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래로부터’ 발생하는 초국가적 효과와 그 맥락에 대한 연구

        민가영(Min Gayo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0 문화와 사회 Vol.8 No.-

        본 연구는 초국가적 삶의 조건에 놓인 몽골 이주 노동자 자녀에게 국가의 의미가 구성되고 재구성되는 방식을 검토함으로써 아래로부터 발생하는 초국가적 효과와 그 맥락을 검토하려는 연구이다. 서로 다른 국가의 경계가 이들의 일상을 통해 충돌하면서 개인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 국가의 경계가 전유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초국가적의 의미가 작동하는 방식을 아래로부터(from below) 검토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주한 국가 내부에서 외부자로 분류되었던 경험은 이들에게 출신국의 존재와 의미를 형성시키는 계기가 되지만 다시 이주한 출신국에서 경험한 내부의 차이를 직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본국에 대한 의미를 차이와 동질성 속에서 형성하게 된다. 국가의 의미를 둘러싼 이들의 협상 방식을 볼 때, 주목할 점은, 현재의 위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이들은 늘 현재 규정된 위치 이상의 보충적 구조/위치를 요구하게 된다는 점이다. 즉 한국 내부의 외부적 위치에서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로 몽골에 대한 기억이 형성되었고, 다시 돌아간 몽골에서는 내부의 차이 속에서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로서 또 다시 한국의 경험, 다른 이주의 가능성 등이 동원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계속 요구되는 보충적 위치들, 그리고 이것들 간의 접합 속에서 이들은 국가의 경계와 의미를 계속 협상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협상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들에게 국가의 의미는 한편에서는 법적 효력을 자신의 신분과 이동 가능성을 제한하는 실질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상이면서 동시에 초국적 전망속에서 협상 가능한 선택적 대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즉 이들이 가진 느낌, 의미, 위치가 정당화 되는 바탕/층위는 더 이상 국민국가적이지 않으며 국가의 경계에 걸쳐져 있는 초국가적 층위 위에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국민국가의 배타성은 이들에게 자신의 승인을 위해 보충대리 구조를 요구하게 하고, 보충 구조의 계속되는 접합을 통해 국민국가의 경계 안에 포함되지 않은 초국가적 위치성/효과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a way of contructing and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nation from below so that examining transnational effect and context This research has a goal to reveal the way in which transnational meaning is operation from below by examining how people appropriate national boundaries in everydaylife. They came to perceive the meaning of their hometown through an experience of exclusion from Korea. They have formed meaning of their homecountry in terms of homogeniety and heterogeniety. When it comes to a way of negotiation around meaning of na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y face to need supplimentary part beyond in order to let them be recognized by current community as an alien. Memories of Mongolia were emerged in order for them to defense their marginalized position in Korea. And when they return back to Mongolia they took korean experiences in order to make their position as ‘alien’ meaningful while making difference from Mongolian with no experience of migration. Through the chain of this repositioning they are situated in a way of negotiation of national boundary. With this continuos negotiation nation becomes both institution with power to influence life and negotiable object under the condition of transnational prospect. A base in which their feeling, meaning and position are situated is no longer national but instead transnational.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reach at the point that nation’s exclusiveness requires supplementary part in order to operated itself and through the chain of this conjunctive transition there happens transnational effect.

      • KCI등재

        ‘타자화’와 ‘자기고립적 차이’를 넘어서기 위한 방법의 탐색

        민가영(Min, Kayou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4 젠더와 문화 Vol.7 No.2

        대상화되던 타자가 자신을 스스로 정의하는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그것이 자기고립의 위험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은 무엇일까? 본 연구는 발전주의가 가진 타자화를 넘어서려는 포스트발전 페미니즘이 자기 고립의 위험으로 가는 문제를 각기 ‘타자화를 통한 자기 정의’와 ‘자기 고립을 통한 자기 정의’라는 분석틀 속에서 짚어보았다. 필자는 타자화와 자기고립적 정의의 문제를 야기한 근본적 원인 중 하나로 ‘우리와 그들 사이에 작동하는 연결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았다. 타자화에 대한 비판이 자기고립으로 가지 않기 위한 방법의 모색은 보편주의의 위험성을 비판하며 등장한 차이에 대한 논의가 자칫 상대주의로 빠지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최근의 논의와 그 맥을 같이한다. 여기에서는 이에 대한 최근의 논의인 국내 학자 조주현과 정연보의 논의를 살펴본 뒤 이들의 논의와 다른 각도에서 필요한 접근을 모색해 보았다. 위의 방법들이 ‘대안적 지향점’으로서의 연결성을 모색하고 있다면 필자는 ‘존재론’의 차원에서 현재 간과되고 있지만 직면해야할 필요가 있는 연결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모더니티와 전통, 식민자와 피식민자와 같이 서로 대립적이라고 여겨지거나 심지어 적대적이라고 여겨지는 범주 사이의 상호의존적 관계에 대해 논한 하딩과 나라얀의 논의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선택적 채택에 의해 이미 존재하고 있고 작동하고 있는 상호의존성과 연결성을 간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라얀과 하딩은 문화적, 정치적 경계에 대한 본질주의적 사고를 벗어나 문화적, 정치적 경계가 인간 구성물의 결과이며 이 때 이분법적으로 사고되는 서로 다른 범주들 간의 상호연관성/의존성을 엿볼 수 있는 여지를 시사해 주고 있다. 필자는 나라얀과 하딩의 논의를 통해 서로 분리된다고 여겨지는 것들 사이의 상호의존성을 이해할 수 있는 관점으로 ‘위계 속의 팀웍’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위계 속의 팀웍’ 개념은 서로 분리되는 것처럼 간주되는 두 범주를 지탱하고 있는 차이가 실은 서로를 다른 것으로부터 구별되어 자신을 정의하고자 하는 동일한 욕망을 향한 정치적, 역사적, 문화적 상호 작용 속에서 만들어진 것임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개념이다. ‘차이’에 대한 이러한 사유는 차이에 대한 부각이 자기 고립성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도록 상호간에 이미 작동하고 있는 연결성을 볼 수 있게 하여 이분법과 자기고립성을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Post-development feminism began with criticizing the view that non-Western society has been represented as powerless and dark. Refusing to be defined as “the supported” post-development feminism tried to reposition third world women as subjects of development by relearning their experience and knowledge. However, in the process they faced the problem of exclusivism.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post development feminism in terms of self-definition. Resisting Westerncentered developmentalism, post-development feminism tried to value the third world people’s native experience and voice as substantial resources. Post-development feminism, however, viewed Southern women’s voice, experience and tradition as its essence and was criticized due to its totalitarianism. A representation of non-Western society by developmentalism is not only about a matter of ‘who defines?’ but also a matter of ‘how is it defined?’. While the Western self-defining paradigm eradicated other’s experience and voices in order for them to become a subject to define, postdevelopment feminist discourse eradicated others(low class, lowly educated people) within them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global connectedness) by defining their problem and solution by themselves without being defined by Western societ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being isolated in defining self, it is demanded to recognize the connectedness among differences.

      • KCI우수등재

        성착취를 통한 수익 창출 대중화 시대의 개별화된 성매매 알선 방식 연구

        민가영(Min, Kayoung) 한국여성학회 2021 한국여성학 Vol.37 No.2

        본 연구는 변화하는 성매매 양상 속에서 십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개별화된 성매매 알선’의 맥락을 검토하고자 한다.본 연구는 디지털 자본주의 체제에서 성폭력/착취가 대중화되고 있다는 기존 논의를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성착취를 통한 수익구조 창출의 대중화와 개별화의 흐름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십대 여성에 대한 개별화된 성매매 알선의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터넷 플랫폼을 매개로 한 성매매 알선문화는 디지털 성폭력의 생산과 유통, 소비, 성매매 알선이 하나로 엮이면서 일상과 놀이, 성착취, 수익 창출의 연계 가능성을 대중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점은 현재 십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매매 알선 방식과 연관된다. 가족의 폭력, 열악한 노동시장, 불법촬영 유포, 왕따와 같은 사회적 안전망에서 배제된 십대 여성의 일상과 삶 그 자체가 누군가에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착취의 대상으로 손쉽게 전환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십대의 생활 세계 안에서 불법 고금리사채와 성매매 알선이라는 연계 고리가 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십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개별화된 성매매 알선 현상은 누군가의 취약한 일상과 삶 자체가 수익을 낼 수 있는 총체적 자원으로 전환되는 맥락과 이것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있는 성폭력을 통한 수익 창출의 대중화 현상을 야기하는 사회문화적 구조에 대한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mis to examine the context of ‘popularization in arrangement of prostitution’. This research tries to interpret the popularization of sexual exploitation and apply it to individu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profit by prostitution arrangement. The system of prostitution arrangement based on digital platform has been entangled with production, circulation, consumption and prostitution arrangement that the link between sexual exploitation and profit has been expanded. The domestic violence, a poor labour market, illegal filming and exclusion from social network have caused the vulnerable everyday life to be exploited. In addition to the digital sexual exploitation there has been emerging illegal private moneylender with high interset who has linked it to prostitution arrangement. The phenomena of individualized prostitution arrangement shows that the life itself of the vulnerable can be changed over to profit for someone who intends to exploit them.

      • KCI등재후보

        글로벌 시대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국가와 종교 관계

        민가영(Min, Ka-young)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1 종교문화연구 Vol.- No.16

        This article aims to elucidate some aspects of post-socialist modernity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state and religion in post-socialist Mongolia.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Mongolia has faced doble socio-political needs; on the one hand, to establish a new national identity and to constitute political apparatuses for national integrity and social security; on the other hand, to maintain flexible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global capitalism. Such needs has rearranged the relation between state and religion. The solidarity between Mongolian government and Lamaism, the main traditional religion, has a political significance to accomplish social integrity and to ease domestic conflicts. And the reinforcement of regulation and control over non-traditional religions can also be seen to have the same intention of social integration and security. With reinforced regulation and control over Christianity as a representative of foreign culture, Mongolian government tries to keep the balance between people’s animosity against the influx of international capital and labor on the one hand, and the necessity of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based on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Mongolian government utilizes the policy of selective regulation on foreigners in order to find an equilibrium point of the double needs to accept the global capital and its principle that threats the boundary of national state. Such a socio-political trend of simultaneous nationalism and globalization is an important aspect in understanding the political situation of Mongol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In addition, it is a critical point that reveals the aspects of post-socialist modernity far beyond the mere change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Such changes in post-socialist Mongol society can be characterized both as a political advance with a new national identity and democracy and as an economic advance under the market economy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refore, such chances presents a new academic task to clarify the nature of post-socialist modernity after and beyond the changes triggered by the reform and opening.

      • KCI등재

        생존의 개인화 시대에 십대 가출 여성의 자기 보호

        민가영(Kayoung Min)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7 여성학논집 Vol.34 No.1

        사회적 보호 장치로부터 배제된 가출 여성들은 남성중심 성문화 속에서 자신의 몸을 자원으로 삼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보호를 어떻게 수행하게 될까? 십대 성매매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개인형 성매매가 기존의 산업형 성매매로 회귀되고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 이것의 가장 큰 이유는 십대 여성들이 조건만남을 하면서 다양한 신체적, 심리적 위해를 당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들은 보다 조직적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포주에게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포주에게 고용되는 것을 선택하거나 같은 또래 집단들 끼리 그룹을 지어 뒤를 봐주는 그룹형 성매매로 이동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신자유주의적 개인화, 생존의 개인화가 지속, 강화된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 또 다른 양상으로 변모하고 있다. 생존이 개별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십대 여성들은 십대에 대한 성보호주의를 자원화 하여 자기보호를 시도하고 있다. 몸과 성 이외에 별다른 자원이 없는 채 사회적 관계망과 돌봄에서 배재된 십대 여성들은 자신을 방어하거나 상대의 부당한 행위를 합법적인 방법으로 제어하거나 책임을 묻기 어려울 때 이 사회가 요구하는 피해자의 모습을 채택한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임의 선택은 이들에게 일시적으로 상 대에 대한 통제와 처벌의 권한을 느끼게 할 수도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이 과정은 십대 여성들이 몸과 성적 존재 이상의 언어와 가능성으로 도약하는 것을 가로막는다. 몸과 성적 존재 이상으로서 자신의 정체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하게 된다는 점에서 이들은 ‘자유롭게 자신을 억압’하게 하는 구조의 피해자이다. Teens aged girls have lived under the condition of massive commodification fo sexuality, protectionism of sexuality and neoliberal individualism. What kind of strategy do they chose as personal resource to protect themselves? Under neoliberalism, society forces family to connect them to pursuit their profit dependent on their own sources. So underclass families shows that are converged into anonymous relationship. Peer groups had been a protective circle when they committed crime. Those groups however have changed into a hierarchical group based on individual resource and power. Teens aged girls are no longer depended on peer groups. They depend on their own. In this individualizaiton of survivor, teen aged girls tare trying to protect themselves by exploitating protectionism of sexuality for teen aged girls as a source. Because they have been excluded form social relationship and care from family, they use their body and sexuality as a source when they could not protect themselves with legal ways. In the course being victim could give a temporary sense of control of others. These processes however keep themselves from going away from becoming sexual being. Their choice is in between being sexual object and victim that deserve social recognition. As a result they consume themselves. A protectionims from sexuality for teens aged girls makes it easier for teen aged girls to consume themselves.

      • KCI등재

        젠더·계층의 교차를 통해 본 20대 대학생의 성별분업에 대한 인식

        민가영(Min Kayoung)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2

        본 논문은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이 급속하게 균열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현재의 20대들, 그 중에서도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중간 계층 안에서 성별분업 모델이 그들의 계층적 조건과의 관계 속에서 성별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비교 검토하려는 연구이다. 젠더의 작동이 그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보상과의 관계 속에서 작동한다는 점을 상기할 때 성별분업에 대한 한 개인의 인식은 그가 위치한 계층적 조건과 젠더와의 교차를 통해 형성될 것이다. 현재 20대는 생계의 문제가 자아실현을 압도하는 시대에 살며 부모세대를 통해 경제적 불안정성을 익히 경험한 세대이다. 또한 생계형 맞벌이가 보편화되고 있지만 성별분업의 근간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서 경력단절과 취업 여성의 이중부담이라는 단어가 사회의 상식적 언어가 되고 있고, 결혼에 관해 ‘선택의 자유’라는 담론을 ‘계층적 현상’이 대체하고 있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IMF 경제위기 이후에 성장한 20대들의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와 차이를 통해 앞으로 성별불평등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남성들은 점차 불안정해져 가는 남성 노동자의 위치라는 계층적 조건을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참여라는 성별분업의 해체를 통해 해소하고 싶어 하는 반면 여성들은 고용시장에서의 여성 노동자의 열악한 현실과 이중부담이라는 젠더 권력관계를 남성 생계부양자라는 계층적 가능성을 통해 해소하고 싶어 하는 상반된 태도를 보여주었다. 남성과 여성의 성별분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공통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것은 성별분업에 대한 이해와 전망에 계층적 조건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남성들이 자신의 계층 조건 속에서 더 이상 성별분업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고 인식하는 반면 여성들은 자신이 원하는 계층적 삶의 가능성 여부로 성별분업을 평가한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경제적 불안정 시기에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이 균열되어가고 있는 자리를 채우고 있는 새로운 양상 중 하나는 성별분업을 계층적 삶의 양식으로 이해하는 의미체계의 강화로 보여진다. 이러한 점은 경제적 상황이 불안정해진 현실 속에서 변화하고 있는 젠더와 계층이 교차하는 작동방식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In Korean society, male breadwinners have been reclined since neoliberal economic system. This paper starts with question of attitude or estima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ur involved marriage among 20’s college students. In contrast of collapsing male breadwinner system, works of caring family are still considered women’s work. Witnessing these social change, college students reveals gendered attitude toward gender division of labour. Male students show a critical tendency for a notion of male breadwinner while they less thought about responsibility of domestic work. In addition to that, they reveals a strong desire for exemption from a burden of head of family. Women shows a different tendency from men’s. Unfair in neo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ur leads women to fortify desire for male breadwinner. It causes women to criticize double income model that double burden for work and caring family and inferiority of women’s labour market. Women wants solve the problem of double burden of work and family by individual efforts. Here it is worth to note that it is husband’s economic power that they expect as their individual source the most. Women expect male breadwinner while men are skeptical for male breadwinner expecting double income model without their contribution for domestic work.

      • KCI등재

        신자유주의 질서의 확산에 따른 십대 여성의 성적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민가영(Min Kayoung)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2

        본 연구는 한국 사회 확산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질서 속에서 빈곤층 십대 여성의 성적 주체성이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겪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사회는 외환위기를 전후로 위기 관리 차원에서 신자유주의 질서를 도입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조건은 새로운 젠더 작동방식의 등장, 그리고 여성 주체의 등장과 연관을 가진다. 이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십대 여성들이 성적 상품화를 둘러싼 성적 이중규범, 여성으로서의 자신을 승인하기 위한 ‘권위’와 연결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측면을 기존 사회의 지배적 규범이 작동되는 두 가지의 중요한 메커니즘인 ‘유예’와 ‘훈육’이 이들에게 전유되는 방식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신자유주의적 질서가 확산됨에 따라 빈곤층 십대 여성은 점차로 성적이중규범의 탈규범화, 여성성의 승인 권위로 간주되었던 남성성에 대한 탈권위화와 같은 변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신자유주의적 소비자 시민권,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성역할 규범의 균열, 젠더와 섹슈얼리티 간의 새로운 조합 등과 같은 변화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여성주의에게 던지는 새로운 화두는 개인의 권리와 가치, 존엄성에 기반 한 관계적 개인으로서의 여성을 강조하는 여성주의와, 사회 구조적 요인으로 인한 배제를 개인의 문제로 환원, 축소시키면서 사회적 불평등의 개인화를 야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의 관계에 대한 고찰로 볼 수 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조건 속에서 여성주의의 ‘관계적 개인으로서의 권리’의 가치는 시장이 원하는 ‘개인’에게 전유당할 수 있는 가능성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s in teenage girls who are from poverty family based on neoliberal milieu. Korean society has become to take the neoliberl social system to deal with the current financial crisis since 1990s. This new milieu has caused the new way of operating gender and had much to do with emerging women's subjectivity. To analyze it, this study uses two analytical concepts such as ‘discipline' and ‘postponement', in which the norm of sexual dualism and the phallocentric authority regarded as measurement for value of woman. As the influence of neoliberal milieu has become to be extended, teenage girls have shown the process in which the norm of sexual dualism and the phallocentric authority come to be obscured. These changes are considered as based on the context such as neoliberal consumer citizenship, liberal individualism, a crack of gender role and sexuality. They require u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feminism and neoliberalism. It is in part because the relation causes an inappropriate appopriation of the value of liberal feminism by neoliberal individualism by which causes a suggest to gender studies founding of this study.

      • KCI등재

        성매매 경험 여성의 연애 양상과 남성 승인의 권한

        민가영(Min, Ka-Young)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1

        성매매 여성은 결혼, 가족, 연애 외부에 위치한 존재로 간주되곤 한다. 실제 성매매 여성들의 삶은 연애, 가족, 결혼과 연관되어 있으나 성매매 여성들의 가족 경험과 연애 경험을 주목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성매매를 하고 있는 여성에 의해 ‘성매매와 분리된 관계로 규정된 친밀한 연애’의 경험과 맥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애’로 규정되었던 관계의 가장 큰 공통점은 상대로부터 대가성 지원을 받지 않고 오히려 여성들의 성매매를 통한 수입으로 관계가 유지되며 남성들은 여성들을 감정적으로 지원한다는 점에 있다. 이 관계에서는 여성들이 대부분의 경제적 지원을 하는 불평등한 관계의 양상을 띠면서도 이 관계에 의존적이다. 이렇게 비대칭적인 연애 관계에 여성들이 의존하게 되는 구체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이들이 연애 관계를 통해 남성으로부터 받은 가장 큰 보상은 합법적 영역에서 배제된 성매매 여성이 남성과의 연애 관계를 통해 남성중심적 가치체계가 용인해 주는 여성의 범주로 진입했다고 느껴지는 순간들이다. 이때 사회적 인정의 주체는 여성을 성적으로 이분화하는 남성적 가치체계가 된다. 남성중심적 가치체계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승인의 권한이 여성들이 ‘착취적 연애’에 의존하게 되는 맥락이 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여성과 남성 사이에 경제적 평등과 독립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여성의 가치가 남성과의 관계를 통해 규정되는 권력관계의 변화가 없다면 여성이 자신의 의미를 확인하려고 하면 할수록 남성에게 의존하게 되는 관계의 불평등한 문제는 지속될 것임을 시사해 준다. Prostitute women are considered as an improper object of marriage, love and family.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dealing with prostitute women’s family and live despite their lives are involved with them.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experience and context of romantic relation defined as intimate relation separated from prostitution by teenaged prostitute women. In this romantic relation, most of women depend on a response from men despite they economically support this relation. What causes such an inequal relation like this? It is men’s authority over women made from intersection between romantic love and sexual norm of dichotomy that makes their romantic love as an ‘exploitative caring’. The most biggest reward from romantic relation is experiencing the kind of legitimacy in the midst of illegitimate circumstances over them. They are not belonged to any relation or community which offers them a sense of recognition of their value. Romantic love offers them ‘normal everyday life’ and a confirmation of protectable being from others.

      • KCI등재

        신자유주의 개인화의 역설

        민가영(Min Gayo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4 문화와 사회 Vol.16 No.-

        본 연구는 후기근대 신자유주의적 조건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개인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구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후기 근대적 신자유주의와 개인화를 성찰한 논자들은 공통적으로 ‘개인화’의 증대를 꼽고 있다. 그러나 이 때 질문해야 할 점은 개인화의 증대가 곧 개인화로 귀결되는 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한국의 외환위기 시절 가족경제의 변화를 경험한 근로빈곤층 청소년이 개인화의 흐름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 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인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개인화의 논리를 접하게 되는지, 그리고 타고난 가족자원이 부족한 이들은 자기개발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형성하게 되는지를 살펴보고 이들이 개인화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연구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아버지가 멀쩡한 대학을 나와서 나름대로 안정적인 회사와 자영업에서 어이없이 실직을 하게 되는 과정과 그 속에서 불안정해져간 가족을 목격하면서 이러한 사실을 단순히 개인적인 불운으로만 이해하지는 않았다. 이들이 경험한 것은 타고난 자원이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후천적 자원으로만 얻어진 것들이 얼마나 허망하게 한 순간에 사라질 수 있는 가에 관한 ‘현실’이었다. 이러한 ‘현실’은 열심히 공부를 하고 대학을 나와 취직을 하고 가정을 꾸리는 일련의 순차적인 삶의 방식이 ‘노력’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지탱되기 어렵다는 것을 경험하게 해 주었다. 이들은 가장의 지위변화와 가족의 불안정성에 대한 목격을 통해 기존 사회가 주장해 왔던 ‘성실하게 노력해서 얻을 수 있는 순차적인 안정적 삶’이 더 이상 자신들에게 가능하지 않는 논리임을 체득하였다. 둘째로 이들은 학력과 직업과 소득이 일치했던 시대는 지나갔음을 간파하면서 이제 더 이상 학력은 안정적 직업과 소득을 보장해 주는 조건이 되지 못함을 깨닫기 시작했다. 학력이 달라도 소득수준과 소비수준이 비슷하다면 그들은 더 이상 다른 범주의 사람들로 간주되지 않는다. 이들이 학력의 차이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영향력을 폐기처분하고 있다는 점은 자신들과 구별지을 수 있는 사람들이 그만큼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로 개인에게 과도한 자기의존성을 강조하는 사회에서 소수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삶의 불안정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자기 의존적으로 자신에게만 집중해서 성취를 이루어 가는 사회에서는 결국 광범위한 사람들이 삶이 하향평준화하면서 새로운 불안정성 속에 공통적으로 놓이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a way of experiencing neoliberal individualization of people under neoliberal age. There has been commonly found an increase in individualization in researches concerning neoliberalism. However, this research rises a question whether an increase in individualization ultimately would conclude in individualization. This research would examine this question through everyday life of working class adolescents. To do it, this research examined following three questions. 1) how to encounter individualism as neoliberal pedagogy in their everyday life 2) a way of constructing meaning of self-development under the condition of family poverty 3) their attitude toward neoliberal individualism. Findings are following. Firstly, interviewees witnessed their father’s dismissal despite their high education and accordingly their family had been deconstructed. What is importantly noted here is they did not consider this change as a personal misfortune. A lesson taught here is that resources achieved from personal efforts are too weak to last without social network for safety. This lesson led them to unbelief of neoliberal promise “do your best, then you can get success”. They learned that it is not easy for a stable life through efforts based sincerity to be applied to them through witnessing a change in their father’s status. Secondly they learned academic career could no longer become a licence for getting a good job and income. The fact that they dismiss value according to difference of academic career shows that they identify a lot of people as a similar economical/social category with them. Thirdly they understood that people except few are not free from unstability under society which demands strong self-dependancy. Their understanding shows that they began to have a common sense concerning other people under unstable condition.

      • KCI등재

        청소년 성매매 행위의 ‘자발성’과 그 맥락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한 성매매 청소년의 자발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민가영(Min Ka-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1

        이 논문은 청소년 성매매 관련 내용 중 가장 큰 쟁점이 되고 있는 ‘자발성’의 문제를 이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 이에 기반하여 현재 청소년 성매매를 둘러싼 ‘보호/처벌’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을 모색하는 목적을 지닌다. 청소년 성매매의 자발성을 둘러싼 기존의 논의는 이러한 행위를 자발적 동의로 보는 시각과 가족/경제적 이유로 인한 사회구조적 피해로 보는 시각으로 양분된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 성매매 전반에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크게 적극적 행위성과 탈규범적 행위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행위성의 맥락은 학력의 계급 이동의 기능 상실에 대한 간파, 미래에 대한 전망 상실, 지배적인 가치로 자신을 유예하고 훈육할 동기의 상실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성매매에서의 자발성은 성매매를 선택하는 자발성이자 성매매를 그만두려는 자발성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행위성은 이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유동적, 역동적인 ‘과정’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즉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매매 청소년들은 성매매를 그만두겠다는 동기를 상실하고 회복하는 역동적이고 유연한 과정 속에 노출되어 있으며 몇몇 사례들로부터 이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통합적이며 청년기까지 연속선을 갖는 지원이 이루어질 때 새로운 삶에 대한 동기를 회복하고 다른 삶의 방식을 선택하는 성공적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자발성, 피해자의 양분화된 시각을 넘어서 이들이 성매매에 대해 취하는 적극적이고 탈규범적인 성격을 띠게 만드는 조건과, 상황에 따른 유동적 과정으로서의 성매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성매매 청소년에 대한 현실적 개입을 가능하게 해 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aims to qualitatively examine the issue of ‘voluntary prostitution’ among adolescents to and evaluate the debate on ‘protection/punishment’ for adolescents who engage in prostitution. This research pursues an alternative from of service for them. Existing debates regarding the issue are divided into two positions. One form is of a voluntary nature and the other position is that such adolescents are social and economic victims. There are also two positions regarding the best way to solve the problem of prostitution amongst adolescents. One position, suggests that punishment is one way to discourage prostitution. The other position, that of protection, suggests that the point is not that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punitive measures against prostitution, rather, the problem is there is a lack of sufficient means of protection for vulnerable adolescents. According to our results, adolescent prostitution reveals voluntary agency. Voluntary agency is based on seeing through poor educational roles as a means of upward mobility.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vulnerable adolescents have experienced a fluid proces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lost and seek out and find the motivation for striving for a better life and quitting prostitu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we need to make plans and set up service infrastructures that are consistent and form part of a close and complimentary network among related institutions. In addition, we need to develop a sense of perspective in which we can understand adolescent prostitution in terms of it being dynamic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