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이미지 전략과 산업디자인의 역할제고를 위한 논의

        문찬(Moon Charn) 한국상품학회 2008 商品學硏究 Vol.26 No.1

        디자인의 발전에는 필연적으로 경제 성장과 소비사회의 변화가 영향을 주므로 시장경제와 디자인산업의 상관관계를 논의한다. 다가올 근 미래의 한국경제는 어려움에 처할 상황이라는 진단도 있다. 이 위기를 해결할 방법은 브랜드 창출, 그리고 디자인산업의 발달에 있다. 그러므로 디자이너가 좋은 브랜드 창출을 위하여 경제상황과 경영관리에 민감해야 하는 상황이 도래하였다. 한국기업의 브랜드 성공전략은 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미지 정책과 가격정책을 좀 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하고 순익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우수한 디자이너를 양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추구하는 브랜드 이미지의 추상적 연상과 디자인이 일치하여야 하며 제품에 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담아야 한다. 일관성은 일시적인 유행에 흔들리지 않고 지속성을 갖는 내용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포괄적인 내용을 다루었으므로 향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실험하게 된다. 이어지는 후속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마케팅 기법을 디자인에 적용하는 실험 연구를 제시할 계획이다. This study starts at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design industry. One of the solution of Korean economic crisis might be the development of design industry like brand making through training of excellent designers. This strategy needs long-term plan. Designers should bargain sensitively to economic exchange and business management. This study researches design management, especially branding strategy through designers; and system for brand. Brand image should be on the same line of design and products. They have to share consistent message which is not influenced by any fashion. This is a broad report and further study will be in concrete strategy like storytelling marketing skill.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 한 산업디자인교육과 업사이클링 브랜드의 방향

        문찬(Moon, Char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2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란 세계의 사회, 환경과 경제 발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개념은 산업디자인이 지향하는 목적과 유사하다. 연구는 4년제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2학년 2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지 5개 학기, 각각 한 개 총 다섯 개 강좌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교과연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산업디자인은 경제활동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생산의 합리적 양산성과 대중 소비를 의식한 마케팅을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에서 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 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사회, 환경,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브랜드 창출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지속가능발전 교육, 지속가능 디자인의 가능성 및 사례연구, 교과과정 설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산업디자인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 브랜드 창출을 목표로 하는 기초연구이다. 물질적 풍요만이 디자인과 경제, 경영을 형성하는 전부는 아니다.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현상은 선진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화되기에 다양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디자인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고려할 때, 생활의 가치라는 정의를 여러 각도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a goal what is finding solution of Social, Environment, Economic problem in the world. At the same time it is a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life. This point have similar goal of industrial design. This study is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four year course in university. The sustainable design course is start from fall semester of sophomore to senior class, five semester, 5 class. Industrial design is also a part of economic activities, thus marketing conscious of practice mass production and public consumption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methods of approaching design must also be attempted in various ways.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ustainable brand in the market. This study is focused,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sign business.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and create brand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erefore, this is a board report and further study will be in concrete strategy like School-based Enterprise progress, practical curriculum structure. The phenomenon of confusion in the value system deepens as a country becomes more developed, a various kind of critical mind must be had. When considering the values methodology of design, the definition of the value of life could be reinterpreted from many angles.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란 세계의 사회, 환경과 경제 발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살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하는 교육이다. 이러한 개념은 산업디자인이 지향하는 목적과 유사하다. 연구는 4년제 대학교의 산업디자인 교육을 대상으로 하여 2학년 2학기부터 4학년 2학기까지 5개 학기, 각각 한 개 총 다섯 개 강좌에서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하는 교과연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산업디자인은 경제활동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생산의 합리적 양산성과 대중 소비를 의식한 마케팅을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에서 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 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사회, 환경,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브랜드 창출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지속가능발전 교육, 지속가능 디자인의 가능성 및 사례연구, 교과과정 설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산업디자인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 브랜드 창출을 목표로 하는 기초연구이다. 물질적 풍요만이 디자인과 경제, 경영을 형성하는 전부는 아니다.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현상은 선진화가 진행될수록 더욱 심화되기에 다양한 문제의식을 가져야 한다. 디자인의 다양한 접근방법을 고려할 때, 생활의 가치라는 정의를 여러 각도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a goal what is finding solution of Social, Environment, Economic problem in the world. At the same time it is a education for the sustainable life. This point have similar goal of industrial design. This study is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four year course in university. The sustainable design course is start from fall semester of sophomore to senior class, five semester, 5 class. Industrial design is also a part of economic activities, thus marketing conscious of practice mass production and public consumption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methods of approaching design must also be attempted in various ways.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ustainable brand in the market. This study is focused,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sign business.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and create brand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erefore, this is a board report and further study will be in concrete strategy like School-based Enterprise progress, practical curriculum structure. The phenomenon of confusion in the value system deepens as a country becomes more developed, a various kind of critical mind must be had. When considering the values methodology of design, the definition of the value of life could be reinterpreted from many angles.

      • KCI등재

        메이커산업과 디자인ㆍ공학 융합교육의 방향

        문찬(Moon Charn)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3

        메이커산업에 필요한 교육은 많은 정보와 지식을 통하여 학생 스스로 이를 습득하고 문제를 인식하며 해결해 줄 수 있는 교육이다. 메이커 무브먼트는 많은 가능성을 가진 신산업의 일부이다. 이 연구의 메이커 양성을 위한 교육설계는 대학교 공학과 디자인교육 사이의 연결을 시도한다. 내용은 공학도들에게 디자인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교육의 실천 가능성을 찾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디자인교육을 공학 전공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창의력에 대한 넓은 인식과 표현력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공학과 디자인에서 요구하는 창조적 사고란 단순히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한 과정이라기보다는 이미 존재하는 것들의 존재형식을 분석하여 좀 더 발전적인 결과물을 위해 그 분석된 요소들을 재결합하고 재구성하며 기존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고행위를 말한다. 개발자 가 되기 위해서 시장분석, 마케팅,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이해가 필요하여 이를 교육하였다. 실습수업은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짧은 프로젝트를 여러 개 시행하여 순환이 빠르게 진행함이 효율적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스케치, 이미지자료 등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을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신산업 메이커들은 기능성과 미적인 해결이라는 두개의 근본적 질문에 대한 탐구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공대생들에게 디자인교육을 연결하는 본 연구가 향후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방법론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Education in maker industry is to help students figure out problem and solve by themselves via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re is many possibility in new industry maker movement. This education case study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University Engineering and foundation study of industrial design for maker. Conten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sign thinking, planning, production process for the engineering students. One of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the industrial design in engineering education. Another is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creativity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reative thinking in engineering-design is not only making something new, but reunion or reconstructing of existing already in this world. This kinds of thinking start finding problems and complete by making things better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It is not recommended to make students conduct one large projects for the whole semester. Students need a understanding of market, consumer lifestyle, and product developing. Instead, design course instructors should better repeat short turnaround projects in similar formats. This will help students be able to predict what they are supposed to do and prepare them in advance. The most important success factor in offering an effective engineering- design class is to build up students confidence in communicating in design with their instructor and other students in class. The new industry makers carried out investigative process regarding two fundamental questions of discovering value for function and aesthetic resolution. I hope that connection of engineering and design education can be studied further for its new method and challenge as an ever changing and developing applied practical stud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학과 디자인 전공 대학생의 협업에 의한 캡스톤디자인 교과 개발 사례

        문찬(Moon, Char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5

        이 연구에서는 캡스톤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념을 살펴보고 융합적 적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육설계의 목적은 서로 다른 다양한 집단 간의 소통과 협업을 통하여 대학생들의 제품개발에 대한 넓은 사고력과 경험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IoT시설물 및 제품 기획에 미치는 결정 요인을 공학과 디자인 융합 경험에 기초하여 크게 사용자 감성, 기능성, 그리고 확산효과로 구분하였다. 연구 수행 과정에서 문제해결력 계발 과정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짐을 알 수 있었다. 구성원 간 유대감 형성은 교육 만족도로 이어졌으며 학업에 영향을 미쳤다. 이 과정에서 공익과 수익 서비스 창출을 위한 다섯 개의 미세먼지 측정기 시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개발 단계에서 설계에 참조할 수 있는 방향 등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통해 캡스톤 디자인 설계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융합교육의 단계적이며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실험과 안정적인 수업설계가 뒷받침 되어야 하며 시간이 소요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cept of capstone design program and how to planning convergence type education. Conten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cation value, planning, production process for the University students. One of the goals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product development in University education. Another is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collaborative development between different groups. Based on an experience of engineering and design convergence it were extracted three dimensions such as user sensitivity, functionality, widening effect that have an impact on choice of IoT products develo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ies gives students positive impact. The relationships lead to a higher satisfaction which increases their intention their studies. I proposed a five benefit and profitability service mock-ups. The paper only focused on investigating what capstone design would be more strategically effective. Therefore, the implications for capstone design planning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The current study presents empirical evidence showing that the concentration of study plan may cause the temporal growth of the convergence type education, but the growth may not persist in following years.

      • KCI등재

        대학교 디자인 교육과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개발 연구

        문찬(Moon, Charn) 韓國商品學會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산업디자인 교육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이론적 근거인 유네스코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경제교육을 포함한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교와 지역사회의 유대관계와 실천을 중요시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교육론을 디자인교과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표현을 시도하게 하려는 의도를 가졌다. 사회, 경제 및 친환경의 개념은 디자인교육에서도 중요한 요소들이므로 지역주민들에게 학생들이 기획하고 제작한 디자인들을 나누는 현장 중심 교육을 진행하였다. 그 내용은 노인을 위한 유니버셜 디자인, 방과 후 학교 환경 개선 그래픽, 옥외 의자 등이다. 수업을 통하여 기획과 제작, 설치가 분리되지 않고 통합된 현장수업의 경험들이 대학교 디자인 교육과정 운영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교육의 정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흥미를 더욱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의 흥미는 지식과 관심, 가치, 감정이 균일해야 하며 특히 동기유발을 위한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 대학과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사회, 환경 및 경제적 가치를 공유하는 참고 연구사례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scussion abou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to develop program for it about rocal community subje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s including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d its Economy which declaration of UNESCO. ESD is also important means for practicing local community and school which have a relationship.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methodology in design education and aims to let student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The actual classes for this study were performed with student's work for the local residents. For example, universal design for senior citizens, after school graphic, street bench and so on. The pursuit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research and practical works are not distinguished and intend to educate real lif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esult, this education course should improve knowledge and to balance concern, value and emotion each other. The course should consider the step-by-step improvement of knowledge and the leaner’s positive emotion. I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make efforts to find out good examples of school connecting local community in Korea and share the examples with other schools.

      • KCI등재후보

        산업디자인전공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방법을 위한 기반 연구

        문찬(Moon, Char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산업디자인은 경제활동의 일부이기도 하므로 생산의 합리적 양산성과 대중 소비를 의식한 마케팅을 고려해야 했다. 그러나 또 다른 관점에서 디자인에 접근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 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최종목표는 다양한 방법론을 산업디자인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표현을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지속가능발전’의 원리와 가치가 환경, 사회, 경제, 그리고 산업디자인교육에 있어 필요하다는 당위성을 지속가능발전교육(ESD)를 기반삼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지속가능적 사고의 확장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 교육과정과 학교기업 설립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그 범위를 지속가능발전 교육, 학교기업의 가능성, 서비스디자인의 ESD적 요소, 그리고 디자인 공공기관의 사회서비스디자인 정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ESD교육을 대학의 산업디자인전공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교육과 연계된 학교기업을 설립하는 목표의 기초연구이다. 그러므로 이어지는 후속연구에서는 구체적 교육설계, 교육과정을 고찰하고 이와 동시에 진행 될 학교기업 설립과정과 교육의 연계 및 발생하는 제 현상들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이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차기 년도에는 적합한 학년과 강좌를 선정 한 후, 연구의 내용을 학부 수업에 적용할 계획이다. Industrial design is also a part of economic activities, thus marketing conscious of practice mass production and public consumption must be considered in the design.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methods of approaching design must also be attempted in various ways.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research applying such methodology in industrial design education and aming to let students attempt various recognition and attempts regarding value. Confronted with internal and external demands, Industrial Design education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an society, environment, economic issues. As a result, Industrial Design education by restoring its inherent principles and expanding its external values, has become encountered today with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mplementing ESD is primarily to share the values and cooperate together between education and School-based Enterprise. This study is focused, sustainable education, possibility of School-based Enterprise, social service design by design councils, and ESD elements in service design area. The current paper is to discuss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offer Industrial design major class what is connecting with ESD. At the same time, another goal is establishing School-based Enterprise which is networking with education. Therefore, this is a board report and further study will be in concrete strategy like School-based Enterprise progress, practical curriculum structure. With such as the foundation, I plan to select suitable years and lectures next year and apply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o undergraduate cla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