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근대시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평화

        민병희(Min, Byoung-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49 No.-

        현재 평화 연구가 마주친 다양한 도전과 과제를 생각해 볼 때, 전근대 동아시아에서의 평화라는 주제는 중요하고도 흥미로운 화두를 던져주고 있다. 중국의 부상으로 맞이하게 될 새로운 세계질서의 재편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국제관계학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왔던 근현대시기 위주로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고찰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근대 이전 중국이 주도하였던 동아시아 세계질서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최근 많은 연구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서구의 국제관계학 분야에서는 역사적 자료를 활용하여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관계 질서의 패턴에 대한 분석과 이론화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출간되어 다양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이들 국제관계학 연구의 역사적 데이터를 사용한 분석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와 평화의 문제를 살펴보는데 있어, 일국을 넘어선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장기간에 걸친 패턴과 동향을 보여줌으로써 공헌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학의 시각에서 볼 때 이들 연구에는 문제점들도 상당히 노정되어 있다.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대한 최근의 국제관계학 연구들은 이렇듯 양면에서 모두 평화에 대한 다학제적, 융복합적 접근이 마주한 도전과 과제의 이해를 위한 중요 문제의 지점들을 잘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미국 학계에서 출간되어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킨 전근대시기(각각 명대, 송대와 명대, 명대와 청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대한 세 권의 단행본을 선택하여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평화 연구의 도전과 과제를 고찰하였다. The issu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and peace of the premodern East Asia shed a fresh light on peace studies which faces diverse problems and challenges. The rise of China in recent years has provoked interests and concerns on the re-organized world order in which the USA and China play a crucial role as the superpowers. Realizing the limi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East Asia which have mainly focused on the modern periods, many scholars start paying attention to the cases in the premodern East Asia in which China was the major actor. This paper analyzes three current studies on premodern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in the field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 studies which explore the international order and the issues of war and peace discretely in the Ming dynasty, the Song and Ming dynasties, and the Ming and Qing dynasties using historical data. These studies stimulate historical studies on the same topic in that they show the patterns and trends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East Asia in the long term periods of time from transnational perspectives. However, these studies also reveal serious problems, especially when dealing with abstract and ideational subjects. This paper criticizes their problems from a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studies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to enhance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peace studies.

      • KCI등재

        송 · 원시기 성리학과 여성

        민병희(Min, Byoung-hee) 한국역사연구회 2018 역사와 현실 Vol.- No.109

        Neo-Confucianism has long been criticized as the main cause for the suppression of women in East Asian societies. Despite the popular notion that Confucianism is anti-feminist, it has been rarely explored how a Confucian tradition affected women’s life in the particular society in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and why Confucians in the society made such choices and the society accepted the choices. In the Song dynasty, Neo-Confucians started a large scale social, political, cultural, intellectual movement through which they intended to transform and improve the society according to their agenda. All the theory and practice in Neo-Confucianism served for the purpose. Therefore, the questions of how Neo-Confucianism dealt with the issues of women and why they did so should be also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agenda. Women"s status in the Song was paradoxical. On the one hand, foot-binding and Neo-Cofucianism, the two major symbols of female subjugation in Chinese history became widespread. On the other hand, women enjoyed unprecedented property rights and Neo- Confucian patriarchal agnatic principle barely changed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s in the society. Ironically, Neo-Confucian patriarchal ideology was legalized and institutionalized under the Mongol rule through contingencies. Neo-Confucianism is premised on the metaphysical theories and depends on the Classical authority. However, we cannot find a particular effort to develop a systemic theory on feminity and women per se in Neo-Confucianism. Neither existed the fixed set of rules which they should observe for the revitalization of patriarchal agnatic principle from the Confucian tradition. In fact, Neo- Confucianism pays little attention to the issues of women. They dealt with the issues of women only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the female members of family in the grand agenda of the literati society. The role, status, and virtue of women were defined only by the need, utility and desire of literati males within the purview of the literati family strategy and the blueprint of the ideal literati society. The subject of women in Neo-Confuican ideology should be analyzed in terms of class as much as of gender. What strikes us most in the Neo-Confuican attitude and perspective towards women is not misogyny but the conceptual and categorical absence of women as a gender. Outside the family in which women are arranged for the Neo-Confucian grand agenda, women are completely missing.

      • KCI등재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의 성립과 경전적 권위의 변화

        민병희 ( Min Byoung Hee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5

        논문은 주희의 『사서장구집주』의 성립과정과 특성을 살펴보면서 주희의 사서 체계가 유가 경전 전통에 가져온 변화를 경전적 권위의 소재와 성격에 중점을 두어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가에서 “경”이란 공자가 전수한 항상적이고 보편적인 진리를 담은 텍스트를 말하며, 공자의 권위가 경전의 권위의 중심을 이루었다. 당제국이 통일을 성취하고 편찬한 『오경정의』는 집적된 문화의 표준적 규범을 통일 제국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기반으로 제공하고 국가가 경전적 권위를 보장하였다. 『오경정의』의 권위는 당 중기 이후 급속히 와해되며, 송대에 이르러서는 이를 대체하려는 다양한 새로운 경전에 대한 접근들이 출현한다. 북송대에 커다란 영향력을 가졌던 왕안석의 『삼경신의』는 『오경정의』와 달리 경전의 학습의 목적을 집적된 문화의 규범이 아닌 생각하는 방식을 배우는 것에 두었으나, 그 생각하는 방식을 규정하는 것은 왕안석과 그가 구상한 정부의 시스템이었다. 주희의 『사서장구집주』는 이러한 유가 경전 전통에 전면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주희는 기존의 오경에 필적할 만한 사서라는 새로운 경전 체계를 유가 경전 전통에 도입했을 뿐 아니라, 경전의 역할과 학습 목적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사서의 텍스트들은 당 중기 이후 주목을 받아왔으며 정이, 정호의 제자 집단에 의하여 도학의 주요 텍스트 전통으로 널리 학습되어 왔으나, 이를 오경에 필적할 새로운 경전 체계로 완성한 것은 주희였다. 도학의 가장 기본적 학습 프로그램이 된 주희의 『사서장구집주』는 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사대부들간의 상호작용과 교류를 촉진하여 공론의 장을 확보할 수 있는 사대부 네트워크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기획되어 있으며 그 철학적 기반도 제공한다. 성인이 전수한 텍스트라는 권위의 근거에 국가 권력이 다시 그 권위를 공식화함으로써 경전적 권위를 보장받았던 유가 경전은, 『사서장구집주』의 경전체계에 이르러서는 경전적 권위의 궁극적 근거가 이를 학습하는 주체인 사대부의 심에 놓이게 된다. 경전이 윤리적, 공적 역할을 자각하여 현실세계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대부들이 실질적으로 상호 공유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기반이라는 점이 경전에 권위를 부여하는 근거가 된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ain the shift in the locus and nature of the textual authority in the Confucian tradition brought by the new set of the Classics, Zhu Xi`s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Jing (經)” means the textual tradition in which the transcendental and universal truth transmitted by Confucius is contained in the Confucian tradition. The Correct Meanings of the Five Classics which was compiled as the symbol of the unified empire of the Tang provided the model of the accumulated cultural tradition and the ideological standard for the elites and transformed the elite into the tool for the governing of the empire. The authority of the Correct Meanings of the Five Classics was collapsed in the mid Tang period and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Classics emerged in the Song period. Wang Anshi`s New Meanings of the Three Classics believed that the education of the Classics aims to teach how to think instead of learning the accumulated cultural tradition. The authority of the way of the thinking was guaranteed by the government and Wang Anshi. Zhu Xi presented the new sets of the Classics and his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fundamentally altered the classical learning and the role of the Classics, The texts composed of the Four Books had been a seminal part of the learning curriculum in the Daoxue tradition since the Cheng brothers. However it was Zhu Xi who established the new system of classical learning in which the Four Books are equal to the Five Classics. Zhu Xi`s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provides the learning program for the literati elites through which they could build up the literati networks and the public sphere. The locus of the textual authority shifted from the power of the government which supported the unified standard for sage`s transmitted texts to the mind of the literati who internalized the sage`s learning by Zhu Xi`s new set of the Classics. The textual authority of the Confucian Classics in Zhu Xi`s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Four Books was guaranteed by the fact that the Classics could provide the objective and real platform shared by the literati who posed them as the co-governor of the all under the heaven and realized their public and ethical roles in the society.

      • KCI등재

        道統과 治統, 聖人과 帝王: 宋 ~ 淸中期의 道統論을 통해본 士大夫社會에서의 君主權

        민병희(Min, Byoung-hee)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40 No.-

        당 중기 이후 도통론은 사회·정치 질서에 대한 본원적인 질문과 밀접한 연관을 맺으며 출현하였다. 북송시기 다양한 계보를 산출하며 전개되었던 도통론은 주희의 도학 체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며 단순히 유가의 도의 전수의 계보를 넘어, 사회·정치 질서의 기반이 되는 권력의 정당성에 대한 논의의 기본적 틀을 제공하게 된다. 주희의 도통론의 정치적 의미는 무관의 왕으로서 공자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상징성을 극대화하고, 공자가 구현하였다고 보는 “문헌적 왕권”을 새로운 방식으로 구현하면서 사대부들의 권력을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도통과 치통의 관계의 문제는 직설적으로 표현하자면, 聖人과 帝王의 관계의 문제이며, 이는 곧 사대부의 권력과 군주의 권력의 문제에 대한 논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道統論’의 틀 속에서 군주권의 정당성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어왔는가를, 명대와 청대의 대표적인 전제 군주로 여겨지는 황제들을 중심으로, 담론과 보다 구체적인 禮制와 문헌 편찬 등으로 표출된 군주의 대응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군주측의 대응과 이러한 대응의 배경을 살펴 본 바에 의하면, 사대부 사회에서의 권력의 정당성의 문제는 사대부가 중심이 된 논의구조인 도통론에 큰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사대부는 이념적으로는 군주권을 압도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인다. 이 논문은 송대 이후의 군주권에 대한 논의는 이전 시기와 매우 다른 구도 속에서 논의되고 있었으며, 이는 사대부 사회라는 새로운 엘리트층의 성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송대 이후의 군주권에 대한 논의의 성격은, 기존의 설명과 같이 군주권에 복속된 관료층으로서의 엘리트층의 등장이 분권적 요소를 제거하여 전제적 군주권이 강화되어간다는 변화 과정으로 이해하기는 힘들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송대 이후의 강력한 군주권의 성격은 동양적 전제주의나 유럽 절대왕정의 구도로는 이해되기 힘들며, 세습적 귀족이 아니지만 사회적으로 특권을 지닌 사대부 집단과 그 사대부 집단이 만들어낸 사대부 사회의 권력 구조의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Daotong discourse has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 to the discourse on the sociopolitical order since the mid Tang period. Zhu Xi firmly established the lineage of Daotong and its sociopolitical meaning in Confucian tradition. Since Zhu Xi up to the decline of Daoxue in the Mid Qing period., Daotong discourse has provided the frameworks for the discourse on the legitimacy of pow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otong and zhitong has been problemitiz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otong and zhitong ultimately asked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wer of the literati and the power of ruler. The political implication of Confucius, the uncrowned king, was highlighted in the Daotong discourse in Zhu Xi's learning. Also Zhu Xi's learning textualized Daotong in the form of his new classical tradition, the Four Books, It also transformed the way in which "textual kingship" could be embodied. This paper analyzes ritual controversies concerning Confucian temple and attempts to manipulate "textual kingship"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emperor and the literati. Unlike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e emperors in the Ming and Qing periods did not have a solid ideological ground for their sovereign power. The framework of political discourses based on Daotong was designed to support the power of the literati, and the emperors were mostly defensive in the ideological discourses. The sovereign power in the literati society cannot be fully understood by theories of "Oriental Despotism" or by the model of the "absolute state" in Europe. Without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literati society, is it impossible to explain the sovereign power in late imperial china.

      • KCI등재

        연구논문 :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와 사대부 사회의 변화

        민병희 ( Byoung Hee Mi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3 No.-

        유가의 전통적 경전적 권위였던 五經 체제에서 四書 체제로의 전환은 매우 극적인 전환이다. 송대 주희에 의해 새롭게 정립된 사서의 경전적 권위는 유가의 텍스트 전통과 교육뿐 아니라, 유가의 성격 자체를 변화시킨 일대 사건이었다. 이 논문은 사서의 출현을 문헌학적이나 경전의 철학적 의미의 구명보다는 사대부 사회의 변화라는 당시의 사회적 변화와 연결시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주희가 『사서장구집주』가 널리 전파되어 그렇듯 강력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던 것은 이 새로운 경전적 권위가 당시 이를 수용하였던 계층의 필요와 욕구에 상당한 호소력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사서의 어떠한 면이 이들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었는가? 사서의 수용과 인기는 이들의 필요와 욕구가 어떠한 것이었음을 말해주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논문은 『사서장구집주』가 탄생하게 된 도학의 출현에 따른 텍스트의 다양한 변화 중에서 사서라는 새로운 경전적 권위가 필요하게 된 배경과 사서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주희가 취한 주석 형식에 주목하여 이러한 새로운 경전적 권위를 요구했던 사회적 변화를 설명한다. 그리고I이러한 경전의 성격의 변화가 도학이 가져온 여러 학습 관행 등의 변화와 더불어 어떻게 사대부 사회를 변화시켰는지를 구체적인 예를 통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사대부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정치적 어젠더의 구현을 위해 도학은 학의 과정에서 사대부 네트워크를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사회정치적 영역의 일들을 처리하였으며, 이때 텍스트를 통한 네트워크의 형성과 그 성격의 규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사서라는 기존의 경전적 권위를 대체한 새로운 경전 텍스트는 새로운 사대부 네트워크의 성격을 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사서와 행간 주석은 이러한 사대부 동료 간의 상호작용과 교류에서 가장 근원적인 공통의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사서의 권위는 사서가 사대부들이 가장 기초적으로 공유하고 있는 텍스트라는 사실에서 오며, 사서가 창출해낸 논의의 형태와 기록은 또한 이 새로운 텍스트가 사대부들간의 상호작용과 교류를 촉진하도록 만들어졌다. 또한 공통적 텍스트에 기반을 둔 강학 네트워크를 통하여 시사문제나 사회, 정치적인 문제도 토의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에 대한 논의는 철학적, 학술적, 문헌적인 논의와 분리되지 않았다. 주자학의 학습 프로그램은 사회적, 정치적인 주제와 시사를 토론하기 위한 중요한 틀을 제공하였다. 주희와 장식의 서간의 예는 어떻게 사대부들의 일상적인 학습 네트워크가 동일한 과정에서 사회정치적 영역의 문제를 다루면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가를 보여준다. 오사도의 예는 공통된 사서라는 텍스트를 바탕으로 한 주자학의 학습 커리큘럼과 방식이, 개인과 조직 간의 상호작용과 교환 등에 안정적이고 반복해서 나타나는 패턴으로서의 사대부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전파되며 유지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듯 사서는 변화한 사대부 엘리트의 위상과 역할, 이들이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과 영향력의 성격의 변화를 반영한 산물이자,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가는 주요한 기제로 작용하였다. The shift from the Five Classics to the Four Books in the classical authority reflects dramatic changes in Chinese history. This paper examines how Zhu Xi created the new set of textual tradition and how this new Classic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the literati society. It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 Dao learning on the textual genres and practices and briefly explains the textual history of the Four Books. Zhu Xi chose interlinear commentary format as the method of exegesis. With serious reflections on the given tradition, Zhu Xi made conscious choices to create a new textual tradition in the crucial turning point of Chinese history. The literati who accepted and participated in building up this new tradition also made choices. The Four Books and the interlinear commentary format reflect the shift in the locus and nature of the authority in the new textual tradition. The nature of the new cultural tradition, the Four Books,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The authority of the texts is, in theory, grounded in the universality of human mind and in the real world it is grounded in the literati community that shares the texts as the common ground for their peer dynamics. The example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Zhu Xi and Zhang Shi and the process of Wu Shidao`s conversion to the Dao learning show the way of how this new textual authority constructed the literati identity and networks through this new textual authority and diverse related textual practices in the Dao learning.

      • KCI등재

        논문(論文) : 북송(北宋) 시기 보편 원리의 추구와 사대부(士大夫)의 위상(位相) -소옹(邵雍), 왕안석(王安石), 정이(程이)를 중심으로-

        민병희 ( Byoung Hee Min ) 중국사학회 2013 中國史硏究 Vol.83 No.-

        In the Northern Song period, the pursuit of a coherent principle universal to everything both in human and natural realm permeated various intellectual endeavors. Neo-Confucianism systemized by Cheng Yi and Zhu Xi was the culmination of such an intellectual ambience. What draws attention here is that after the failure of Wang Anshi`s reform policies, Neo-Confucianism set the framework for the social and political discourse centering metaphysical discourses based on the universal principle. Such frameworks lasted for long period of time in East Asia. Of course there existed various discourses of the more concrete institutional agendas with pragmatic approaches to social and political issues, but still the most powerful alternative to Wang`s vision came from the argument based on more abstract theoretical discourses. It is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 abstract theoretical discourses on li, qi, human nature, and the mind was related to social and political discourses in real society and why this kind of frameworks worked out.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physical discourse on universal principle as the major frameworks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and new literati identity in the Song period through examining the cases of three major thinkers in the Northern Song, Shao Yong, Wang Anshi, and Cheng Yi. Shao Yong who was usually regarded as an eccentric numerologists how show a new literati identity became conspicuous in Northern Song Luoyang. However, his pursuit of universal principle was not integrated into this new identity and lifestyle of Song literati. This paper also throws light on Wang Anshi`s pursuit of universal principle and his classical studies as the way to access to the principle. Wang`s philological studies provided the foundation for his entire project to unify morality and harmonize customs through the new classical studies. So far scholars have mostly focused on his ideas of institutional plan and political system presented in his classical studies. Although that aspects crucial to understand his ideas, this paper argues that more fundamental pursuit of universal principle underlying in his learning is a key to understand why Neo-Confucianism of which major frameworks of social and political discourses are grounded in metaphysical discourse rather than in the articulation of particular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ystem became the alternative to Wang`s vision of government. Finally, I compare how Cheng Yi differed from Shao and Wang and what he could achieve from his definition of universal principle and how he integrated the pursuit of the principle and the lifestyle and identity of literati elite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suit of universal principle and literati identity in Northern Song also helps explain the various unfolding of coalitions and conflicts among those thinkers` ideas in later periods in East Asian societies.

      • KCI등재

        王安石에 있어서의 道와 字

        閔丙禧(Min Byoung-Hee) 동양사학회 2010 東洋史學硏究 Vol.110 No.-

        This paper examines Wang Anshi's idea of Dao 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11th century intellectual ambience in which the pursuit of one universal principle applicable to everything pervaded. I attempt to explain Wang's philological studies in relation to his pursuit of the universal principle. Wang's learning aimed to deal with the question, “how to learn” or “how to know sage's original intention.” Wang's answer to the question was embodied in his classical studies, which he proposed as the foundation of the unity of morality and customs. Wang focused on the way to learn the coherence of the classics and right reasoning process. He believed that we can find the way to unify the method of reasoning. His idiosyncratic philological studies provided the base for the method. Wang's thought and learning reveals the transitional nature in the pursuit of universal principle starting with the mid Tang period and culminating in the Daoxue movement in the Southern Song period. Wang's learning shares many similar assumptions and problematics with Daoxue, especially at its “meta” level of knowledge structure. However unlike Daoxue Wang's learning failed to systemize and theorize the universal principle. In addition, fundamentally they cannot be compatible both in intellectual and political terms. The close study of Wang's learning also contribute to the exploration of new ways to understand intellectual history of East Asia, based on the continuity and transformations of certain important cultural and intellectual elements such as Chinese characters, philological studies, and classical studies, recurrent in the later periods.

      • KCI우수등재

        [중국 근세Ⅰ] 전체적 역사상 구성을 위한 문제 의식과 공유의 필요성

        민병희(Min, Byoung-Hee) 역사학회 2014 역사학보 Vol.0 No.223

        In the field of Song-Liao-Jin-Yuan history in 2012~2013, research on history of nomadic peoples of the Northern areas and Mongol Empire increased, whereas that on Song history decreased to a great extent. Breaking away from sino-centered perspective, many researches took multi-centered perspective on inter-relationship among Song and other states and peoples. Researches on Mongol Empire was the most active field during the years. Especially it is a very promising perspective that we deal with the Mongol Empire as a unit focusing on its “world-empireness.”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classical Chinese materials which mostly reflect the sino-centered perspective, sources written in other languages began to be intensively used and established views of the sinification of Yuan dynasty has been reexamined. To advance the field, I suggest that scholars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and share the questions for creating a big picture of history in general instead of pigeonholing the research subject in a narrow specific fiel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