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BALB/c 마우스를 이용한 방사선섬유증 모델 확립

        류승희(Seung-Hee Ryu)ㆍ이상욱(Sang-Wook Lee)ㆍ문수영(Soo Young Moon)ㆍ오정윤(Jeong-Yoon Oh)ㆍ양연주(Youn-Joo Yang)ㆍ박진홍(Jin-Hong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8 No.1

        목 적: 항암요법에 의한 부작용 중 방사선섬유증(radiation fibrosis)은 방사선치료 후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발생빈도 및 심각성에 비해 치료법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섬유증의 기전 연구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방사선섬 유증 동물모델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마우스의 대퇴부에 20 Gy의 방사선을 1주 간격으로 2회 조사한 후 날짜 별로 육안적 평가와 haematoxylin& eosin (H&E) 및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부조직 수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틀을 이용하여 양쪽 하지의 길이 차이를 측정하였고, 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의 발현 정도를 면역조직염색 및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측정하였다.결 과: 본 연구에서 20 Gy씩 2회의 방사선조사를 시행하고 14, 28, 42, 97일 후 양측 하지의 수축도를 비교한 결과42일 이후에 유의한 길이 차이가 나타났고 조직검사 결과 방사선이 조사된 피부 및 연부조직에서 아교질(collagen)과 세포외바탕질(extracellular matrix) 섬유가 불규칙한 배열을 나타내었으며 근육섬유모세포(myofibroblast)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TGF-β 발현 정도를 면역염색으로 조사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중합효소연쇄반응상 mRNA 발현량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결 론: BALB/c 마우스의 대퇴부에 20 Gy의 방사선을 2회 조사하였을 때 방사선섬유증과 관련된 주요 인자인 TGF-β의 발현량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관적으로도 뚜렷한 방사선섬유증이 관찰되어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효과적인 동물모델계로 사료된다. Purpose: Although radiation-induced fibrosis is one of the common sequelae occurring after irradiation of skin and soft tissues, the treatment methods are not well standardized.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skin fibrosis mouse model by fractionated radiation for the further mechanism studies or testing the efficacy of therapeutic candidates. Materials and Methods: The right hind limbs of BALB/c mice received two fractions of 20 Gy using a therapeutic linear accelerator. Early skin damages were scored and tissue fibrosis was assessed by the measurement of a leg extension. Morphological changes were assessed by H&E staining and by Masson’s Trichrome staining. TGF-β1 expression from soft tissues was also detect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PCR. Results: Two fractions of 20 Gy irradiation were demonstrated as being enough to induce early skin damage effects such as erythema, mild skin dryness, dry and wet desquamation within several weeks of radiation. After 13 weeks of irradiation, the average radiation-induced leg contraction was 11.1±6.2 mm. Morphologic changes in irradiated skin biopsies exhibited disorganized collagen and extracellular matrix fibers, as well as the accumulation of myofibroblasts compared to the non-irradiated skin. Moreover, TGF-β1 expression in tissue was increased by radi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two fractions of 20 Gy irradiation can induce skin fibrosis in BALB/c mice accompanied by other common characteristics of skin damages. This animal model can be a useful tool for studying skin fibrosis induced by radiation.

      • KCI등재

        일회 방사선조사를 이용한 마우스 구강점막염 모델의 확립

        류승희(Seung-Hee Ryu),문수영(Seung-Hee Ryu),최은경(Eun Kyung Choi),김종훈(Jong Hoon Kim),안승도(Seung Do Ahn),송시열(Si Yeol Song),박진홍(Jin-hong Park),노영주(Young Ju Noh),이상욱(Sang-wook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4

        목 적: 두경부 영역에 대한 방사선치료 시 발생하는 구강점막염은 방사선치료로 유발되는 급성 합병증 중에서 가 장 심각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방사선 구강점막염 모델을 확립하고 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실험에는 7∼8주령의 20 g 내외의 웅성 BALB/c 마우스 55마리를 사용하였다. 1주일간 순화 후 대조군 5마리를 제외하고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3군으로 나누고 마우스의 두경부에 각각 16, 18, 20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체중을 매일 측정하고 생존 유무를 관찰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1, 2, 3, 5, 7, 9, 14일째 마우스를 경추탈골사 한 후 설조직을 채취하고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으로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 과: 방사선조사군의 경우 5일 이후 급격한 체중감소를 나타내었고 18 Gy와 20 Gy군에서 마우스가 사망하였다. 16 Gy군에서는 5일부터 9일까지는 평균 체중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회복되었다.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방 사선조사 후 시간경과에 따라 상피층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편평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7일과 9일째에 가장 심각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평균 113.50±2.41μm이던 상피층 두께가 방사선조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그 두께가 감소하였으며 7일째에는 43.9% 감소한 63.70±3.28μm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p<0.0001). 14일째에는 121.00±2.82μm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BALB/c 마우스에서 방사선조사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관찰 할 수 있는 적절한 방사선 선량은 16 Gy였다. 또한 구강 내 상피조직의 현저한 손상은 방사선조사 후 7일과 9일째 관찰할 수 있었고 9일째에는 심각한 궤양화가 나타났다. 18 Gy와 20 Gy 조사 후 9일과 10일째에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지만 16 Gy 조사군에서는 14일째 조직 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Purpose: Oral mucositis induced by radiotherapy to the head and neck area, is a common acute complication and is considered as the most severe symptom for cancer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of treatment. This study was proposed to establish the oral mucositis mouse model induced by a single dose of radiation for the facility of testing therapeutic candidates which can be used for the oral mucositis treatments. Materials and Methods: Fifty-fiv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16 Gy, 18 Gy, and 20 Gy. Oral mucositis was induced by a single dose of radiation to the head and neck using 6 MV x-Ray from linear accelerator. After irradiation, body weight and physical abnormalities were checked daily. Tongue tissues from all groups were taken on days 1, 2, 3, 5, 7, 9, and 14, respectively and H&E staining was conducted to examine morphological changes. Results: Body weight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day 5 in all irradiated mice. In the 16 Gy treatment group, body weight was recovered on day 14. The histology data showed that the thickness of the epithelial cell layer was decreased by the accumulated time after radiation treatment, up to day 9. Severe ulceration was revealed on day 9. Conclusion: A single dose of 16 Gy is sufficient dose to induce oral mucositis in Balb/C mice.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Balb/C mice on days 7 and 9 after radiation. It is suggested that this mouse model might be a useful standard tool for studying oral mucositis induced by rad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