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위성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구한 한국 동해의 와동류 분포

        민덕홍 ( Dug Hong Min ),이재철 ( Jae Chul Lee ),심태보 ( Tae Bo Shim ),이형선 ( Hyong Sun Lee ) 한국수산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2

        Satellite infrared images were analyzed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eddies off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1987 to 1991. Most of the eddies were filament-type and were generated near the fringe of the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flowing northward. Eddies having length of 20~40㎞ and width of 10~20㎞ were most abundant. The meso-scale eddies of 100~200㎞ in diameter were found between Mukho and Wonsan Bay in almost all the images. There was no evidence for the consistent movement of eddies to a definite direction. The Ulleung Warm Eddy, although reported previously by the hydrographic data, could not be identified by the limited amount of infrared imagery.

      • KCI등재

        1992년 5월 속초 근해 와동류의 구조

        이재철 ( Jae Chul Lee ),민덕홍 ( Dug Hong Min ),유홍선 ( Hong Sun Yu ),이형선 ( Hyong Sun Lee ),양한섭 ( Han Seob Yang ) 한국수산학회 1995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8 No.3

        1992년 1월부터 6월까지의 인공위성 적외선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속초 근해에 형성된 와동류의 시간적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동년 5월에 그 구조를 관측하였다. 와동류의 형성에는 두가지 종류의 과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첫번째로 1월의 영상자료에 의하면 난류의 대량 공급으로 인하여 약 200㎞ 크기의 와동류가 형성되었다. 그 이후에 약간의 변형과 냉각과정을 거쳐서 3월에는 난류의 좁은 필라멘트가 북쪽으로 침투하면서 어느정도 냉각된 기존의 와동류를 포위함으로써 4-5월에는 반지모양의 와동류로 발달하는 두번째의 형성과정이었다. 와동류의 내부에는 수온 10.0~10.4℃의 균질 중층수가 최대 170m의 두께로 존재하였다. 속초 근처 동한난류의 축에서의 유속 약 80㎝/sec를 제외하면 나머지 부분의 와동류 내부에는 대체로 30-50㎝/sec의 유속분포를 보였고 주수온약층 밑으로는 유속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Temporal change of a warm eddy off Sogcho was studied using satellite infrared images from January to June 1992 and its structure was investigated by the observations in May. There were two kinds of event for eddy formation. IR images in January indicated that the eddy having a horizontal dimension of about 200㎞ was first formed by an injection of warm water. After some deformation and cooling processes the second restrengthening event took place in late March when a warm filament began to penetrate northward and circumvented the preexisting eddy. This eddy became a complete ring-shape with cooled water arrested inside from April to May.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isothermal subsurface layer with temperature of 10.0~10.4℃ was about 170m. Except that the current velocity was about 80㎝/sec near the axis of the East Korea Warm Current close to Sogcho, the interior of the eddy had an anticyclonic motion with overall swirl velocity of 30~50㎝/sec. Velocity rapidly decreased vertically below the main thermoc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