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泰安 馬島 4號船 出水 遺物을 통해 본 朝鮮 初 漕卒의 船上 生活

        문경호(Mun, Gyungho)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6 島嶼文化 Vol.0 No.48

        태안 마도 4호선은 15세기 초 태종 시기에 나주 지역의 조세를 싣고 한양으로 향하다가 안흥량이라 불리던 태안 앞바다에서 침몰한 조운선이다. 태안 마도 4호선은 지금까지 출수된 선박 중 최초의 조선시대 선박이라는 점, 그리고 명확한 조운선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글에서는 15세기 초에 태안 마도 해역에서 침몰한 마도 4호선이 운항하던 시기의 조운상황과 배와 함께 출수된 선상 용품들을 중심으로 당시의 漕卒들이 어떤 생활을 했는지 추정하였다. 그 중 중요한 몇 가지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도 4호선의 출발지는 처음에 알려진 것처럼 나주 영산창이 아니라 진포 또는 덕성창 일대였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선체와 함께 출수된 수저, 젓가락, 패랭이와 짚신, 참빗과 얼레빗은 조졸들이 사용하던 물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투석칸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모두 원통목들이 자리 잡고 있어 선체 안에는 조졸들이 쉬거나 숙박할 공간이 없었다. 따라서 조졸들은 항해 기간 내내 배 위의 뜸집에서 숙식을 해결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투석칸에서는 철제 솥, 숟가락, 젓가락 등의 주방용품이 출수되었는데, 이 중 철제 솥은 약 10인 분 정도의 밥을 지을 수 있는 크기였다. 이를 통해 볼 때 이 배에 승선한 조졸은 약 10명 내외였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describes scenes of the shipboard lives of ‘Jojol(漕卒, grain carrier sailor)’ based on relics retrieved from the Taean Mado Shipwreck No.4 in 2015. This shipwreck is a grain carrier that sunk around Mado island near Taean while it was sailing from the estuary of Geum River to the Gwangheungchang (warehouse) in Hanyang City carrying grain shipped in Naju District. The Taean Mado Shipwreck No.4 has importance in that it is the first ship from the Joseon Period to be discovered and also the first confirmed grain carrier in history. Many relics, such as a bamboo braid hat presumed to have been worn by the sailors, an iron pot, spade and chopsticks, kitchen ware and a ceramic jar containing salted fish, were found in the shipwreck. These relics form important data as they make it possible to envision the lives of grain carrier sailors during navigation. First, the bamboo braid hat, which seems to have been worn on the head of a sailor, is identical to hats that were used frequently by sailors from the Goryeo Dynasty till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Period. Hats like the bamboo braid hat must have been essential to avoid the sunlight and create some shade out at sea. The iron pot retrieved from the kitchen section in the middle of the hull was about 7.92 liters, which was a proper size for cooking rice for about 10 people, given that many records have shown us that an adult man in the Joseon Period ate about 1.2 liters of rice each meal. It seems that the sailors who boarded the grain carrier ate 0.9 liter of rice each meal and 1.8 liters per day. While many chopsticks were present, no spoons were found except the spoon used as a rice paddle. Without a problem, this can be interpreted as revealing the social and economic level of the grain carrier sailors at that time. It is not clear whether the yellow corvine inside the ceramic jar and the fish like sea-bream were side dishes for the sailors or gifts meant for people in Hanyang City. But it is believed that at least one of them was a side dish for the sailors, given that Goryeo people consumed salted fish frequently as described in Goryeodogyeong(高麗圖經) written by Suh-Geung. Space suitable for sleeping was not found in the hull of the Taean Mado Shipwreck No.4. The vessel was shaped for shipping taxation grain in all compartments excluding the kitchen section in the middl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ailors sheltered from rain and wind under the installed makeshift pavilion. The job of grain carrier sailor was not popular because the work was hard and dangerous. The route taken to Hanyang City must had been very winding as they struggled against the unexpected sea.

      • 『신미통신일록(辛未通信日録)』의 특징과 역사적 가치

        문경호(Mun, Gyungho)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1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1 No.1

        『辛未通信日録』은 1811년에 金履喬가 通信正使로 일본에 다녀와 남긴 기록이다. 본래대로라면 김이교 일행은 에도까지 가서 쇼군을 만나고 돌아와야 했으나, 어려운 국내외 여건을 고려하여 대마도에서 ‘易地通信’이라는 형태로 통신의례를 시행하고 돌아왔다. 신미통신사로 다녀온 인물들이 남긴 자료는 『신미통신일록』을 비롯하여 柳相弼의 『東槎録』, 金善臣의 『清山島遊錄』, 李明五의 「辛未海行錄」, 대마도에서 제작된 「朝鮮人來朝行列記」 등 여러 편이 있다. 각각 서로 다른 특징이 있지만 조선 측 기록들은 대개 개인적인 감회를 담은 일기와 시가 주요 내용을 이루고 있는 반면, 일본에서 제작된 자료들은 회화적인 성격이 강하다. 그 중에서도 『신미통신일록』은 앞서 제작된 통신사 기록과 유사한 면도 있지만 비변사, 호조, 감영, 수영 등의 관청이 서로 주고 받은 공문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한국과 일본에 남아있는 신미통신사와 관련된 자료들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는 한편, 『신미통신일록』이 갖는 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양한 평가가 가능하겠지만 크게 역지통신의 성립 이해, 육로 이통 과정의 구체적 일정 파악, 선박의 상장 구조에 대한 정보 수록, 통신사 파견에 필요한 재정 확보라는 관점 등에 초점을 맞추어 의미를 제시하였다. 『신미통신일록』은 종전에 소개된 개인적 차원에서 제작된 기록과 국가에서 외교문서를 집성한 『통신사등록』의 중간적 성격을 갖는 자료이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 규명하지 못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려 말 漕轉城의 등장과 溏城倉

        문경호(Mun, Gyungho) 호서사학회 2022 역사와 담론 Vol.- No.101

        이 글에서는 1391년(공양왕 3) 아산만 남쪽 해안에 설치된 당성창의 구체적 위치와 입지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당성창은 용안성, 영산성과 함께 설치된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대표적인 漕轉城이다. 그 중에서도 당성창은 『고려사』에 수록된 유일한 조전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아직 당성의 구체적인 위치나 규모, 역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고려사』 ‘신창현’에 등장하는 조전성의 구체적인 위치를 추정하고, 溏城倉址에 해당하는 성곽의 특징과 주변경관을 복원함으로써 당시 조전성이 어떤 지리적인 조건을 갖춘 곳에 설치되었는지 살피려 하였다. 지형과 지명, 다른 조전성과의 위치 등을 비교하면 당성창은 현재의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군덕리의 구릉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군덕리 일대는 아산만 방조제가 축조되기 전까지 바닷물이 드나들었던 곳이며, 성이 있었던 곳에는 아직까지도 성터라는 지명이 남아있다. 바로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오고, 왼쪽으로는 도고천이 흘러 내려와 삽교천에 합쳐진다는 점에서 조창이 들어설 수 있는 조건이 잘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곳은 몽골 침입기에 아산의 주민들이 피난했다는 선장도와도 인접한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왜구 침입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당성창은 조선 건국 이후 왜구침입이 줄어들고, 조창이 좀 더 하류인 범근내창으로 이전하면서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충남 북부 지역 아산만 일대의 조창은 당성창 → 범근내창 → 아산 공세창으로 이전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specific location and surrounding of Dangseongchang installed at the southern shore of Asan Bay on 1391 (King Gongyang 3). Dangseongchang is a typical Jojeonseong certainly unknown for its era of installing including Ong-anseong and Yeongsanseong as well. Out of them, Dangseongchang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was a unique Jojeonseong recorded in Goryo"s history. But, the specific point, scale and role of Dangseong were not known yet. In consideration of such reality, this article tried to estimate the specific point of Jojeonseong appeared at "Shinchang-hyun" in Goryo History and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Jojeonseong at that time by restoring the features of the castle and landscape surrounding the site of Dangseongchang. Comparing the terrain, geographical name and the point of Jojeonseong shows that Dangseongchang was highly likely built on the hill at current Gunduk-ri, Seonchang-myeon, Asan City, Chungchangnam-do. Proximities of Gunduk-ri was the point of ebb and tide before building the water break at Asan Bay, and the geographical name of castle site was remained still on the site where the castle had been placed. It can be said that the conditions of the Jojeonchang were well estalished in the point that the sea water surged at near and Dogo River flows to the left to merge to Sapgo River. In addition, the point is believed as same area with Sunchang-do where the residents of Asan evacuated at the invasion of Mongolia. Dangseongchang which played an instrumental role at Japanese invasion seemed to lose its function while Japanese invasion was reduced and Jochang moved to the farther lower stream Beomgeunnaechang. Accordingly, it can be summarized that Jochang at the proximities of Asan Bay in northern Chungnam moved to Dangseongchang → Beomgeunnaechang → Gongsechang, Asan.

      • KCI등재

        안흥량과 굴포운하 유적 관련 지명 검토

        문경호(Mun, Gyungho)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4 島嶼文化 Vol.0 No.43

        고려로부터 시작된 조운제도는 조선에 이르기까지 국가 재정의 근간이 된 중요한 물류시스템이었다. 남쪽으로 경상도 남해안에서부터 북쪽으로 황해도 서해안까지, 지방에서 거둔 조세와 공물은 대부분 조운을 통해 수도에 이르렀다. 그러나 서․남해안에는 도처에 위험지대가 도사리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뱃사람들에게 가장 위협적인 구간은 태안반도의 안흥량이었다. 최근 몇 년간 태안의 마도 앞바다에서 출토된 여러 척의 고선박과 도자기, 닻돌 등의 유물은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많은 선박들이 침몰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안흥량을 지나는 조운선이 연이어 패몰하여 세곡과 인명의 피해가 커지자 정부는 이를 피하기 위해 천수만에서 가로림만 사이를 굴착하는 공사를 여러 차례 시도하였다. 그러나 운하를 파서 위험 지대를 피하려던 시도는 지형과 암반에 막혀 번번이 실패하였다. 그러한 시도의 흔적은 지금까지도 굴포운하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본고에서는 뱃사람들의 공포의 대상이었던 안흥량 구간이 구체적으로 어느 곳이었는가에 대해 살피고, 그 대안으로 시도되었던 굴포운하 시공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또한 시기별로 운하 건설을 시도한 구간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역사서에 기록된 옛 지명들을 분석하여 고증하려 하였다. The Tax Shipping System from Goryeo period was an important logistics system as the foundation of national finances until Joseon dynasty. Most tax collection and tributes were reached to the capital city through the Shipping System from the south coast of Gyeongsang-do and the west coast of Hwanghae-do form north. Nonetheless, there were various risky areas in the middle area. The most hazardous zone for the sailors was Anheung Headland. Recently many old ships, potteries and anchor rocks were excavated in this area. It means how many ships were wrecked in this area from Goryeo period to Joseon dynasty. When the taxation and perusal victims became greater at the tax transportation ship at Anheung Headland, the government attempted to drill works between Cheonsuman and Garorimman several times. However, the attempt to avoid the risk area by means of canal was thwarted because of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bedrocks. But, traces of such attempt remained still under the name of Gulpo canal.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ecific zone of horrible, Anheung Headland and sorted out the installation history of Gulpo canal as an alternativ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old place names in the history books to clarify the zone of canal construction by period.

      • KCI등재

        『漕行日錄』을 통해 본 朝鮮 後期 聖堂倉의 漕運路와 漕運船 護送 實態

        문경호(Mun, Gyungho)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7 島嶼文化 Vol.0 No.49

        조운제도에 관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조창과 시기별 조운제도의 변화 등에 관한 연구도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조운제도가 실제적으로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당시 조운에 관한 법규가 어떻게 적용되고 있었는지 등 실질적인 면에서의 연구는 진행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지금까지 남아있는 자료들의 상당수가 『朝鮮王朝實錄』이나 『備邊司謄錄』, 『承政院日記』, 『各司謄錄』과 같은 관찬 자료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863년에 제작된 임교진의 『漕行日錄』과 1875년에 제작된 『乙亥漕行錄』을 토대로 성당창으로부터 경창까지 운항한 기록을 통해 당시의 조운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조운은 국가 경제의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므로 조운로와 護送, 납세 기간 등에 관한 규정이 매우 정밀하게 마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바닷길의 운항은 예기치 못한 일기변화와 불의의 사고 등으로 정해진 대로만 운항하기는 어려웠다. 이에 뱃길을 잘 아는 사공들이 출항시기와 정박지, 운항 구간 등을 설정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호송은 연안에 위치한 군현들이 자신들의 구역을 지날 때 護送吏와 軍校를 보내 시작 지점부터 끝 지점까지 호송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형식적으로 시행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호송을 맡은 호송리들은 길 안내 뿐만 아니라 영운관에게 식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관례였다. 영운관이 중간 경유지인 섬에 내리는 경우 섬의 주민들은 의무적으로 잠자리와 음식을 제공하였다. 조행일기와 같은 자료들이 계속 발굴․연구된다면 조운제도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모습들이 밝혀질 것이다. Studies on the changes of the tax warehouse and convoy system over time have been conducted, and the same holds for in-depth studies on the tax convoy system.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how the regulations and rules on tax convoy were put into practice.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data and materials left until today has been limited to government published documents like the chronicles, records of Bibyunsa, the diary of Seungjungwon and records of Gaksa. Accordingly, this paper looks into how the tax convoy operated practically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sailing records from Seongdangchang to Gyeongchang based on Im, Gyo-jin"s Chohaengilrok written in 1863 and Eulhae Chohaengrok written in 1875. The regulations on the tax convoy route, escort and tax payment terms were drawn up in detail because the tax convoy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operation of national economy. But navigating the seas along fixed routes was difficult due to unexpected weather changes and accidents. Therefore, sailors who knew the seaways very well had a big influence on deciding about the time of departure from the port, mooring place and sailing range. With regard to the escort, the principle was that the escort and military officials from the counties and prefectures along the shore convoyed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when the convoy passed their area. Nevertheless, in many cases this was done only informally. In addition, the escort officials used to provide food to the sailing officials and guide the routes. The residents in the islands were to provide accommodation and food when sailing officials landed on the islands along the route.

      • 1865년 公州·石城 지역의 漕運船 沈沒과 拯出

        문경호(Gyungho Mun) 해양사학회 2024 해양담론 Vol.2 No.-

        이 글에서는 『충청수영계록』에 기록된 1865년의 침몰 기사 중 공주와 석성에서 징수한 조운선이 침몰한 내역, 구호 조치, 배상 조치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1865년은 흥선대원군이 집권하고 3년차에 접어들던 시기로, 전정과 군정, 환곡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감행하던 시기였다. 이에 따라 전국에서 한성으로 올려보내는 세곡의 양이 늘어났으나 그 가운데에 침몰 사고도 빈번히 일어났다. 1865년 공주와 석성의 조운선 침몰 사건은 배치여라는 경강상인의 배를 임대하여 두 지역의 조세를 운송하는 도중, 침몰사고가 일어나자 그 과정을 조사하고, 결론짓는 내용들이 상세히 적혀있다. 그런 점에서 이 사건은 조선 후기 조운선의 침몰과 구조 작업, 침몰 조운선에 적재된 조세의 배상, 국가의 배려와 강력한 재징수 등의 과정을 잘 보여준다. 지금까지의 조운제 연구는 정해진 기일에 조세를 징수하고, 정해진 기한에 조세를 한양으로 운송하는 것이 비교적 잘 지켜지고 있다는 전제하에 당시 조운제도의 변화가 어떠했는지를 살피는 방향으로 진행된 바 있다. 그러나 1865년 11척의 조운선 침몰 사건을 통해 조운 시기가 아닌 때에도 조운선은 조세를 싣고 한성을 오가고 있었으며, 침몰 사건이 일어난 경우 충청 수사와 해당 지역의 수령 및 지방민들이 각종 구호 활동을 통해 가라앉은 곡식을 건져 올린 후 적정가격에 방매하는 형태로 부족분을 충당하였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조운선이 출발하기 전 뱃사람들의 식량이나 여유분의 쌀을 돈으로 바꾸어 운송한 사실도 확인하였다. 쌀값은 지역 또는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물론, 침몰한 선박에서 건져 올리지 못한 것은 해당 지역에 또다른 부담으로 전가되었음은 물론이다. 이 연구는 조선 시대 조운제도에 대한 미시적 접근 방식으로 논리를 전개한 면이 있다. 조선 시대 조운관련 자료가 비교적 많고, 정보도 충실한 편이므로 앞으로 유사한 연구가 지속되리라 생각된다. 그에 따라 조선시대 조운제도에 대한 연구자 및 시민들의 이해도 더 깊어질 것이라고 기대된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details of the sinking of the ship in 1865 recorded in the 『Report of the Chungcheong-do Navy(忠淸監營啓錄)』, relief measures, and compensation measures collected from Gongju and Seokseong. The year 1865 was the third year of Heungseon's reign, when the army undertook major reforms in the political system, military administration, and reconciliation. As a result, the amount of grain sent from all over the country to Hanseong increased, but sinking accidents occurred frequently. The sinking of the ship of Gongju and Seokseong in 1865 is described in detail as a result of the sinking accident while renting a ship of a Gyeonggang merchant named Bae Bae-yeo to transport levied-grain from the two regions. In this regard, this incident illustrates the process of the sinking and rescue operation of the sh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ompensation of the levied-grain loaded on the sunken ship, and the consideration and strong recollection of the state of the vessel. So far, research on the Joun system has been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Joun(漕運, levied-grain transportation) system at that time, on the premise that it is relatively well observed to collect levied-grain on a fixed date and transport the levied grain to Hanseong on a fixed date. However, through the sinking of 11 ships in 1865, it was discovered that the ships were traveling to and from Hanseong with taxes even outside of the Joun period, and that in the case of the sinking, the Chungcheong Susa, the local leaders, and the local people made up for the shortfall by salvaging the sunken grain through various relief activities and selling it at a reasonable price. Of course, the failure to salvage the sunken ship would have placed another burden on the region. This study develops the logic with a microscopic approach to the Joun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Joun system. Since there are relatively many materials related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 information is substantial, it is expected that similar research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researchers and citizens will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vied-grain transportation system during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