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공식 및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가 공급사슬 파트너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순홍(Soonhong Min),남현정(Hyunjeong Nam),임수빈(Subin Im) 한국생산관리학회 2013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4 No.3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unlike contractual governance mechan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safeguarding interfirm partnerships in supply chain management. Extant literature considers trust as the single most important form of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However, it may be problematic to regard trust as the most effective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due to (1) the mixed findings about the nature of trust: the locus of trust (within a firm vs. within a bilateral relationship), the effectiveness of trust on predicting and controlling future opportunistic behaviors, and the role of trust (antecedent vs. outcome of the partnership), and (2) the potential, boomerang effect of a high level of trust against the partner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wo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s (i.e., informal and 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s) as complements to trust that may not be effective at a certain point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maintaining, and enhancing partnership, and empirically test the effect of these two mechanisms on supply chain partnership. In particular,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lies on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and supply chain partnership. The empirical results from statistical tests confirmed that (1) in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is a second-order construct that consists of two first-order constructs, top management’s relational orientation and relational norms, (2) 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is a second-order construct that comprises two first-order constructs, shared vision/goals and shared leadership, (3) in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has a positive effect on formal mechanism, which in turn has a positive effect on supply chain partnership, and (4) 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 and supply chain partnership. 기업 간 관계적 지배장치(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는 계약적 지배장치(contractual governance mechanism)와 다르게 비공식적이고 관계지향적인 지배양식이 기업 간 거래의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특히 신뢰가 대표적인 관계적 지배장치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1)신뢰의 소재지(한 기업 혹은 상호 관계), 기회주의적 행동에 대한 예측 정확도 및 통제의 효과성, 신뢰의 성격(파트너십의 선행 혹은 후행 변수)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고, (2)높은 수준의 신뢰가 가져오는 순효과와 함께 역효과가 보고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신뢰를 공급사슬 파트너십 전(全)과정을 관리하는 데 항상 효과적인 관계적 지배장치로 간주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러한 신뢰의 효과성에 대한 합리적 의심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신뢰를 보완할 수 있는 비공식 관계적 지배장치(in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와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formal relational governance mechanism)를 제안하고, 그 두 장치들이 공급사슬 파트너십에 미치는 역할을 실증하였다. 특히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가 비공식 관계적 지배장치와 공급사슬 파트너십의 관계를 매개할 것인가에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비공식 관계적 지배장치는 개별 기업 최고경영진의 관계지향성과 관계협력규범이라는 두 개의 1차 요인으로 구성된 2차 요인이며,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는 기업 간 합의된 비전/목표, 합의된 리더십이라는 두 개의 1차 요인으로 구성된 2차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비공식 관계적 지배장치,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 파트너십 간 관계를 규명함에 있어서, 비공식 관계적 지배장치는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는 공급사슬 파트너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공식 관계적 지배장치는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를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공급사슬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 관계적 지배장치의 완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생산전략이 기업의 신제품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민순홍 ( Soonhong Min ),임수빈 ( Subin Im ),황선일 ( Sunil Hwang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9 로지스틱스연구 Vol.27 No.1

        기업들은 신제품 개발을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적 도구로 간주하여 왔다. 신제품 개발 연구는 주로 마케팅 관점에서 그 선행 요인 및 결과변수를 밝히는데 집중하여 온 결과, 생산관리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의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기업의 생산관리를 중심으로 신제품 개발성과를 분석하였다. 특별히 기업의 source of advantage-positional advantage-firm performance (SPP) 이론과 기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기업의 생산전략이 신제품 개발 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이는 다시 신제품 개발 성과 향상에 기여한다고 제안하고 이를 실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수집한 제조업 생산성 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설 검증에 구조방정식 모형(AMOS)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생산전략이 신제품 개발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끼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역량이 신제품 개발성과를 높이는 것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아울러 광의의 생산전략이 기능부서가 아닌 전사적 개념이며, 기업 경쟁우위의 원천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경영진에게 생산전략의 역할이 생산 부서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사적으로 신제품개발 프로세스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을 증명하였다는 점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Companies have seen new product development as an effective strategic tool for gaining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place. Although abundant research programs on new product development have existed, they have mainly focused on identifying the leading factors and outcome variables from the marketing point of view, and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role of production manage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theorizes and empirically tests the role of production strategy in a broader sense in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ased on the company's source of advantage-positional advantage-firm performance (SPP) framework. In specific, this study proposes that a firm's production strategy has a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development capacity that, in turn,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e empirical test utilizes data from manufacturing productivity panel, which is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Commerce of Korea and the Korea Productivity Center. The hypotheses test is perfo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mpany 's production strategy in a broader sense had a positive effect on new product development capacity. In addi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ew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enhances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is study results also presents that production strategy in a broader sense is a organizational level concept, not a functional level one, helping a firm gain positional advantage in the marketplace. This study is one of a few that proposes and empirically tests the strategic role of production strategy in the context of new product development based on the SPP framework as a theoretical foundation.

      • KCI등재

        구매기업의 상생활동이 공급기업의 관계인지와 역량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정주아 ( Jua Chung ),민순홍 ( Soonhong Min ),황선일 ( Sunil Hwang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8 로지스틱스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한국적 공급사슬관리의 주요 과제로 떠오른 구매기업의 상생활동에 주목하여, (1) 상생활동의 본질에 부합하는 구성개념의 하위차원성을 제안하여 상생활동 개념을 정립하고, (2) 상생활동이 공급기업의 구매기업에 대한 주요 관계인지적 요인인 ‘신뢰’와 ‘공급사슬 동일시’를 높이는지 실증하며, (3) 상생활동과 그 성과 간 관계를 공급기업의 관계인 지적 요인 (신뢰, 공급사슬 동일시)이 매개하는지 실증하여 상생활동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풍부하게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108개 제조 기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1) 상생활동의 주요 차원성인 구매기업의 공급기업에 대한 ‘소통 및 평가의 체계화’와 ‘위험 및 보상의 공유’가 공급기업의 구매기업에 대한 ‘신뢰’를 이끌고, (2) ‘신뢰’는 구매기업 주도 공급사슬에 대한 공급기업의 ‘공급사슬 동일시’를 이끌며, (3) ‘공급사슬 동일시’는 공급기업의 ‘역량개발’을 유도함을 보여준다. 또한, 실증결과는 (4) 공급기업의‘신뢰’가 구매기업의 ‘상생활동’과 공급기업의‘공급사슬 동일시’간 관계를 매개하며, (5) ‘공급사슬 동일시’는 다시 ‘신뢰’와 ‘역량개발’간 관계를 매개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주요 학문적 가치는 지금까지 이론만 정립된 ‘공급사슬 동일시’라는 관계인지적 요인이 한국 특유의 공급사슬 환경에서 실존하며, ‘신뢰’와 ‘역량개발’간 관계의 매개변수임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주요 실무적 가치는 구매기업의 상생활동이 공급기업의 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개념이라기보다는 공급기업과 구매기업과의 관계를 변화시켜 궁극적으로 공급기업의 변화를 유도하는 개념임을 설명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focuses on Korea‘s unique ’coexistence management’ concept, which has become vital to managing supply chain relationships in Korean industri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body of knowledge in ‘coexistence management’ in particular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CM) in general by (1) theoretically suggesting several of critical dimensions of the Korea’s unique ‘coexistence management’ concept led by buying firms in consideration of the very nature of coexistence, (2) empirically testing whether buying firm’s ‘coexistence management’ help supplying firm develop relational goodwill toward buying firm --‘trust’ and ‘supply chain identity salience’, and (3) confirming if the relationship between buying firm’s ‘coexistence management’ and supplying firm’s capability development is mediated by relational goodwill. An empirical test is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108 Korean manufacturer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test results indicate: (1) buying firm’s‘systematized communication and evaluation’ with/of supplier and ‘risk and reward sharing’with supplier , both of which are critical dimensions of coexistence management, positively affect supplying firm’s trust; (2) trust, in turn, help develop supplying firm’s supply chain identity salience; (3) supply chain identity salience then facilitates the supplying firm’ s ‘capability development’. Furthermore, (4) trus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ying firm’s coexistence management and supplying firm’s supply chain identification salience, and (5) supply chain identification salience successively mediates the trust-capability development link. A noteworthy research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s the existence of supply chain identification salience in Korea’s unique supply chain structure ―so far it has lacked empirical evidence on the presence of that theoretical concept since it was first conceptualized in mid 2000s. A major managerial implication is that the concept of coexistence management is strategic and social in nature, rather than tactical and contractual, in that it cannot lead directly supplying firm’s strategic change (i.e., capability development); instead, coexistence management motivates supplying firm to develop its capability only via building trust and supply chain identity salience.

      • KCI등재

        지각된 사회적 위험과 제품 구매상황별 색채 적합성이 소비자의 유무채색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세범(Park, Se-Bum),민순홍(Min, Soonhong),신성혜(Shin, Sunghye)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5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위험의 수준과 제품 구매상황별 색채 적합성이 소비자의 유무채색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색채 선호도는 소비자 개인의 가치를 나타내는 개념이면서 소비자 개인이 속한 사회 속에서 학습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각된 사회적 위험이 소비자의 유무채색 제품 선택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고 실증을 위하여 3(사회적 위험 : 통제집단, 낮음, 높음)×2(구매상황별 색채 적합성 : 유채색이 어울리는 상황, 무채색이 어울리는 상황)의 집단 간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가) 유채색의 제품이 어울리는 상황일 경우, 사회적 위험이 높은 집단과 비교했을 때 사회적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 통제집단과 사회적 위험이 낮은 집단에서 무채색 보다 유채색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에, (나) 무채색의 제품이 어울리는 구매상황의 경우, 사회적 위험이 존재하지 않는 통제집단과 사회적 위험이 낮은 집단, 그리고 높은 집단 모두에서 유채색보다는 무채색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 유채색 제품선택이 어울리는 상황에서, 사회적 위험의 수준에 따라 유무채색의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나) 무채색 제품 선택이 어울리는 상황의 경우, 사회적 위험의 수준과 무관하게 무채색을 선택한다고 결론지었다. 본 논문은 소비자의 색채 선호도가 그들의 가치와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이지만, 제품 선택 과정에서는 구매상황별 색채 적합성과 지각된 사회적 위험에 따라 그 역할에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소비자의 색채 선호도에 대한 향후 마케팅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Choice of product colors can reveal what kind of personality and values consumers hav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consumer choice of product colors fits with social norms and purchase occasions, however, consumers oftentimes have to choose less-preferred product colors over their favorit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risk and color congruity on consumer choice of product colors, we conduct a laboratory experiment employing a 3(perceived social risk: low, high, control group)×2(color congruity: color congruent, color incongruent purchase situation) between-subjects design. The findings of our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consumers under lower social risk and no risk conditions are more likely than those under high social risk to choose chromatic product colors(vs. achromatic product colors) when colorful product choices fit with their purchase occasions. Regardless of social risk, however,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consumers are likely to choose achromatic product colors more than chromatic product colors when colorful product choices do not match with their purchase occasion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