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264/AVC 부호화기에 대한 효과적인 모드 결정 알고리즘

        문정미,김재호,용호,Moon Jeong-Mee,Kim Jae-Ho,Moon Yong-Ho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3C

        본 논문에서는 H.264/AVC의 부호화기에서 RDO 모드 결정을 위한 효율적인 방식을 제안한다. DCT 계수와 RDO 모드 결정 과정의 특징에 기반하여 모든 DCT 계수들이 양자화 후에 '0'이 되는 오차 블록 (AZCB)을 검출하는 새로운 조건이 유도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AZCB에 대한 (I)DCT, (역)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 과정의 생략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RDO 모드 결정 과정에 요구되는 계산량을 감소시킨다. 모의 실험 결과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약 40% 이상의 계산량 감소가 제안 알고리즘에서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lgorithm for the RDO mode decision in H.264/AVC encoder. Based on the properties of DCT coefficients and the RDO mode decision processing, we derive a new condition for detecting an error block having all-zero DCT coefficient (AZCB). (I)DCT, (I)Q, and entropy coding are skipped for AZCBs in the proposed algorithm. It makes the reduction of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for the RDO mode decis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computational saving over 40%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 초오 중독 환자에서 심혈관계의 변화에 대한 고찰

        문정미,이병국,전병조,윤한덕,허탁,민용일 대한응급의학회 2002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3 No.1

        Purpose: The roots of Aconitum plants (e.g.,A carmichaelii, A napellus) have been believed to possess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cardiotonic effects and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ainly for th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Because of low safety margin, it is not uncommon to visit emergency departments to have variable amounts of highly toxic diterpene alkaloids (e.g., aconitine) contained in their systems. Typical manifestations of aconitine posioning are neurological, cardiovascular, and gastrointestinal problems. The known cardiovascular manifestations are several types of arrhythmia and hypotension. The author experienced a cases of transient ventricular ischemic change in an EKG and elevation in cardiac enzym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cardiac ischemia associated with aconitine poisonining. Methods: The author analyzed 13 patients with aconitine poisoning,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5 to 2001. Variables included in data analysis were age, sex, clinical features, cardiac enzyme levels, and EKG changes. Results: Aconitine had been taken for a variety of medical problems, including arthralgia, neuralgia, and some gastrointestinal complaints. All patients suffered from neurological (tingling of the mouth and skin, followed by numbness and weakness in the extremities), cardiovascular (palpitation, dizzness), and gastrointestinal (nausea, vomiting) manifestations. Most patients had a variety of cardiac rhythm disturbances. Two patients exhibited transient cardiac ischemia, including cardiac enzyme elevation and ischemic changes on their an EKGs. Conclusion: Two patients (15.4%) among 13 patients showed transient cardiac ischemia, including cardiac enzyme elevation and ischemic changes on their EKGs. It is important to observe the possibility of myocardial toxicity of aconitum and to evaluate the mechanism of cardiac toxicity through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컴퓨팅 사고력 기반 교수·학습을 실천하는 교사, 학교, 교과 특성에 대한 탐색

        문정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3 교과교육학연구 Vol.27 No.1

        As computational thinking (CT) is recognized as a core competency for the digital era, teachers have attempted to cultivate students’ CT by teaching its core principles in various subject areas. While research on teaching CT-related skills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there is still a knowledge gap about teacher characteristics and school contextual factors that predict teachers’ emphasis on CT skills in the classroom.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schools using ICILS 2018. It used the Teacher-Centered Systemic Reform model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which assumes that altering classroom practices is the core of school reform efforts and is affected by the interplay of teacher and school factors.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reciprocal learning, negative view on ICT use, and perception about ICT availability have positive associations with the emphasis on teaching CT skills, in addition to teacher collaboration, structured professional development, positive view, and ICT self-efficacy revealed in the prior studies. Also, the associations of those factors with the emphasis on teaching CT skills differed by teachers’ subject area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eachers’ understanding of CT as analytical thinking, teachers' perception of ICT support, and the unique property of each subject area should be considered in helping teachers integrate CT skills in the classroom.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컴퓨팅 사고력(CT)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여러 교과목에서 CT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이 시행되고 있다. CT 기반 교수·학습에 관련된 연구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지만 CT를 함양하기 위해 새로운 수업을 시도하는 주체인 교사와 학교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 연구는 국제컴퓨터·정보소양(ICILS) 2018 을 활용하여 교사와 학교 특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업 변화를 교육 혁신의 핵심으로 보고 다양한 교육 요인을통합시킨 교사중심의 체계적 변혁(TCSR)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모형을 설계했다. 분석 결과 수업에서 ICT 활용을 위한 교사간 협력, 구조적 학습, 긍정적 인식, 자아효능감 등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교사 요인 외에도 추가적으로 동료 교사 간 전문적학습, 부정적 인식, ICT 이용가능성에 대한 교사 인식이 CT 기반 교수·학습을 강조하는 교사의 예측 요인으로 밝혀졌다. 담당 교사별 분석 결과는 전체 교사 대상 결과와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여 CT 기반 교수·학습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들이 교과별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 지원책 모색에 있어 교사 학습공동체, 사고능력으로서 CT의 개념에 대한 이해, 교사가 평가하는 ICT 지원, 그리고 과목 특성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 해석의 한계를 밝히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자연폭로와 실내촉진 내후성 영향

        문정미,장호진,김창환 한국표면공학회 2022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5 No.6

        Natural(outdoor) and accelerated(artificial) weathering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ir influence on polycarbonate. The polycarbonate materials were prepared of various formulations divided into three batches, with existing, development materials1, development materials2, containing mixture of UV additives. Weathering tests were carried out as outdoor weathering(Seosan, South Korea) and accelerated weathering(xenon-arc), and the results analysis were evaluated based on yellow-index(YI),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EDS),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XRD),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 Among the three materials, processing method development materials1 with UV stabilizer was excellent in weathering.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standardization of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n livestock barn roof.

      • KCI등재

        미국 고교 온라인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고찰: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한 사례를 중심으로

        문정미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온라인교육과정 운영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를 목적으로 온라인수업을 운영한 미국 고등학교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에 따라 지난 20년 간 현장 사례를 연구한 문헌을 검색하고, 그중에서 온라인수업 운영과 관련된 학교 맥락들이 구체적으로 기술된 문헌 10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정책구현이론에서 제시하는 상황적, 물리적, 외적, 전문적 맥락을 분석 틀로 삼아 코딩과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학교는 농어산촌이라는 지역적 고립성이 야기하는 학생의 과목 선택권 제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주교육부와 지역 교육구뿐 아니라 대학, 전국적인 학교 간 네트워크, 민간 등에서 제공하는 온라인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농어산촌 지역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들과 대면으로 상호작용하는 현장조력자 배치, 정규 시간 내 수강 지원, 온・오프라인 학습 지원 시간 마련 등의 선제적 조치를 취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심화과목을 개설하고 학생의 소통과 참여를 돕기 위한 구조적 지원을 지속하였다. 교육구 또는 학교는 온라인수업의 교수 또는 관리를 전담하는 인력을 배치하여 온라인수업의 중요성을 구성원들에게 인지시키고, 전담인력이 전문성 제고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고 있었다. 현장연구 사례에서 그 어떤 맥락보다 온라인수업을 실천하는 정책행위자들이 지닌 전문성과 헌신,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교육자원의 지원이 교육 경험의 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고교 온라인교육과정 운영 및 확대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교 · 대조아이디어 처리 능력 양상 연구

        문정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aspects that how students interpret and explain tabulated subjects that they know well in the linguistic perspective. For this study we gave two types of writing assignments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identified the comparing and contrasting skills of them. The first assignment was to write a report that describes the 3X3 table about our country‘s weather and clothes. The second assignment was to write a report that describes the 7X3 table about the squid and octopus. The reports that were written by identifying the relevance of each cell were divided into 4 levels. Level 1 was enumerated type that simply enumerates the contents of each cell. Level 2 was connected type that simply connects the contents of each cell. Level 3 was related type that connects the contents of two-cells. Level 4 was synthesized type that incorporates the contents of each cell into one id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about 50% of the 3rd grade students were related type in contrasting idea. And in comparing and contrasting idea they were ranked in order of connected type, related type, enumerated type. Among 6th-grade students enumerated type was very rare in both contrasting idea and comparing and contrasting idea. Most of them were related type or synthesized typ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grade level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tables were presented for students in the subject of the Korean language or others. This study would be able to provide you with useful information on how to select educational contents and guide students in each grade.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잘 아는 주제를 표로 제시한 후, 그 표를 해석하여설명하는 것을 언어적 관점으로 그 양상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쓰기 과제를 제시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교·대조 아이디어처리 능력 양상을 파악하였다. 첫 번째 과제는 우리나라의 날씨와 옷차림에 관한3X3 형식의 표를 보고 설명하는 글을 쓰는 것이다. 두 번째 과제는 오징어와 문어에관한 7X3형식의 표를 보고 설명하는 글을 쓰는 것이다. 각 셀의 연관성을 파악하여쓴 글을 4수준으로 나누었다. 수준 1은 ‘나열형’으로 각 셀의 내용을 단순하게 나열한것이고, 수준 2는 ‘연결형’으로 각 셀의 내용을 단순하게 연결한 것이다. 수준 3은‘관계형’으로 연결한 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고, 수준 4는 ‘종합형’으로 각 셀의내용을 하나의 아이디어로 통합하여 제시한 것이다. 연구 결과 3학년 학생들은 대조아이디어에서 ‘관계형’에 약 절반의 학생들이 있었고 비교대조 아이디어에서는 ‘연결형’, ‘관계형’, ‘나열형’ 순으로 나타났다. 6학년 학생들은 대조와 비교대조 아이디어유형 모두 ‘나열형’의 양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관계형’과 ‘종합형’이 대부분을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어과나 타교과에서 학생들에게 표를 제시하여 설명하거나설명한 내용을 표로 나타낼 때 학년 수준과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학년별 교육 내용 요소 선정과 지도 방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