r=.22)와 학점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에서도 감각처리능력이 자존감 및 학습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내어 성인의 감각처리능력을 강조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the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type, academic ability and self-esteem in the college students. Methods : Duration of research was Act. 3rd, 2010 ~ Apr. 1st, 2011 and participants were 84 college students in Kyeong Nam. Method for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investigation that included in AASP, self-esteem scale and grad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ersion 15 (SPSS Inc., Chicago, IL, USA). The correlation of various elements and core principles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Results : Sensory avoiding (r=-.25), sensory sensitivity (r=-.22), sensory low registration (r=-.31) of sensory processing wer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sensory seeking (r=.22) of sensory processing correlation was correlation with academic ability.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d that sensory processing ability is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academic ability in the child as well as ad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