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시내 일부 주차장의 공기중 섬유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문지영,김현욱 한국산업위생학회 1994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fiber and its content and the levels of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at eight parking lots where sprayed insulation material was found on the walls and ceilings. Al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and such variables as air current, humidity, total exhaust volume, surface condition of insulation material and building ag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airborne fiber concentration and the building age, air current, humidity, total exhaust volume, space and the number of traffics. 2.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airborne fiber concentration and the MMMF content of the insulation material(r=0.7594).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airborne fiber concentration and total fiber content of insulation material. 3. The differences of the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among Category 1, 2 and 3 classified by the degrees of surface insulation material maintenance were very significant. 4. Two bulk samples contained 30% crodicolite and 1% anthophylite. The MMMFs, in all parking lots, included mineral wool, cellulose fiber, trace cellulose fiber, trace fiber glass and vermiculite. 5. The mean value and the range of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at 8 parking lots were 0.0239±0.0095 f/cc and 0.0054-0.0447 f/cc, respectively. The fiber concentrations of 35 out of 38 samples(92%) were aver 0.01 f/cc which is the Environment Administration's recommended asbestos level for the underground space. This study suggests that most of building insulation materials used in Korea, contain MMMF and sometimes asbestos. Currently, MMMF pollution levels may exceed the Environment Administration's recommended level for underground space. It has been found that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MMMF content and with the maintenance condition of surface material.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a proper management technique should be developed and immediately implemented since the conditions of surface material will be gradually deteriorated due to building age and usage. Since health hazards of the MMMF, similar to those of asbestos, are being gradually acknowledged, a proper management technique which is applicable to control total airborne fiber concentrations, both asbestos and MMMF, be developed and an acceptable indoor air standard be promulgated as early as possible.

      • KCI등재

        고등학생의 기본 물리 상수 인식 수준과 물리에 관한 관점

        문지영,윤현지,김성원 한국물리학회 2021 새물리 Vol.71 No.7

        The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provide much information including size, number and unit, physical and historical meaning in physics learning. We investigated to what extent students understand the fundamental physical constants and how that level of perception was related to their views about physic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an analysis of Physics I textbooks, we selected five constants: elementary electric charge, speed of light in vacuum, Newtonian constant of gravitation, electron mass, and Avogadro constant. A total of 85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tudying physics I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e magnitudes of the five constants, bu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the digit number, unit, history of science and physical meaning. The significant digit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level of particular constant of physics and their views about physics. We also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views about physics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stants recognition level. 기본 물리 상수는 물리 학습에 있어서 그 크기나 수치, 단위, 물리적 의미, 그리고 탄생하게 된 배경을 통해과학사적 의미를 포함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 물리 상수에 대해 학생들이 어떻게 이해하고있는지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그 인식 수준이 그들의 물리에 관한 관점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와 물리 I 교과서를 바탕으로, 5가지 기본 물리 상수(진공에서의 광속, 기본 전하량, 전자의정지질량, 아보가드로 상수, 만유인력 상수)를 선정하였고, 물리 상수를 구성하는 요소로 크기, 수치, 단위, 탄생배경, 물리적 의미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서 물리I과목을 배우고 있는 2 학년 학생 85명을 선정하였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5개 기본 물리 상수의 크기에대해서는 잘 인식하고 있으나, 수치, 단위, 과학사, 물리적 의미에 대해서는 낮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확인하였다. 그리고 물리 상수에 대한 종합적 인식 수준과 물리에 관한 관점 중 인지적 차원 간의 유의한 수준의 상관이 있으며 물리 상수 인식 수준에 따라 물리에 관한 관점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개화기 조선의 '자유주의' 수용론? : 기존 논의들에 대한 비판과 제언 a Critical Review on Existing Arguments

        문지영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社會科學硏究 Vol.11 No.-

        한국에서 자유민주주의의 제도화에 대한 미국의 압도적인 영향력에 주목함으로써 최근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민주주의 또는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해방 이전의 경험을 논의 주제로 거의 포함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에서 제도화된 자유민주주의의 내용과 성격은 미국에 의해 '일방적으로' 규정된 것이 아니라 당시의 국내 정치상황과 그 속에서 분투한 정치세력들의 이해가 다분히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해방 이전의 자유주의 수용과 관련한 역사적 경험을 주의깊게 고찰할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최근 들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개화기 조선에서의 자유주의 수용론에 관한 연구들이 그런 필요에 어느 정도 부응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자유주의 수용론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1차 문헌들에 기초하여 초기에 자유주의가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떻게 한국인들에게 이해되었는가 하는 점을 보여주면 1948년 이후 한국의 공식 지배이념으로 제도화된 자유민주주의를 그 이전의 역사적 경험과 결부시켜 볼 여지를 마련한다. 즉 그러한 연구들은 한국에서 자유민주주의의 기원과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어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개화기 조선의 자유주의 수용론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자유주의에 대한 일면적이고 편협한 이해에 기초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개화사상가들의 자유주의 수용 논의가 드러내는 일정한 특성을 자유주의와는 무관한 순전히 유교의 영향이 개입된 것으로 간주하거나 혹은 그들이 자유주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결과로 해석하는 것은 자유주의에 대한 부적절한 이해를 단적으로 반영한다. 자유주의 수용론의 성격과 의의는 자유주의에 대한 유교적 편견에서 벗어날 때 좀 더 설득력있게 해명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화사상가들의 자유주의 수용론이 1948년 이후 한국에 제도화된 자유민주주의와 명실상부하게 결부되기 위해서는 일제하 자유주의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인 만큼 자유주의 수용론에 관한 연구 범위의 확대가 요청된다. Most studies on democracy or liberal democracy in Korea up to now have hardly concentrat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s before the 1945 Liberation, putting too much emphasis on an overwhelming influence of USA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iberal democracy in Korea.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liberal democracy institutionalized in Korea were determined ‘unilaterally’ by USA. Rather, they reflected the domestic situation at that time, in which the nation-building had to be accomplished in rivalry with north Korean communist regime, and conflicts and compromises among several political factors which reacted against and coped with that situ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istorical experiences related to acceptance of liberalism before the 1945 Liberation. In this respect, studies concerning discourses on an acceptance of liberalism in the late 19th century Chosun, which are vigorously in progress since 2000, are as such of great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origi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beral democracy in Korea. Through the analyses of original texts, those studies have shown how liberalism was passed on to Korea and how it was understood by Korean people, and have provided a theoretical clue that liberal democracy institutionalized in Korea as an official dominant ideology after 1948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experiences before 1948. Those studies, however, have limitations as well in that they are based on a narrow and one-sided understanding of liberalism. One of its evidences is that they interpret some characteristics of those discourses as the influential effects of Confucianism without any relation to the idea of liberalism or as the result of misunderstanding on liberalism of literati in those days. But I maintain that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ose discourses can be elucidated clearly if those discourses are viewed without Confucianist prejudices concerning liberalism. And I suggest our scope of research on discourses on an acceptance of liberalism should be extended toward those of the colonial period, which forms an indispensable part in explicating the implications of those discourses in 19th century for our liberalism today.

      • KCI등재

        분열정동형 장애를 가진 성인과의 송라이팅을 통한 표현적․지지적 음악 심리치료

        문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0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9 No.1

        이 연구는 분열정동형 장애를 가진 성인과의 송라이팅(songwriting)을 통한 표현적․지지적 음악 심리치료의 과정을 다룬 질적 연구이다. 대상자의 비정상적인 가정환경과 부모에 대한 분노,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자신의 감정 및 행동들로 인한 갈등과 해소되지 않는 욕구들로 인해 불안, 초조 그리고 죄의식과 우울 등이 대상자 내면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대상자에게 송라이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고 지지해 줌으로써 내면을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였고,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 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송라이팅을 통한 표현적․지지적 음악 심리치료는 사고와 감정, 행동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자에게 표현의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우울의 강에서 희망의 바다’로 나갈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 KCI등재

        거래 목적에 따른 고가주택 시장의 세분화 연구

        문지영,유선종 한국지적학회 2020 한국지적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고가주택 중에서도 거래 목적에 따라 시장이 세분화되어 있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고가의 노후‧불량 주택’과 ‘고급주택 시장’을 구분하였다. 고가주택 시장을 거래 목적에 따라 구분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가의 노후‧불량 주택은 재건축으로 인한 기대이익이 반영된 투자재로서 자본이득을 목적으로 거래되므로, 자산가들 간 거주효용을 목적으로 차별화된 가격으로 거래되는 고급주택과는 다르다. 본 연구는 노후‧불량도를 기준으로 군집분석과 군집별 시장 비교를 통해 고가주택과 고급주택 시장이 일치하지 않는 점을 확인하였다. 거래 목적에 따라 시장을 구분하여 살펴보고 시장별로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이 다르게 작용하는 점을 분석함으로써 고가주택 시장 내에서도 거래 목적에 따라 주택 시장이 세분화되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석 과정과 결과를 통해 고급주택을 ‘고가로 거래되는 주택 중 노후‧불량주택이 아닌 주택’이라 재정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각종 정책의 수립 시 세분화된 주택 시장 별로 영향을 구분하여 조세 등의 정책 효과를 예측하고 고가‧고급주택 시장을 이해하는 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among the expensive houses traded, the market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ransaction, distinguishing between "high-priced old and poor houses" and "high-end housing markets." Among the expensive houses, the market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ransac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It was confirmed that high-priced houses do not become high-end houses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comparison of markets by group based on aging and poor quality.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distinguish and predict the impact of each segmented housing market in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policies such as finance and taxation, an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high-end housing market in advance.

      • KCI등재

        1950-1955년 프랑스 반공주의 선전활동-<평화와 자유(Paix et Liberté)>를 중심으로-

        문지영 한국프랑스사학회 2018 프랑스사연구 Vol.- No.38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European society encountered a new political environment called the Cold War, which created a new political culture. In 1950, the struggle around peace between communism and anticommunism became more intense as the tensions between the East and West camps increased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Stockholm Appeal. In this context, Jean-Paul David, with the support of René Pleven, the Prime Minister of the 4th Republic and the head of the ‘Third Force’, created <Paix et Liberté> for anticommunist propaganda to defend the truth against communist propaganda. This organization carried out anticommunist propaganda activities by various means such as posters, tracts, newsletters, pamphlets, placards, cartoons, postcards, stickers, movies, radio, etc. In this paper, for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the Cold War in France, we first examine the process of organizing <Paix et Liberté>, a stronghold of anticommunist propaganda to defend peace and freedom and also counterweight to the <Mouvement de la Paix>, against the communist propaganda movement from 1950 to 1955. Next, we try to clarify the implications of the new political culture that was formed in the early Cold War by examining various anticommunist propaganda activities in detail. 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유럽 사회는 ‘냉전’이라는 새로운 정치 환경과 문화를 경험했다. 1950년 스톡홀름 호소와 한국전쟁 발발로 동‧서 진영의 긴장상태가 고조되면서 공산주의 대 반공주의 평화투쟁이 더욱 격렬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프랑스 제4공화국의 총리이자 제3세력의 수장인 플레벤의 지원에 힘입은 다비드(Jean-Paul David)가 공산주의 선전에 맞서 진실을 수호하는 반공주의 선전활동을 위해 <평화와 자유(Paix et Liberté)>를 창설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1950년에서 1955년까지 공산주의 선전운동에 맞서 <평화운동>의 대항마로서 평화와 자유를 수호하려는 반공주의 선전활동의 본거지인 <평화와 자유>의 조직과정을 살펴보고, 이어 다양한 반공주의 선전활동의 내용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프랑스 냉전의 전개과정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냉전 초기 형성된 새로운 정치문화가 갖는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문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성악심리치료를 경험한 음악치료사와 음악치료 인턴의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성악심리치료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도출해내어 심리치료 방법으로서 성악심리치료의 효과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음악치료사와 음악치료 인턴 일곱 명을 심층 면담하여 성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내용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지오르지(Giorgi, 2009)의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의미단위를 추출해 내어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고 성악심리치료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찾기 위해 변형된 의미단위들을 구조로 통합하였다. 분석 결과 132개의 의미단위가 추출되었고, 28개의 하위 범주(하위 구성요소)와 5개의 범주(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5개의 범주(구성요소)는 ‘다양한 감정 유발’, ‘자신을 발견하고 성찰하는 의미 있는 경험’, ‘비언어적인 도구로서 목소리의 치료적인 힘’, ‘개인적 성장’, ‘전문가적 성장’으로 나타났다. 성악심리치료의 경험은 심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고 자유로움과 해방감을 강화시키는 도구로 사용되어 치료에서 오는 저항을 줄여 치료 과정으로의 안내를 돕는 지지적인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클라이언트에게 의미있는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음악치료사에게 이러한 성악심리치료의 경험은 개인적인 성장 뿐 아니라 전문가적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경험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voc al psychotherapy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and bring about the essences and meanings of vocal psychotherapy. Seven music therapist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gathered through semi-constru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2009).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132 meaningful units, 28 sub–components(sub-categories) and 5 components(categories) can be drawn. The 5 components were ’various emotions-induced‘, ‘meaningful experience about self-discovery and self-reflection’, ‘therapeutic power of voice as nonverbal method’, ‘personal growth’, ‘professional growth’. The experiences of vocal psychotherapy used tool that provided stability and comport, strengthened free and sense of freedom. And the experiences of vocal psychotherapy had a role of supportive tool to stir up a emotional expression freely that showed the way to the process of therapy and reduced resistance to therapy, The experiences of vocal psychotherapy for music therapist is the essential experiences for personal growth as well as professional growth.

      • KCI등재

        분열정동형 장애를 가진 성인과의 송라이팅을 통한 표현적ㆍ지지적 음악 심리치료

        문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0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9 No.1

        이 연구는 분열정동형 장애를 가진 성인과의 송라이팅(songwriting)을 통한 표현적·지지적 음악 심리치료의 과정을 다룬 질적 연구이다. 대상자의 비정상적인 가정환경과 부모에 대한 분노,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자신의 감정 및 행동들로 인한 갈등과 해소되지 않는 욕구들로 인해 불안, 초조 그리고 죄의식과 우울 등이 대상자 내면 깊숙이 자리 잡고 있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대상자에게 송라이팅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고 지지해 줌으로써 내면을 통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였고, 긍정적인 사고로 전환 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였다. 송라이팅을 통한 표현적·지지적 음악 심리치료는 사고와 감정, 행동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자에게 표현의 장을 마련해 줌으로써 ‘우울의 강에서 희망의 바다’로 나갈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ressive-Supportive Music Psychotherapy' through songwriting for adults with schizoaffective disorder. The subject has deeply rooted anxiety, anxiousness, guilt, and depression due to conflict and unsolved desire resulting from abnormal family environments, anger towards parents, and socially unacceptable emotions and behaviors. The songwriting method has been employed to such a patient to express one's feelings and thus by supporting the feelings, provided opportunities to see through one's inner self and therefore led him/her to positive thinking. Motivation enabling a proactive role has been employed in this process. 'Expressive-Supportive Music Psychotherapy' through songwriting has opened the road from a 'river of depression to a sea of hope' for the patient suffering from difficulties with having rational thoughts, expressing emotions, and displaying appropriate behaviors by providing a stage for expressing oneself.

      • KCI등재

        복합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와의 즉흥연주 및 음악과 심상을 이용한 음악치료 사례 연구

        문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09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1 No.2

        이 연구는 최근 증가 추세에 있으나 약물치료와 정신치료 등에는 잘 반응하지 않는 복합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Complex PTS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화, 외상적 기억 처리, 재통합의 단계에 즉흥연주 및 음악과 심상을 이용한 음악치료를 통해 복합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스트레스, 우울, 불안, 사건충격, 해리경험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SIDES-SR, BDI, BAI, IES-R, DES이고 치료효과 판정은 음악치료 시작 전, 9개월 동안의 치료 기간을 3개월씩 구분하여 3개월 후, 6개월 후, 9개월 후의 평가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SIDES-SR의 6가지 영역 모두에서 평균 심각도가 감소되었고, 치료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호전되었다. 특히, 심각도가 높았던 영역 중에서 정동과 충동 조절의 변화, 신체화의 감소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DI, BAI, IES-R, DES에서도 치료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상의 감소를 보여 호전이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People who were exposed to chronic interpersonal traumas in their early life consistently demonstrate complex psychological disturbances and many of them meet the criteria for proposed diagnosis of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lex PTSD). The author reports a case of the successful music therapy that sequential integrative treatment mainly composed of improvisation and music imaging in a complex PTSD patient. The patient did not respond to the previous treatment with psychotropic medications and supportive psychotherapy. Nineteen sessions of music therapy were done for the patient. Psychological assessments and behavioral measures were performed before starting the treatment, after 3 months and after 6 months and after 9 months. After the music therapy session, the patient improved on all the psychological scales and behavioral measures. This case suggests that the music therapy that sequential integrative treatment using improvisation and music imaging may be effective for complex PTSD patient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