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외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현태(Mun, Hyun-Tae),윤동열(Yoon, Dong-Yeol) 한국인사관리학회 2017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인턴십 참여자를 대상으로 해외 인턴십의 특성과 글로벌 역량,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해외 인턴십 특성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하였다. 2014년과 2015년에 정부의 지원을 통해 해외 인턴십에 참여하고 있는 인턴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의 수집은 조사대상이 해외에 근무 중이라는 특성 때문에 이메일과 SNS를 통해서 실시되었으며, 총 637부가 배부되어 278부가 회수되었으나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52부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그리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은 고용가능성의 하위 변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고용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인인 이문화수용력과 외국어능력은 모두 고용가능성의 하위요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 중 경력개발지원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가능성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으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으면서도, 글로벌 역량 함양을 통해서 고용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글로벌 역량을 매개로 높아질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해외 인턴십이 청년들의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으므로 해외 인턴십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각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의 취업준비를 위해 글로벌 역량을 함양한다는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통해 고용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해외 인턴십은 일터학습의 일환으로 좀 더 구조화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인턴십의 현장지향성이 글로벌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인턴십의 현장학습이 구조화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이나 고용가능성은 취업 여부 등과 함께 인턴십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주요한 성과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the traits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global competencies, and employability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participant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internees who hav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the overseas internship program operated with government s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found firstl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ve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and therefore positively affect to employability. Secondly, cross-cultural adaptability and language skills―lower factor of global competency― has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Third, global competency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supportand employability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oritentedness of the overseas internship and employability.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employability can be increas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global competency while being positively affected b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overseas internship.

      • KCI등재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현태 ( Mun Hyun-tae ),윤동열 ( Yoon Dong-yeol ) 한국생산성학회 2019 生産性論集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the traits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global competencies, and employability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participant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internees who hav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the overseas internship program operated with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To enhance reliability of the results, “Internees” were restricted to those who participating in the internship or working at the same company after the internship as of the survey date. This study found firstl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ve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and therefore positively affect to employab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ield orientedness was more influential to internal flexibility while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s a greater impact in external mobility. Secondly, cross-cultural adaptability and language skills―lower factor of global competency― has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Third, among the sub-variables of global competency, language skills have positive effect only on external mobility among the sub-variables of employment possibility, and cross-cultural adapt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Forth, global competency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support and employability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oritentedness of the overseas internship and employability.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employability can be increas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global competency while being positively affected b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overseas internship. Several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se research results. Firstly, overseas internship need to be expended and more structured as a part of workplace learning, universities also need a global approach to improve students’ employabilit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induce multi-national corporations or companies of host country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since internees are less exposed to cross-cultural. Lastly, global competency and employability can be used as important outcome indicator.

      • 해외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현태(Mun, Hyun-Tae),윤동열(Yoon, Dong-Yeol)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해외 인턴십 참여자를 대상으로 해외 인턴십의 특성과 글로벌 역량,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이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해외 인턴십 특성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글로벌 역량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하였다. 2014년과 2015년에 정부의 지원을 통해 해외 인턴십에 참여하고 있는 인턴을 대상으로 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의 수집은 조사대상이 해외에 근무 중이라는 특성 때문에 이메일과 SNS를 통해서 실시되었으며, 총 637부가 배부되어 278부가 회수되었으나 이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52부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 되었다. 그리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해외 인턴십의 특성인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은 고용가능성의 하위 변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고용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로벌 역량의 하위요인인 이문화수용력과 외국어능력은 모두 고용가능성의 하위요인인 내적유연성과 외적이동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 중 경력개발지원과 고용가능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용가능성은 해외 인턴십의 현장지향성과 경력개발지원으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으면서도, 글로벌 역량 함양을 통해서 고용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글로벌 역량을 매개로 높아질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해외 인턴십이 청년들의 글로벌 역량과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 었으므로 해외 인턴십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 특히 각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의 취업준비를 위해 글로벌 역량을 함양한다는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통해 고용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둘째, 해외 인턴십은 일터학습의 일환으로 좀 더 구조화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인턴십의 현장지향성이 글로벌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인턴십의 현장학습이 구조화되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는 것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역량이나 고용가능성은 취업 여부 등과 함께 인턴십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주요한 성과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the traits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global competencies, and employability of overseas internship program participant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internees who have participated or are participating in the overseas internship program operated with government s financial support. This study found firstl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have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and therefore positively affect to employability. Secondly, cross-cultural adaptability and language skills―lower factor of global competency- has positive effect both on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mobility. Third, global competency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supportand employability but no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oritentedness of the overseas internship and employability. Therefore, it is verified that employability can be increas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global competency while being positively affected by field orientedness and career development support of overseas internship.

      • KCI등재

        글로벌인턴십 파견 전 학습이 현지적응에 미치는 영향: 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문현태 ( Hyun-tae Mun ),윤동열 ( Dong-yeol Yoon ) 한국생산성학회 2016 生産性論集 Vol.30 No.4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pre-departure learning, adaptation to the host country, and the level of leader-member exchange. A total of 637 participants who were working globally after supporting global internship program by Korean government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261 available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and only 111 of whom had joined four types of training programs including job-related training, host country language, English language, and cross-cultural training were used to final statistics analysis in order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ived learning satisfaction of pre-departure learn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adaptation for global internship participants to the host countries. In particular, English language training and host country language training both had positive effects on local adaptation, while job-related training and cross-cultural training had not related to adaptation to the host country. The results were not matched with precedent studies which wer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eparture cross-cultural learning and adaptation of expatriat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The reason is that expatriates are having clear assignments from corporations before leaving the host country, while participants who are joined global internship program were having a role of complementary assignment rather than key tasks. Furthermore, the perceived LMX between supervisor and internship participa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daptation to the host country. This study also fou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MX with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pre-departure learning and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xpanded a field of global human resourc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e-departure learning being aimed at the global internship participants, not to the expatriates. We also discussed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