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경력관리, 경력정체, 경력만족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모형

        문인오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0 간호행정학회지 Vol.16 No.2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 model which explains the career management, career plateau and career satisfac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commitment of nurses. Metho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 24, 2009 to Sep. 22, 2009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aries. Participants were 441 nurses who had worked in 2 national university hospitals, 1 university hospitals, and 1 hospitals founded by business enterprises. The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and AMOS 15.0 for structural model. Results: Career commitment was directly impacted by career management, career plateau, career satisfaction. The predictable variables of the hypothetical model explained 28.4% of career commitment. Career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areer management, career plateau, career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study suggest that some strategies are needed which focus on career management, career plateau and career satisfaction in order to promote the nurse's career commit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강점 활용 및 자아탄력성이 대학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

        문인오,이영주,이정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ngths use and ego - resilience of college freshmen on college freshmen lif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freshmen of Jeonbukdo W university. The study method was SPSS 22.0.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 - test, one -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ediction of academic dropout according to sex, major and use of strengths and ego - resilience. Second,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were found to affect college freshmen 's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dictions of suspension of schooling. Third, the use of strength and ego -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dictions of academic dropout.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support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the students in order to prevent the students from stopping their study and adapt to college life, and to educate them to improve their self -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강점 활용, 자아탄력성이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학업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W대학 신입생 474명이다. 연구방법은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t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 활용, 자아탄력성은 성별, 계열별에 따라 학업중단예측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은 학업중단 예측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점 활용과 자아탄력성은 학업중단 예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을 방지하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대학이 지원하기 위하여 개인의 성격 강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신입생 시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관리 실천과의 관계에서 시스템 사고와 환자안전 의사소통역량의 매개효과

        문인오,류정림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관리 실천과의 관계에서 시스템 사고, 환자안전 의사소통역량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J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 후 연구에 동의한 129명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는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환자안전관리 실천에대한 환자안전역량(r=.58, p<.001), 시스템 사고(r=.63, p<.001), 환자안전 의사소통역량(r=.74, p<.001)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안전역량에 대한 시스템 사고(r=.52, p<.001), 환자안전 의사소통역량(r=.74, p<.001)은 정적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환자안전관리 실천과의 관계에서 환자안전 의사소통역량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B=0.29, CI=0.15-0.48) 시스템 사고는 매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B=0.05, CI=-0.08-0.17).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실천을 강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환자안전에 대한 전략이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환자안전 의사소통역량은 환자안전역량이 환자안전관리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하는것으로 나타나 환자안전 의사소통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환자안전 의사소통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이 직무열의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문인오,박숙경,정정미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13 간호행정학회지 Vol.19 No.4

        Purpose: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survey to examine economic feasibility of home care services for patients with diabetic foo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3 patients in the home care services (HC) group and 27 in the non-home care services (non-HC) group, all of whom were discharged early after inpatient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Direct medical costs were calculated using medical fee payment data. Cost-effectiveness ratio was calculated using direct medical costs paid by the patient and the insurer until complete cure of the diabetic foot. Effectiveness was the time required for a complete cure. Direct medical costs included fees for hospitalization, emergency care, home care, ambulatory fees, and hospitalization or ambulatory fees at other medical institutions. Results: Mean for direct medical costs was 11,118,773 won per person in the HC group, and 16,005,883 won in the non-HC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42). Analysis of the results for cost-effectiveness ratio showed 91,891 won per day in the HC patients, and 109,629 won per day in the non-HC patients. Conclusion: Result shows that the cost-effectiveness ratio is lower HC patients than non-HC patients, that indicates home care services are economically feasibl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인오(Moon, Inn Oh),이경완(Lee, Gyoung Wan) 한국간호교육학회 2010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nursing students career search behavior.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44 students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about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from March 2 to April 5, 2010. Result: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was 3.61, 3.37, and 2.39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behavior, betwee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and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search behavio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 KCI등재후보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신체적 건강상태와 부적 정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인오 ( Moon Inn Oh ),이윤주 ( Lee Yoonju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종합병원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신체적 건강상태 및 부적 정동 수준을 파악하고 부적 정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여성 간호사 187명으로 모두 일반간호사로 교대근무를 하는 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무 특성을 포함하여 피로, 신체적 건강상태, 부적 정동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이 포함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피로, 신체적 건강상태, 부적 정동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피로, 신체적 건강상태와 부적 정동을 부분적 상관분석을 시행하였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부적 정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근무부서, 보수 만족도, 수면을 취하기 어려운 근무 유형과 과도한 피로를 느끼는 근무 유형에 따라 피로, 신체적 건강상태와 부적 정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요인들을 통제한 가운데 피로(r=.561, p<.001)와 신체적 건강상태(r=.623, p<.001)는 부적 정동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적 정동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피로(β=.409, p<.001)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들이 교대근무로 인한 피로 경험을 반복하게 되면서 부적 정동이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므로 간호사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부적 정동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는 부적 정동에 의한 소진과 이로 인한 이직을 감소하기 위해서 병원, 정부 및 간호단체가 협력하여 다양한 근무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fatigue, physical health status and negative affectivity in shift-working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87 shift-working staff nurses who worked in one University hospital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Scheffe post hoc test) for relationship of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to fatigue, physical health status and negative affectivity. Partial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negative affe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working department, pay satisfaction, duty with sleep disturbance and excessive fatigue were associated with fatigue, physical health status and negative affectivity. By controlled these factors, fatigue(r=.561, p<.001) and physical health status(r=.623, p<.001)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negative affectivity. Fatigue(β=.409, p<.001)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egative affectivity and fatigue, physical health status and working department were explained 56.4% of the variance. Results suggested that programs for reduce shift-working nurse’s fatigue are required first. In addition, various working systems need to be considered for preventing negative affectivity due to shift work.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