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의 산업구조 및 일자리 결정요인

        문영만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경제총조사 및 기업활동조사를 사용하여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의 일자리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남권의 산업별 매출액 비중을 분석한 결과, 부산은 도매 및 소매업(28.7%), 울산(77.2%)과 경남(52.5%)은 제조업 비중이 가장 높았다. 둘째, 동남권의 산업별 취업자 비중은 부산은 도매 및 소매업(16.5%), 울산과 경남은 제조업(35.6%, 32.3%)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기업규모별로는 대다수 취업자가 중소기업에 종사하고 있었다(부산 89.0%, 경남 88.0%, 울산 78.6%).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동남권의 일자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 영업이익률, 매출액, 연구개발집중도 변수는 상용직 고용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반면, 자본집약도, 외주가공비, 임시·일용직비율 변수는 고용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임금변수는 임금이 증가한 당해 연도는 상용직 고용을 감소시키는 반면, 그 다음해에는 고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는 고용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 노동소득분배율, 영업이익 및 매출액, 연구개발투자 등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으며, 각 지역의 산업구조와 일자리 특성에 따라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만큼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mployment decision factors of Busan, Ulsan and Gyeongn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ratio of sales by industry, Busan has the highest rate of wholesale and retail business (28.7%), Ulsan (77.2%) and Gyeongnam (52.5%) have the highest manufacturing ratio. Second, the ratio of workers by industry Busan had the highest wholesale and retail business (16.5%), Ulsan (35.6%) and Gyeongnam (32.3%) had the highest manufacturing ratio. Third, as a result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labor income share, the operating profit margin, the sales, and the concentra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variables significantly increase the employment of the regular workers, while the capital intensity, the outsourcing cost, were estimated to significantly reduce employment. The wage variable indicated that the year in which wages were raised decreased employment, but increased employment in the following year. Therefor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implement policies to strengthen labor income distribution, operating profits and sales, and R & D investments that have a positive (+) impact on employment. The impact on job creation is different, so a job policy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s needed

      • KCI등재

        청년층의 중소기업 정착요인 및 임금효과에 관한 연구

        문영만,김종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2

        Using youth panel (2009~2014), we analyze young generation’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 settlement factors and its wage effects. Our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results show that ‘social contribution and commuting distance satisfaction’, subjective job satisfaction variables as well as objective working conditions such as wage and benefi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young employees’ SME settlement, and job-major match variable to increase the duration of employment. Secondly, the wage of young employees, who have worked in the same SME for more than three years, was higher by 10.3% and this wage gap was estimated to remain constant over time. Thirdly, in the case of turnover that the employment type was changed from temporary position to regular, permanent position, the initial wage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non-turnover-temporary position’, but the wage grew faster after turnover to regular, permanent position.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of young employees and increase the SME settlement rat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job-major match with objective working conditions. It is also rational for young employees to work at the same company for a long period rather than changing jobs frequently unless they move on to regular, permanent position. 본 연구는 청년패널데이터(2009년~2014년)를 병합하여 청년층의 중소기업 정착요인 및 임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취업자 중에서 이직을 하지 않고 동일한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비중은 61.3%였으나, 이중 3년 이상 근무한 청년취업자는 28.7%에 불과하였다. 둘째, 중소기업 청년취업자의 이직사유를 분석한 결과, 근로조건 불만 39.9%, 직무 불일치 38.5%, 개인사유 12.8%로 나타나 근로조건 불만에 따른 이직 못지않게 직무 불일치에 의한 이직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패널 회귀분석을 통해 청년취업자의 중소기업의 정착요인을 분석한 결과, 임금 등 객관적 근로조건뿐만 아니라 주관적 근로조건인 ‘사회적 공헌 및 통근거리 만족도’ 변수 등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전공일치도 변수도 장기근속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소기업 정착여부에 따른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동일한 중소기업에 장기근속한 청년취업자의 임금수준이 10.3% 더 높았으며, 이러한 임금격차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다만, 고용형태가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변경된 이직은 그렇지 않았다. 따라서 청년취업자들의 이직을 낮추고 중소기업 정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객관적 근로조건의 개선과 더불어 직장만족도와 직무-전공 일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청년취업자의 경우 빈번한 직장이동보다는 동일한 기업에 장기간 근무하는 것이 더 합리적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비정규직 여성과 가구주의 고용불안정성이 자녀 출산에 미치는 영향 - 사업체 규모와 지역을 중심으로 -

        문영만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3 지역개발연구 Vol.55 No.3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gap in the labor market between female workers and household heads on childbirth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for 17 years (2005-202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irth rate of women was four times higher for permanent workers than for temporary workers, and three times higher for large companies than for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Second, even when controlling for various factors through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birth rate of women working full-time was 2.8 times higher than that of temporary workers, and the birth rate of women working in large companies was 1.4 times higher than that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birth rates of married householders indicated the birth rate of full-time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temporary workers in all years over the past 17 years, and that of household heads of large corpora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small and medium-sized households. Fourth, the results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the birth rate of married householders through pane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ull-time workers were significantly 1.1 times higher, and the birth rate of householders of large corporations was 1.1 times higher than that of small and medium-sized households.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birth rate, the employment stability of women and non-regular household heads must be increased.

      • KCI등재

        기업 규모별 직업훈련 실태 및 노동시장 성과(임금, 직무만족도)

        문영만,김종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9 산업혁신연구 Vol.35 No.1

        First,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was improvement of work ability (93.1%). Participation rate of large companies (17.8%)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5.3%). Second, as a result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wage, education, full-time, union, working hours, job satisfaction, and white color were higher in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training.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participation in vocational training was low in age, service years, and manufacturing.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wag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2.0% in total) than the incumbent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Large companies (2.6%) were more influential than SMEs (1.9%). Fourth,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vocational training was significant (+ 5.0%) in panel regression analysis, Influence was greater for large corporations (7.6%) than for small businesses (3.9%). Fifth,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the long-term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was estimated to increase the wage level not only at the beginning of vocational training but also over time. 본 연구는 기업 규모별 직업훈련 참여 현황과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의 참여목적은 업무능력 향상(93.1%)이 가장 많았으며, 참여비율은 대기업(17.8%)이 중소기업( 5.3%)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임금과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정규직일수록, 노조에 가입할수록, 노동시간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관리·전문직 등 화이트칼라일수록 직업훈련 참여비율이 높았다.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에 참여한 재직자의 임금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전체 2.0%), 기업 규모별 영향력은 중소기업(1.9%)보다 대기업(2.6%)이 더 컸다. 넷째, 직업훈련에 참여한 재직자의 ‘직무만족도, 취업의 안전성,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직무만족도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전체 5.0%), 영향력은 중소기업(3.9%)보다 대기업(7.6%)이 더 컸다. 다섯째,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을 활용하여 직업훈련의 장기적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 초기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기적으로도 임금수준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고용 결정요인

        문영만,김종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2006년~2015년)를 병합하여 기업규모별 상용직 고용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상용직 고용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 영업이익률, 매출액, 연구개발 집중도 변수는 고용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반면, 외주가공비, 자본집약도 변수는 고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인건비 변수는 임금이 상승한 연도에는 고용을 감소시키지만, 그 다음해에는 상용직 고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규모(중소기업/대기업)와 산업(제조업/비제조업)을 구분하여 상용직 고용 결정요인 추정한 결과, 노동소득분배율 변수는 모든 모형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노동소득분배율이 높을수록 고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용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비제조업은 중소기업과 대기업간의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제조업에서는 대기업이 높았다. 외주가공비 변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주가공비가 증가할수록 고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고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대기업이 더 높았다. 따라서 기업차원의 상용직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 노동소득분배율, 영업이익률, 매출액, 연구개발투자 등에 대한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규모와 산업유형에 따라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만큼, 이를 고려하여 각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of regular workers by firm size by merging statistical office survey(2006~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labor income distribution, operating profit, sales, and R & D variables significantly increase employment, while the outsourcing cost, wage, capital intensity, and temporary employment decrease. However, wage variables of firms with minimum w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for regular workers by firm size, the variables of labor income distribution as a key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ly on SMEs, and the outsourcing cost ratio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both SMEs and large corporations.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employment decision factors of SMEs and large enterprises by industry classification, both labor share(+) and outsourcing expense(-) are significant only in manufacturing industry, The higher the distribution ratio, the higher the employment rate, and the higher the cost of outsourcing, the lower the employment of regular workers. Employment impacts were greater for both S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ies on labor income distribution, operating profit, sales, R & D investment, etc., which are analyzed as having a positive influence in order to constantly employ regular job positions at the enterprise level. As the impact on employment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industry and type of industry, it is necessary to adopt a job policy for each characteristic.

      • 무용동작유형별 피드백제공방식에 따른 동작수행 및 학습효과

        문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 2003 예술논총 Vol.6 No.-

        본 연구는 무용동작 학습시, 피드백 정보의 제공방식이 동작의 특성에 따라, 즉 무용동작의 주요한 두 특성인 기술적 동작과 표현적 동작에 따라 수행과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무용학습의 주요변인인 정보제공 문제와 관련된 경험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무용학 연구 영역에서 다소 미진한 과학적 접근, 구체적으로는 무용학습 이론의 잠정적 가설에 현장연구를 통한 해답을 제공하여 무용심리학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이차적 목적을 지닌다. 그리하여 응용적으로는 무용학습 현장(학교 및 직업단체의 훈련과정)에서, 특히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훈련시스템이 요구되는 발레연습 과정 내에 포함된 일련의 동작 습득에 있어서 교사 또는 지도자로 하여금 학습자의 기술수준에 따른 적정한 동작 제시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하여 단계적이고 효과적인 학습과 공연상황에서의 절정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데 그 연구목적을 둔다. 실험집단은 동작유형과 피드백 정보 제공방식에 따라 언어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A), 언어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B), 시각적 피드백-기술동작 집단(집단C),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표현동작 집단(집단D)의 네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통계적 수준에서 수행점수는 기술동작의 평균이 M=6.6이었고, 표현동작의 평균이 M=6.1로 차이를 보였고, 검사에 따른 변화는 사전검사(M=5.5), 사후검사(M=6.8)로 나타나 수행 후기에 점수의 변화가 컸으며, 제공방식에 따른 수행점수의 변화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이(M=7.4) 가장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다음은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M=6.5), 언어적 피드백을 제공한 기술동작 집단(M=5.8), 그리고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한 표현동작 집단 (M=5.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대한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시사하는 결과로서, 기술 동작의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오차수정을 위한 시각적 피드백이 유의미한 수행점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표현동작의 경우는 그 동작이 요구하는 질적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언어적 오차수정이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기준벙보 제시방법과 동작 유형과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를 지지하면서(김윤진, 1996), 기준정보와 피드백 정보와의 관련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문영 1998, 2000, 2001 : 박금자, 문 영, 1998).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유형에 따른 변화, 구체적으로 언어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 제공에 따른 무용동작 유형별 수행점수 변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사후 동작수행점수에 대한 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검사에 따른 주효과가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검사에 따른 주효과는 피드백 제공방식과 동작 유형의 학습효과를 의미하는 연구로, 상기의 결과가 무용학습 현장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quisition of dance movement skill through experimenting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information mode and movement type. Forty ballet dancers were required to practice ballet enchainement movements(battement tendu-adagio-grand battement-petit jete-grand jete) task in four different practice condition (visu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erbal feedback+technical movement, visu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verbal feedback+expressive movement) during ten day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2(feedback mode) × 2(movement type) × 2(test)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est. Pre-Post test performance scores was analyzed with thre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ain effects of feedback mod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main effect of movement type was not significant. 2) The main effect test was significant. 3) The interactive effects of feedback mode, movement type and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concluded to suggest that verbal feedback information for expressive movement and visual feedback information for technical movement have significant on dancers' acquisition of skill and thus, on dance performance; the using feedback information method is a factor to effective dance learning.

      • KCI등재

        청년 재직자 직업훈련의 기업규모별 노동시장 성과(임금·직무만족도·장기근속)

        문영만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1

        First, the participation rate of vocational training was three times lower in SMEs (5.1%) than in large enterprises (18.3%). Secon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vocational training participation, large companies, high education, high wages, regular workers, union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white colla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wage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both SMEs (2.2%) and large enterprises (2.2%) had a positive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job satisfaction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the influence was greate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5.4%) than large enterprises (5.0%). Fif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longevity effect of vocational training, 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fter 2 years of vocational training (t-2, t-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2011-2020)’과 ‘인적자본기업패널(2020)’자료를 사용하여 청년 재직자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 참여율과 1인당 훈련비용은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3배 이상 낮았으며, 대·중소기업 간의 직업훈련 참여율 격차는 청년 재직자(13.3%p)가 전체 노동자(11.5%p)보다 더 컸다. 둘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청년 재직자의 직업훈련 참여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대기업, 고학력, 고임금, 정규직, 노조원, 직무만족도, 화이트칼라 등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임금효과를 추정한 결과, 중소기업(2.2%)과 대기업(2.2%)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패널회귀분석을 통해 직업훈련의 직무만족도 효과를 추정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영향력은 중소기업(5.4%)이 대기업(5.0%)보다 컸다. 다섯째, 직업훈련을 받은 청년 재직자의 이직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직업훈련의 장기근속 효과를 추정한 결과 직업훈련 2년 이후(t-2, t-3)부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청년 재직자의 직업훈련이 기업의 생산성과 노동자들의 근로조건(임금, 직무만족도, 이직률, 장기근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

        문영만 한국지역고용학회 2018 지역고용노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청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 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고용률은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5%p정도 높았 으며, 이러한 격차는 지난 16년 간(2000~2016) 지속되었다. 대졸이상 청년층의 임금수준은 수도권 취업자가 비수도권에 비해 월평균 29만 원 정도 높았다. 둘째, 비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한 청년 중에서 수도권 기업에 취업한 2차 유출비중은 25%였으며, 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하고 비수도권 지역에 취업한 비중은 7%에 불과했다. 비수도권 유출자의 67.1%가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고학력 청년들이었으며, 유출비중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청년취업자의 전반적인 직장만족도는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러 한 만족도 차이는 지난 6년 동안(2009~2014) 지속되었다. 이는 직장만족도의 경우 임금뿐만 아니라 일의 내용,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인관관계, 인사고과의 공정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주거환경 등 생활만족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수도권 취업자의 임금수준 이 높다고 하더라도 가족과 떨어져서 혼자 생활하는데서 오는 생활만족도 하락 등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청년의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공인 영어성적 이 높을수록, 인턴 및 직무경험이 있는 청년일수록 수도권으로의 유출가능성이 높았다. 다섯째, 비 수도권 청년들의 취업지역에 따른 임금격차 및 대기업·정규직 취업효과를 추정한 결과, 임금격차의 경우 수도권지역이 6.5%정도 높았으며, 취업효과 또한 대졸이상 학력에서 수도권이 1.5배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방 청년들의 2차 유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간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들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대기업, 정규직)를 비수도권 지역에 유치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bined Youth Panel Data(2009~2014) to analyze the labor market gap of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gener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was higher by 5%p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gap has continued for the last 16 years (2000~2016). In the case of the wage level of highly educated youth of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the wage of metropolitan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employees by about 290,000 won per month. Second,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ary outflow percentage who got a job in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25% and percentage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ot a job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only 7%. 67.1% of those who leaked into the non-metropolitan area were highly educated young peopl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and outflow percentage was steadily increasing over time. Thir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youth employe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difference in satisfaction has continued for the last 6 years (2009~2014). Fourth,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peopl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men, those with higher qualified English grades and young people with internship and work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leak into the metropolitan area. Fifth, wage effects and large company·regular permanent position employ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were estimated and as a result, wage effects of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o be higher by 6.5% and employment effects to be 1.5 times higher only in college graduates or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regions and attract decent jobs preferred by young people large companies, regular permanent position) in the region.

      • 광고경품복권 추첨시스템 멀티미디어콘텐츠 비즈니스모델에 관한 연구

        문영만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첨단기술연구소 2004 尖端技術硏究所論文集 Vol.15 No.1

        The research according to this initiated invention is to investigate the lottery system for advertisement premiums using the date information on the calendar in order to hold a lottery with a roulette game method using the date information on the calendar includ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or advertisement in the prescribed enterprises with the partnerships or in the institutions. The calendar roulette game server of this research invention is to supply the calendar includ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or advertisement that can participate in the instants, an instant lottery, at the customers' requ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