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 지역 거버넌스의 현대사적형성과 특징: UIA 데이터(1982~2015)를 활용한 지역 간 비교 연구

        미우라,김의영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8 국제지역연구 Vol.27 No.4

        이 연구는 현대사 및 지역기구에 주목하는 관점에서 동북아 지역 거버넌스의 특징을 규명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담론을 실마리로 분석적 모델을 제시하며 세계 8개 지역을비교하는 방법을 시도한다. 특히 전세계 지역기구의 역사적 동태에 관한 유일한 데이터로서 UIA의자료를 활용해 1980년대 이후 각 지역의 역사적 변형 과정과 구조적 특징을 계량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로서 동북아 지역 거버넌스의 현대사적 특징을 다음과 같이 도출했다. 1) 중심 행위자인지역 IGO 및 지역 NGO의 성장 시기는 3단계로 구분된다. 특히 1982년에서 1995년 사이에 급성장했으며, 이후 IGO와 NGO의 성장 추세에 차이가 나타나면서 2006년을 전후하여 성장률은 둔화되었다. 2) 지역 거버넌스의 구조적 특징에 관해서 동북아는 국가 간 연방제 모델(TypeⅠ)에서 다원적 질서 모델(TypeⅡ)로 이행했으며(1982-1996), 2006년 이후 다시 TypeⅠ으로 회귀하기 시작하면서 전체적으로 변화가 멈추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지역 거버넌스가 최근(주로 2000년대이후) 등장한 것으로 인식하는 기존 담론의 문제를 제기한다. 나아가서 거버넌스 담론에서 일반적으로 주목되는 다층성, 복합성, 초국성, 유동성과 같은 시대적 흐름과 함께, 국가성과 지역 고유성도 중요한 이슈임을 다시 환기 시킨다. This study discuss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al governance from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By introducing an analytical model of regional governance,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he quantitative as well as quantitativ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governance and regional organizations in the eight regions of the world. In particular, this study uses the data collected by the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 since 1982. Follow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s results of the analysis: 1) the historical growth of regional IGOs and NGO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at is, their number grew up rapidly between 1982 and 1995 and their growth rate slowed down around 2006. Since then, the growth rate of IGOs and NGOs repeated ups and downs. 2) the main form of Northeast Asian regional governance has transformed from the inter-state federal model (Type I) to the pluralistic order model (Type II) between 1982 to 1996. It h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Type I again since 2006. These results raise the questions to the existing discourse that roughly understands that the regional governance has emerged around 2000 in this region. Furthermore, they imply that the state-centrality is also an important issue in the recent regional governance, along with the widely recognized trends such as plurality, complexity, transnationality, and flexibility.

      • KCI등재

        The Peaceful Use of the Korean DMZ Area: Transnational Interactions and South Korea’s Policy Development (1990-2009)

        미우라,박선영 한국학술연구원 2011 Korea Observer Vol.42 No.3

        This stud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national interactions among multiple actors for the peaceful use of the Korean DMZ area from 1990-2009, and discusses how these characteristics have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official South Korean polici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s among the government and other actors, the political relationships of which have gradually transformed and brought about the overall policy development. Based on research on the principal actors,major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the development of official policies and projects at bo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al levels, this study provides a chronological timetable regarding these activities for a meaningful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issue. This study also indicates how the international policy networks were formulated and how the policies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projects for a peace park have emerged as central agendas of this issue.

      • KCI등재

        사회․경제조직의 제도 유형과 실태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결사체 거버넌스에 대한 함의

        미우라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6 현대정치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다원화된 사회․경제조직의 유형과 실태를 일본과 비교함으로써 조직 지형의 측면에서 한국 결사체 거버넌스의 특징을 규명한다. 최근 시민섹터나 기업섹터를 불문하고 민간조직의 공공적 역할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전체적 지형 또는 사회구조에 대한 포괄적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1) 일본과 달리 대부분의 사회․경제조직이 성장 추세에 있으며 조직 다원성이 심화되고 있다. 2) 과거 10년, 시민섹터 보다 기업섹터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3) 개방형 정책조직이 크게 성장하고 있는 한편, 기타 정책조직은 부진한 상태이다. 4) 사회적경제 조직 중에서 특히 지역금융기관이 발달하고 있다. 5) 공익조직이나 지역조직의 성장 가능성은 일본 보다 낮은 수준이다. 효과적인 결사체 거번너스를 위해서는 이와 같은 현실적 특징이나 한국적 장단점을 활용․극복 해가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comprehensive organizational terrain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a making of effective associative governance. Especially,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institutions and practices of the socio-economic organizations in South Korean and Japan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Recently, regardless of the sectors or fields, significance of the private organizations has been increasing. Their public roles and functions are expanding by joining into the governmental welfare policies and positively responding to the pressing social needs. These private organizations include private companies, non-profit organizations, cooperatives, social enterprises and so on. However, comprehensive study on their overall dynamism or organizational terrain has been still insufficient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unlike Japan in which the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are undergoing, most of the socio-economic organizations are growing in South Korea, expanding its organizational pluralism; 2) the growth of business sector stands out from that of civil sector in past 10 years; 3) while grass-root policy organizations are growing, other professional policy organizations such as social enterprises are relatively inactive; 4) the community financial organizations are the largest among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5) the potential of the growth of public interest organizations is lower than those in Japan. In order to build an effective associational governance in South Korea,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se realistic features of the organizational terrain.

      • KCI등재

        조합조직의 운영 모델에 관한 한중일 비교 연구: 특성화․기업화 지향과 지역 지향 사이에서

        미우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6 아태연구 Vol.23 No.2

        This paper explores the types and operational models of cooperatives in Northeast Asia. Particularly, this paper tak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understand their diverse legal forms. Both the english-oriented concepts such as ‘cooperative’, ‘association’, ‘partnership’, and ‘union’, and the indigenous ones such as hezuoshe in China, Kumiai in Japan, and Johab in South Korea are considered. In fact, an in-depth research of these indigenous terms and institutions will offer important and alternative perspective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in three countries. This paper first elaborates a basic concept of social economy and cooperative and the abovementioned indigenous terms and institutions. As a result,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re are over 80 types of cooperative in the three countries. Secondly,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 and development of these organizations are examined in-depth. Their operational models are eventual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omination by central organization, complex network, popular-based small enterprises, and local community formation. Finally, this paper summaries some implications of these models on the further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in the three countries. 본 논문은 한중일 각국에서 사회적경제가 급성장하고 있는 현상을 배경으로, 협동조합, 신용조합, 공제회, 노동조합, 합명회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조합조직의 운영 동태를 비교 분석한다. 한중일에서 조합은 법적 용어로서 넓은 분야에서 역사적으로 사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경제 담론의 기존 연구에서는 이 중 협동조합만을 주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협동조합의 주류적 위상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동북아 각국 법제도의 현실에 유의할 경우 다양한 조합조직의 존재나 역할은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선 사회적경제와 ‘cooperative’의 개념 그리고 한중일 각국에서 조합의 개념적 및 제도적 특수성에 유의해 3국의 법제도를 조사했으며, 그 결과 약 80개 종류에 이루는 조합조직이 존재함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사회적경제조직의 일반적인 조직 운영 동향을 참고로 이들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한중일의 조합조직을 다음 4가지 모델로 유형화했다. ① 중앙기구 주도형 모델, ② 네트워크 기반의 복합 모델, ③ 대중기반의 기업 모델, ④ 지역사회 기반 모델이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조합조직의 현실적 특징이나 실태가 사회적경제의 발전에 주는 함의나 야기하는 문제점에 대해서 요약했다.

      • KCI등재

        시민섹터 관련 법인제도의 재편성에 관한 한중일 비교연구

        미우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4 아태연구 Vol.21 No.2

        China, Korea, and Japan have actively implemented institutional reform of non-profit sector since the late 1990th. At the same time, they have introduced or re-arranged a various form of cross-sectoral organizations such as social enterprises, cooperatives, local community organizations. This paper discusses how the traditional non-profit sector has been transformed as a result of the aforementioned multi-dimensional institutional reforms in the three countries. Through the comparative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levant institutions, this paper points out several important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overall non-profit corporation system,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establishing corporations, the institutional design for the non-profit and for-profit boundary and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boundary. While the three countries have commonly expanded the realm of non-profit sector by introducing various hybrid organizations since the 1990th, they have developed different institutional devices in regard to the respective cross-sectoral boundaries.

      • KCI등재

        일본 로컬 거버넌스의 역사적 구조 변화: 특징과 시사점

        미우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8 아태연구 Vol.25 No.3

        This study discusse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Japanese local governance from historical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s which have been neglected in the proceeding literature. Considering the Japanese domestic context, this study provides an operational conceptualization of local governance as follows; an effort to create a local public sphere by implementing ideas, projects, and legal institutions regarding the four fields including decentralization, local autonomy, community- building, and co-production. This study reviewed how these fields have developed in the past 70 years and highlighted several features. First, Japanese local governance has evolved through the cyclical interaction of the four fields. Seconds, the interaction patterns among autonomy, community-building, and co-production are becoming more and more fused. Creative institutions are emerging in the different local communities as a result. Third, most of critical ideas about community, citizen, human being, and autonomy were already presented in the 1960’s by some pioneering scholars and practitioners. The cyclical structural evolution has been engendered as a historical effort to put these critical ideas into practice. Thes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Japanese local governance by effectively linking the proceeding literature on each four fields. 연구는 일본 로컬 거버넌스의 구조를 주제로 기존 연구가 경시해 왔던 종합적 및 역사적 관점에서 심층적 특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적 맥락에 유의하면서 로컬 거버넌스 개념을 ‘분권, 참여·자치, 마을만들기, 협동의 각 영역에서 아이디어 제시와 법제도의 도입, 정책·사업의 실천 등을 통해 공공적 지역을 창조하려고 하는 노력’으로 설정한다. 이 틀에 따라 과거 70년의 역사를 대상으로 주요 동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과 시사점을 지적했다. 첫째, 일본 로컬 거버넌스는 외부(분권)와 내부 구조의 순환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해 왔다. 둘째, 내부 구조 중 참여·자치, 마을만들기, 협동 영역의 상호작용 패턴은 기초 지자체의 창의적 도전을 통해 갈수록 융합되고 있다. 셋째, 1960년대에 선구적인 학자나 실무자가 지역, 시민, 인간, 자치 등에 관한 중요한 아이디어를 제시했으며, 이를 구체화하는 방향으로 이후의 구조 변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각 영역에 대한 기존 연구를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일본 로컬 거버넌스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된다.

      • 항균처리를 한 공조기기의 항균성능 평가방법과 평가결과

        미우라쿠니오,다까츠까다케시,야나기우,야마자키쇼지,Miura, Kunio,Takatsuka, Takesi,Yanagi, U,Yamazaki, Shoji 한국공기청정협회 2009 空氣淸淨技術 Vol.22 No.2

        Aluminum thin plate coated with epoxy resin containing about 20wt% brass powder, was applied to fins of heat exchanger. We carried out a series of detailed examinations to evaluate the anti-bacterial performance of the plate and heat exchanger (fan coil unit). In the presence of water or moisture, copper ions which have an anti-bacterial ability eluted from brass powder and showed sufficient effects on many kinds of bacteria. We also evaluated the anti-bacterial performance quantitatively by use of the index API (Anti-bacterial Performance Index) which has already been proposed by authors.

      • KCI등재후보

        レント·シ―キングとパトロン·クライアント關係 -フィリピンのレント·シ―キング型經濟-

        미우라루미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8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4 No.-

        렌트·시킹과 패트런·클라이언트관계의 사이에는, 서로 겹치는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제학에 의한 렌트·시킹의 분석에서는, 패트런·클라이언트관계의 측면이 논의되는 일은 거의 없었다. 본고에서는, 렌트·시킹이 만연하고 있는 사회로서, 필리핀의 마르코스정권 하의 비즈니스·그룹을 예로, 렌트·시킹을 패트런·클라이언트관계의 측면에서 검토한다. 또한, 패트런·클라이언트관계에 의한 렌트의 획득이, 마르코스정권 하의 산업구조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개관하고, 렌트, 렌트·시킹, 패트런·클라이언트관계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도출된 결과로서, 패트런·클라이언트관계의 정도가 렌트의 획득을 좌우하지만, 비시장적 그리고 단기간에 획득된 대규모의 렌트는, 비즈니스·그룹의 장기적인 성장으로는 이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클라이언텔리즘(clientalism)은 지나치게 국내산업의 보호를 조장하여, 수출대체공업화의 방해가 된다. 패트런·클라이언트관계 위에 구축된 렌트·시킹형의 경제사회에서는, 정부가 의도한 경제정책으로서 렌트가 기능하지 못하고, 국가의 자원이 낭비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