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무용동작유형별 피드백제공방식에 따른 동작수행 및 학습효과

        문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 2003 예술논총 Vol.6 No.-

        본 연구는 무용동작 학습시, 피드백 정보의 제공방식이 동작의 특성에 따라, 즉 무용동작의 주요한 두 특성인 기술적 동작과 표현적 동작에 따라 수행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무용학습의 주요변인인 정보제공 문제와 관련된 경험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무용학 연구 영역에서 다소 미진한 과학적 접근, 구체적으로는 무용학습 이론의 잠정적 가설에 현장연구를 통한 해답을 제공하여 무용심리학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이차적 목적을 지닌다. 그리하여 응용적으로는 무용학습 현장(학교 및 직업단체의 훈련과정)에서, 특히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시스템이 요구되는 발레연습 과정 내에 포함된 일련의 동작 습득에 있어서 교사 또는 지도자로 하여금 학습자의 기술수준에 따른 적정한 동작 제시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하여 단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과 공연상황에서의 절정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데 그 연구목적을 둔다. 실험집단은 동작유형과 피드백 정보 제공방식에 따라 언어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A), 언어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B), 시각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C),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D)의 네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수행점수는 기술동작의 평균이 M=6.6이었고, 표현동작의 평균이 M=6.1로 차이를 보였고, 검사에 따른 변화는 사전검사(M=5.5), 사후검사(M=6.8)로 나타나 수행 후기에 점수의 변화가 컸으며, 제공방식에 따른 수행점수의 변화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이(M=7.4)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다음은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M=6.5),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M=5.8),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 (M=5.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대한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기술 동작의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오차수정을 위한 시각적 피드백이 유의미한 수행점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표현동작의 경우는 그 동작이 요구하는 질적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언어적 오차수정이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기준벙보 제시방법과 동작 유형과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를 지지하면서(김윤진, 1996), 기준정보와 피드백 정보와의 관련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문영 1998, 2000, 2001 : 박금자, 문 영, 1998).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따른 변화, 구체적으로 언어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 제공에 따른 무용동작 유형별 수행점수 변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 동작수행점수에 대한 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에 따른 주효과가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검사에 따른 주효과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 유형의 학습효과를 의미하는 연구로, 상기의 결과가 무용학습 현장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quisition of dance movement skill through experimenting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information mode and movement type. Forty ballet dancers were required to practice ballet enchainement movements(battement tendu-adagio-grand battement-petit jete-grand jete) task in four different practice condition (visu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erb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isu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verb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during ten day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feedback mode) × 2(movement type) × 2(test)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est. Pre-Post test performance scores was analyzed with thre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in effects of feedback mod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main effect of movement type was not significant. 2) The main effect test was significant. 3)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mode, movement type and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concluded to suggest that verbal feedback information for expressive movement and visual feedback information for technical movement have significant on dancers' acquisition of skill and thus, on dance performance; the using feedback information method is a factor to effective dance learning.

      • KCI등재

        Proposal of Research on Dance Entrepreneurship for the Dance Ecosystem Innovation

        문영 대한무용학회 202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0 No.3

        예술 분야는 4차 산업시대에 가장 변화를 맞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며 기술 과 접목한 무형의 예술콘텐츠 활용이 더욱 다양해지면서 산업적 성장과 함께 자생력과 경쟁력 확보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예술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기존의 창작 중심의 활동을 넘어서 예술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를 함께 확장할 수 있도록 앙트러프러너십(entrepreneurship)을 겸비한 예술가의 육성이 요구된다. 최근 예술분야에서 앙트러프러너십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산업화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은 새로운 가치창출과 함께 새로운 기회가 창출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그간 우리나라 아트앙트러프러너십의 발현과 방향성은 예술가들의 수평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협업이었고 이를 통한 사회의 혁신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분야의 댄스 앙트러프러너쉽 연구와 실천이 융합형 연구과정과 결과들을 연계하여 현장에서 댄스 앙트러프러너십 이 활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연구 및 교육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그리고 경제 적 측면으로 구조화하여 제안한다.

      • KCI등재

        무용상해의 원인, 특징 및 예방에 관한 연구

        문영 韓國舞踊敎育學會 1997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8 No.-

        The usual characteristics of dance injuries were as follows: 1) Low at both ends and high in the middle. 2) Among those injuried in training, males were more often affected than females. 3) The number of injuries was directly propotional to the age of the students. 4) Occurence of injuries was indirectly propotional to the duration of schooling. 5) The rate of injuries of the lower extremities was much greater than of the upper. 6) There was a close association between dance injuries, training intensity, and level of artistry. 7) Prevention of dance injury include body treatment. And the methods of prevention of dance injuries were as follows: 1) Prevention of dance injury is most important for dancers. 2) Transition class in the theater for novices newly employed dancers. 3) Greater training and emphasis on long range goals. 4) Better organization of class schedules and rehearsal work. 5) Prevention program should relate to the dance education or training curriculum. 6) It is necessary that prevention of dance injury is not only dance movement technique but also physical treatment for recovering dance performance skill. 7) Physicians should know the principles and the processes of dancing in order to determine the causes of injuries, make clinical diagnoses, and prevent the cycle of training-injury-treatment and retraining reinjury-retreatment. 8) It is necessary to provide teachers with feedback and data about the sites, degree, and nature of injuries so that .they may provide training scientifically and artistically.

      • KCI등재

        무용의 과학적 연구 활성화 방안

        문영 韓國舞踊敎育學會 1996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6 No.-

        This study suggests that danciology has to take not only philosophical study but also scientific study as like dancer's body mechanism, movement control, learning processes, and so on.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steps of scientific dance research as follows: 1) Definition: a systematic and scientific attempt to provide answer with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to question that occurs in danciology. 2) Characteristics; systematic, logical, empirical, reductive, replicable, and transmittable. 3) Steps in the processes; identifying a problem → reviewing the literature → constructing a hypothesis → identifying and labeling variables → constructing operational definition → manipulating and controlling variables → constructing a research design → identifying and constructing devices for observation and measurement → carrying and statistical analysis → writing a research report. Conclusively through modification of higher education curriculum and supporting activities of various research associations and societies, we have to pursuit of development of danciology and scientific dance research techniques that would contribute to whole danc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