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엔트리와 센서보드를 이용한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수업 설계 평가

        문성윤(Sung-Yun Mun),이혁수(Hyuk Soo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소프트웨어 교육의 일환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교 정규교과에 도입된다.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고 엔트리와 엔트리용 센서보드를 활용한 5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전・후에 문제해결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감마파와 뇌파집중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업 성취도가 우수한 그룹의 학생들은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감마파와 집중지표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고, 학업 성취도가 우수하지 못한 그룹의 학생들은 감마파와 집중지표의 변화에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학업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r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gramming education is introduced into the elementary school regular curriculum as part of the software education.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ethods can be presen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ogramming education on th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is paper,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a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for five times of implementation using the entry and the sensor board for the entry, and classes to which it was applied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a problem-solving test tool was us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changes in Gamma waves and EEG concentration indicators. As a result, the gamma waves and the concentration indices of the students in the group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showed a tendency to be improved through the programming lessons, and those of the students in the group with poor academic achievement showed no such tendency. Through this, the necessity of the level-specific programming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academic abilities was suggested.

      • KCI등재

        복합문제해결력 연구 동향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문성윤(Seong Yun Mun),송기상(Ki-Sang S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Complex Problem Solving (CPS) skills is emphasized for the necessary capability of future workforc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how to develop such abilities in school education periods. Therefore, we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CPS by mean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NA). For this, overseas academic articles were selected and key words registered by authors were extracted by using Google Scholar and RISS, and then a keyword network was constructed with respect to key words appearing on the articles simultaneously.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hesion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searches on complex problem solving were carried out in the form of game-based learning that measures and evaluates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game-like computer simulation such as “Genetics Lab” and “MicroDY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complex problem solving abilities can be trained at the school education period through the block-based coding education in software curriculum based o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 창의력 신장을 위한 코딩 교육에 관한 실태 연구

        정상목(Sang-Mok Jeong),신수범(Soo-Bum Shin),임택균(Taek-Kyun Yim),문성윤(Seong-Yun Mun),전인성(In-Seong Jeo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9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5

        창의는 새로운 아이디어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과정을 중시하며 창조보다 넓은 범위를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컴퓨터교육에서 문제해결력과 더불어 창의는 매우 중요한 키워드이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교육관련 논문수를 검색한 후 ‘창의’를 키워드로 재검색하여 ‘창의력’ 또는 ‘창의성’과 관련된 그 논문수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재검색한 검색결과를 분석하여 컴퓨터교육에서 어떤 교과목이 창의와 관련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과교육(정책)을 제외하면 창의력은 피지컬컴퓨팅, 코딩교육(SW교육)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코딩교육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다루는 교과이고 과정 과정마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므로 창의력을 신장하는데 큰 역할을 하지 않을까하는 연구자의 의도된 생각이 들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창의력 신장이 코딩교과목에 편중되어 마치 코딩교육을 하면 창의력을 높일 수 있다는 편견을 가질 수 있는 위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교과목에서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