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현황과 향후 방향

        이목화(Lee, MokHwa),문형구(Moon, Hyoung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2

        지난 20여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국내 조직몰입 연구는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면서, 조직몰입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지난 연구들을 종합해 보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노력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6년 첫 번째 조직몰입 연구가 등장한 이래, 지난 27년 동안 국내 경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조직몰입 연구들의 내용을 정리, 분석해 본 후, 이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 관련 학술지에 실린 총 259편의 조직몰입 관련 연구들을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째, 연구 현황 부분에서는 시대 별 연구 분포 및 연구 유형을 정리하였다. 둘 째, 개념 분석에서는 조직몰입의 정의와 차원(dimension)에 관련된 이슈들을 해외연구 결과와 비교, 정리해 보았다. 셋 째, 방법론 분석에서는 실증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 측정도구의 활용 빈도 및 활용 현황, 활용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 째, 내용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검증된 조직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선행 변수의 경우에는 그 양이 방대하여 이를 5가지 속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여기서 나타난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조직몰입을 Mowday, Steers, & Porter(1979)가 주장한 단일차원의 태도적 몰입으로 보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를 반영하듯 조직몰입 측정도구 중 OCQ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결과변수보다는 선행변수에 대한 검증이 더 활발했으며, 그 중에서도 그룹-리더관계와 작업경험에 해당하는 선행변수의 검증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이루어질 조직몰입 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 째, 개념측면에서는 조직몰입을 단일차원으로 다룰 경우, Mowday, Steers, & Porter(1979)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는 점과 Meyer & Allen(1987) 모델의 국내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 째,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는 측정도구의 엄격한 적용 및 이와 관련된 충실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 째, 연구 내용 측면에서는 조직 몰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 객관적 성과지표의 활용, 유지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의 결과 변수에 대한 연구, 그리고 조절변수를 검증함에 있어서 변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개념연구 및 리뷰연구의 필요성과 Meyer & Allen(1987)이 제시한 3가지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함께 제안하였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study of organization commitment has rapidly developed and been verified by diverse variables. However, the reviews of past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ort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a review of organization commitment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n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for the last 27 years, will becam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259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were publish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s are analyzed in four parts. In the first part, all studies were organized by period of distribution and research type. Second part, we compared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dimension of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third part the trend of methodology on collecting data and the usage of measurement tools are reviewed. Finally, the variables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are review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tecedents, the vast amount of variable enabled them to be divided and organized by five characteristics. If we review the internal research for organization commitment, Porter et al (1974) maintained that the influence of attitudinal commitment of a single dimension was strong; this thought was reflected by OCQ, which became the most popular measurement among organization commitment measurement tools. Furthermore, there was more active research on antecedents than on consequences and studies on the group-leader relation variables and work experience variables are more actively pursued. This study suggests the next direction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ual aspect suggests applying Mowday, Steers, & Porter(1979)'s single dimension model and verifying Meyer & Allen model's validity. Secondly in the methodology aspect, we recommend the strict application of measurement tools with providing of substantial information. Thirdly in the content aspect, we suggests the study on the negative effects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consequences of continuance/normative commitment especially with the actual performance data. Also, in the study of verifying control variables more diverse set of variables is necessary. Lastly, this study explains the necessity for interaction effect among three compon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