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다중해상도모델링 운영소요 및 전투21모델과TMPS의 다중해상도 연동간 주요 이슈 해결 방안 연구

        문호석,김수환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8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1 No.6

        This study focuses on the operating requirements of multi-resolution modeling(MRM) in training war-game model and proposes solutions for major issues of multi-resolution interoperation between Combat21 model and tank multi-purpose simulator(TMPS). We study the operating requirements of MRM through interviews with defense M&S experts and literature surveys and report the various issues that could occur with low-resolution model Combat21 and high-resolution model TMPS linked, for example, when to switch objects, what information to exchange, what format to switch to, and how to match data resolutions. This study also addresses the purpose and concept of training using multi-resolution interoperation, role of each model included in multi-resolution interoperation, and issue of matching damage assessments when interoperated between models with different resolution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ommon goals and directions of MRM research to MRM researchers, defense modeling & simulation organizations and practitioners.

      • KCI등재

        워게임 모델의 포병 피해평가 모의논리 개선을 위한 공산오차 모델링 연구

        문호석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0 한국군사학논집 Vol.76 No.1

        포병 사격은 최대 사거리보다 적절한 사거리에서 사격 할 때 높은 명중률을 가진다. 이는 사거리가 멀어질수록 사거리와 편의공산오차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많은 워게임 모델에서는 현실적으로 공산오차가 고려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포병 화포의 사거리 및 편의공산오차를 현실적으로 타당하게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사거리 및 편의공산오차 모델링은 ChangJo21모델의 모의논리와 공산오차 사표에 기초로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실험결과 포병 화포의 피해결과가 사거리가 변화됨에 따른 공산오차의 변화를 통해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ChangJo21모델과 유사한 포병 모의논리를 사용하는 다른 워게임 모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Artillery fire has a higher hit rate when firing at the appropriate range than the maximum range. This is because the longer the range, the larger range and deviation probable errors. However, in many war-game simulation models, the probable error was not considered in re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model the artillery cannon 's range and deviation errors. The range and deviation probable errors's modeling was construc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hangJo21 model simulation logic and artillery principle of probable erro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artillery fire is reflected by probable errors. This results will apply to other war-game models which use the similar artillery simulation logic of ChangJo21 model.

      • KCI등재

        육군 간부의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및 원인 연구

        문호석,강성록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6 한국군사학논집 Vol.7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and causes of the stress that military officers of R.O.K Army have experienced, considering theirs ranks and types of unit. We used a survey tool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R.O.K Army. A representative sample size of about 1,600 officers from all seven unit types was selected and surveyed, considering types of unit, rank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evaluation of stress showed that the stress of military officers was higher than that of non-commissioned officers. Also, the higher rank had more level of stress than the lower ran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impact of stress among the unit types. Generally, we found that the main causes of stress were sudden business and excessive control. But there were various causes of stress according to the types of unit and ranks of military officers. Furthermore, this study offers several recommendations to reduce the stress of military officers. 본 연구의 목적은 게급별, 부대유형별로 육군 간부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수준과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육군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대유형, 계급,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하여 대표성을 가지는 7개 부대 약 1,600여 명의 간부를 선택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결과, 장교들의 스트레스는 부사관에 비해 높았다. 또한 계급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도 높았다. 부대유형별 스트레스의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의 주요한 원인은 불시 업무와 상급부대 통제로 밝혀졌다. 그러나 부대유형과 계급에 따라 스트레스의 원인은 다양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군 간부들의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원시굴절부등을 동반한 굴절조절내사시의 임상양상

        문호석,백혜정.Ho Seok Moon. MD. Hae Jung Paik. MD. Ph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4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with hyperopic anisometropia. Methods: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71 patients with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and hyperopic anisometropia. Patients were divided into isometropia and anisometropia groups, as well as disappeared anisometropia and maintained anisometropia groups. Clinical features such as amblyopia, stereopsis, decompensation, and cessation of spectacle use were reviewed. Results: Anisometropia was found in 14 patients (19.7%). Amblyopia was detected in 35% of the patients in the isometropia group and 67% of the patients in the anisometropia group on the first visit (p = 0.048), but improved to 14% in the isometropia group and 21% in the anisometropia group on the final visit. Good stereopsis was reported in 28% of the patients in the isometropia group and 21% of the patients in the anisometropia group on the first visit, and improved to 67% in the isometropia group and 79% in the anisometropia group on the final visi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prevalence of decompensation and cessation of spectacle use between the 2 groups. Cases with disappeared anisometropia on the final visit were observed in 42.9% of the patients. Disappearance of anisometropia was not related with amblyopia, stereopsis, decompensation, and cessation of spectacle use. Conclusions: Although refractive accommodative esotropia accompanied by anisometropia has a greater chance to show amblyopia on the initial visit, good prognosis can be expected when the patients are carefully managed with hyperopic correction and occlusion therapy.

      • 인근하천 연결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문호석,서원석,김별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통계학과 2008 통계상담 Vol.사례 21 No.1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와 같은 재료로 포장된 도로면에는 주행하는 자동차, 트럭 등 각종 운반도구로부터 발생한 오염물이 축적된다. 건조 시 도로면에 축적된 오염물은 강우 시에 배수구를 통해 인근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 악화를 발생시킨다. 도로의 배수구 가운데는 인근하천과 연결된 배수구와 그렇지 않은 배수구가 있는데, 인근하천과 연결된 배수구에는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정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로의 배수구와 인근하천과의 연결여부를 도로의 상태, 인근하천과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판별하고,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관측되지 않은 도로의 배수구와 인근하천과의 연결여부를 예측하는데 있다. 연구에 사용될 데이터는 강원도 일대의 51개 도로에서 얻어졌다. 반응변수로는 범주형 이진 형태의 변수이고, 설명변수로는 3개의 연속형 변수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명변수가 다변량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모형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설명변수가운데 물길거리라는 요인이 인근하천 연결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군용 중장비 안전 수송을 위한 지능형 차량 안전 시스템 개발

        문호석,노창석,이재진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09 한국군사학논집 Vol.65 No.2

        The wide trailer is commonly used in military to transport equipments heavy and large, such as tanks, armoured vehicles, and mobile gunneries. But it has vulnerability of causing traffic accidents by bumping or colliding with another car in adjacent lane due to its width which is over its own lane. Moreover, a careless driver also increase possibility of car accidents on the road. In this paper, the recognition system of lane and vehicle headway direction is developed to detect the possible collision and warn the driver to prevent a fatal accident. First of all, Sobel and Kalman filters were used to extract the border of driving lane from the video images supplied by the CCD camera attached with the vehicle and it's completed to detect driving lane with regression analysis. After, the vehicle headway direction is recognized by using neural network scheme with the extracted parameters of the detected driving lane feature and neighborhood vehicles. The practical experiments for the developed system are also carried out in the real traffic road of Seoul city area and the results show us the more than 90% accuracy in recognizing the driving direction and neighborhood vehicles.

      • KCI등재

        영상 밝기와 대비가 워터마크 세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호석,박석봉,배현웅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3

        Watermarking technique has been widespreadly used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media. One of main issues in watermarking is to solve the problem of trade-off between fidelity(watermarked image that watermark was embedded into should be similar to original image) and robustness(it should resist to image distortions caused by attacks). In general, the problem has been solved through resolving strength of watermark reasonably. This paper proposes a new model to predict strength of watermark for digital wavelet transform(DWT)-based image watermarking. Psychological experiments on human image perception were fulfilled. We used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strength of watermark. The analysis of the proposed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 .01 level of significance. The effects of image brightness and contrast to strength of watermark was almost same according to the proposed model. Also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edge information of image has proportion to strength of watermark.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워터마킹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워터마킹 기술에서 주요한 관심 가운데 하나는 워터마크가 삽입된 영상이 원본영상과 유사해야 하는 충실도와 워터마크를 제거하려는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강인해야 하는 강인성을 적절히 유지하는데 있다. 충실도와 강인성을 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워터마크 세기를 적절하게 결정해야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워터마크 세기 결정 시에 개별 영상별로 갖고 있는 영상 특성이 반영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밝기와 대비에 따라서 인간이 지각하는 잡음(화질차이) 세기는 다르다는 연구 결과를 기초로 인간이 영상에 삽입되는 잡음을 어느 정도로 지각하는 지에 대한 심리학적인 실험과 회귀분석을 통해 영상에 적응적인 워터마크 세기 결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모델 적용 결과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결정계수는 .51로 약 50% 설명력이 있었다. 또한 영상 밝기와 대비가 워터마크 세기에 비슷한 수준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서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고, 영상의 윤곽선 정도가 워터마크 세기와 정의 상관이 있음을 실험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기계학습을 이용한 워게임 모델의 근접전투 전장상황 평가를 위한 전문가시스템 연구

        문호석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8 한국군사학논집 Vol.74 No.3

        본 연구에서는 군사 워게임 모델의 근접전투 전장상황을 평가하는 새로운 근접전투 전문가시스템을 제안한다. 근접전투 전장상황 평가 관련 기존연구인 한국형 근접전투 전문가시스템은 좋은 모형이지만, 다양한 모형들을 통한 검증 과정이 생략되었기에 최적의 모형이라고 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계학습 모형에 대해서 교차타당도 검증을 통해서 새로운 근접전투 전문가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연구 결과보다 은폐엄폐는 3.15% 높은 99.07%, 전술적기동성은 1.45% 높은 90.42%, 사격가담율은 2.63% 높은 96.87%의 정확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근접전투 전장상황 평가를 위해서 입력변수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다양한 워게임 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상도가 상이한 워게임 모델들의 다중해상도모델의 피해평가 일치 부분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close combat expert system that evaluates the combat battlefield situation of war-game models. The Korean close combat expert system, which is an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close combat battlefield situation, is a good model, but it is not an optimal model because the verification process through various models was omitt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close combat expert system by verifying cross validity of various machine learning models. The proposed system shows that the accuracy of concealment cover is 3.15% higher than the previous study, the accuracy of tactical mobility is 1.45% higher, and the accuracy of fire participation rate is 2.63% higher. The accuracy of each is 99.07%, 90.42%, and 96.87%. In addition, for the evaluation of close combat battlefield situation, the input variables are organized so that they can be used commonly, and the conditions applicable to various war-game models are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close combat part of multi–resolution modeling of war-game models with different resolutions.

      • KCI등재후보

        워게임모델간 근접전투 피해평가 모의논리 일치에 관한 연구 : 제병협동통합연동체계를 중심으로

        문호석,김형세,황명상,배현웅,이동근,Moon, Ho-Seok,Kim, Hyung-Se,Hwang, Myung-Sang,Bae, Hyun-Wung,Lee, Dong-Keun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2011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ol.37 No.1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개발되어 전력화 예정인 제병협동통합연동체계에서 모델간 연동으로 인해서 발생가능한 문제점 중의 하나인 전투 피해평가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근접전투 피해평가 전문가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병협동통합연동체계에서 서로 다른 모델에 속한 부대간 교전이 발생할 때에 피해평가 결과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는데, 이러한 피해평가의 차이는 제병협동통합연동체계의 신뢰성 문제와 직관되는 중요한 부분으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뢰할 만한 근접전투 피해평가를 위해 전문가시스템을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해서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전문가시스템은 실험 결과를 통해서 신뢰할 만한 결과를 보였고, 별도의 시스템으로 운용하지 않고 기존 모델에 모듈형식으로 탑재되기 때문에 시스템 측면에서 제병협동통합연동체계를 보다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예산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lose combat expert system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combat damage assessments between combat units belong to their own model in Combined Arms Integrated Interoperability System(CAIIS) which will be deployed in the early future. When it happens to engage in a battle among combat units belong to their own model in CAIIS, the result of damage assessment is different severely. This is related to CAIIS's confidence and need to be overcome. We propose the expert system for close combat damage assessment with a decision tre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expert system is valid well. Because the proposed expert system is made not as an independent system but as an inner module type of CAIIS, CAIIS will be simpler system than we expect. And we will hope to reduce the cost of CAI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