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과 노스탤지어 관광

        이완구(Lee, Wan-Goo),문나영(Mun, Na-Young),정철(Jeong, Chul)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8 觀光硏究論叢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 관광상황에서의 친숙성-신기성 연속체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 2) 국내(남한) 잠재 관광객의 북한에 대한 노스탤지어가 친숙성-신기성 패러다임에 대한 반증 사례가 될 수 있는지 논의한 뒤, 3) 북한 관광에 있어서 친숙성, 노스탤지어 및 신기성에 대한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해보는 데에 있다.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논거를 토대로, 6개의 가설을 포함한 연구 모델이 도출되었다. 연구 모델은 총 200명의 국내(남한) 잠재 관광객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검정하였다. 탐색요인분석 결과북한관광에 대한 신기성추구는“새로움 추구”와“놀라움/스릴추구”의 두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친숙성은 역사적 노스탤지어와 개인적 노스탤지어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역사적 노스탤지어는 “새로움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놀라움/스릴 추구”에는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개인적 노스탤지어는 놀라움/스릴 추구와는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보였으나, “새로움 추구”에는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친숙성 및 신기성 추구 영향관계에 있어서 개인적 및 역사적 노스탤지어의 매개 효과 검정결과, 역사적 노스탤지어가 친숙성과 “새로움 추구”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으며, 개인적 노스탤지어는 친숙성과 “놀라움/스릴추구”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노스탤지어 관광의 맥락에서 친숙성과 신기성이 양립하며 긍정적인 상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개념적 틀과함께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has three research objectives: 1) to critically discuss the current novelty-familiarity continuum paradigm, 2) to see if the context of South Koreans’ nostalgia toward North Korea can be a counterargument case for the novelty-familiarity continuum, and lastly, 3)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iarity, nostalgia and novelty seeking the tourism in North Korea.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six hypotheses and a research model were derived. The model was tested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200 South Koreans. EFA revealed two factors of novelty seeking as tourism motive, which are “new experience seeking” and “surprising/thrilling experience seek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amiliarity affects positively both historical nostalgia and personal nostalgia. It further revealed that historical nostalgia positively affects “new experience” dimension of novelty seeking while does not affect significantly “surprising/thrilling experience” dimension of novelty seeking and personal nostalgia positively affects “surprising/thrilling experience” dimension of novelty seeking whereas it does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new experience” of novelty seeking. As results of bootstrap test, it was revealed that historical nostalgia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and “new experience” dimension of novelty seeking whereas personal nostalgia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arity and “surprising/thrilling experience” dimension of novelty seeking. In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would introduce the context that novelty and familiarity not only coexist but also positively correlate. We also suggested a conceptual framework of novelty-familiarity coexistence in nostalgia tourism to guide future research.

      • COPOLYMERIZATION OF PHENYL GLYCIDYL ETHER WITH CARBON DIOXIDE CATALYZED BY IONIC LIQUIDS

        Mun, Na-Young,Ju, Hye-Young,Lee, Eun-Ha,Kim, Kyung-Hoon,Park, Dae-Won,Kim, Il 한국공업화학회 2005 응용화학 Vol.9 No.1

        The copolymerization of phenyl glycidyl ether (PGE) and carbon dioxide was performed without any solvent in the presence of ionic liquid as catalyst.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in a batch autoclave reactor. The carbonate content of phenyl glycidyl ether was affected by the structure of imidazolium salt ionic liquid; the one with the cation of bulkier alkyl chain length and with more nucleophilic anion showed better reactivity. However, the yield of carbon dioxide addition decreased when hexyl containing ionic liquids are used in place of butyl group in 1-alkyl-3-methyl imidazolium salts. The carbonate content and turnover number (TON) of the polycarbonate increased as the reaction temperature increased from 40 to 80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