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의 매개효과

        민동화(Donghwa Min),송민정(Minjung Song),정동일(Dongil Ju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9 인사조직연구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지금까지 감정규제에 관한 연구들은 서비스업에서의 직원과 고객 사이의 상호관계에 집중해왔으며, 리더의 감정규제가 부하직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는 개념적 연구들로써 리더의 감정규제전략과 부하 직원의 인식, 태도,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부족하였고, 소수의 실증연구 에서도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에게 쉽게 경험되어지며, 부하직원의 태도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감정규제전략과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의 관계를 자기결정 이론과 귀인이론을 통해 설명하였으며,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하직원이 인식한 리더의 진정성 리더십 매개 효과를 EASI model을 통해 설명하였다. 연구모형의 실증 결과, 리더의 표면 행위는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리더의 내면 행위는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리더의 표면 행위와 내면 행위 모두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으며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을 통해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의 리더들 역시 부하직원과의 관계에서 감정규제전략을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리더의 감정규제전략이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논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리더의 감정규제전략과 부하직원의 직무 만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메커니즘으로 부하직원이 인식한 진정성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on follow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While prior emotional regulation studies highly focused on service works, i.e. worker-customer relationship, they have rarely examined the leadership role, i.e. leader-follower relationship. In addition, most prior studies regarding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have been conceptual studies, while very few empirical studies have predicted direct effects of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for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through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attribution theory. We additionally discuss the mediating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between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OCB through the EASI model. The empirica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eader surface acting is negatively related to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while leader deep acting positively related to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second,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follower job satisfaction/OCB; and third,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has demonstrated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OCB. This study presents theoretical arguments on the effects of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on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and mechanisms of follower perceived authentic leadership between leader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follower job satisfaction/OC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