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을 것이-’ 구문(構文)의 양태(樣態)와 시제(時制) 해석(解釋)

        명정희(明廷姬) ( Myeong Jeong-hee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양태와 시제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범주이다. 이 글에서는 ‘-을 것이-’ 구문의 시제 통합 양상을 살펴보고 시제 통합에 따라 ‘-을 것이-’ 구문의 의미가 분화되는 양상을 논의하였다. 양태 구문에 선행하는 ‘-었-’은 사건시 과거를 나타내고 후행하는 ‘-었-’은 판단 시점의 과거를 나타낸다. ‘-을것이-’ 구문은 상대 시제로 해석되는 한편 ‘-었을 것이었-’의 통합형에서 선행하는 ‘-었-’이 반복되어 후행하는 ‘-었-’에 시제 기능이 없는 경우도 있다. 한편 양태 구문의 의미는 시제가 통합되는 양상에 따라 달라진다. ‘-을 것이-’ 구문에서 ‘-었-’이 선행할 때에는 [의도]나 [예정]은 해석되지 않고 [추측]의 의미만 해석된다. ‘-었-’이 선행할 때 [추측]으로만 해석이 제한되는 것은 반사실성이 추론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는 시제 어미의 통합양상에 양태 해석이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 relationship between tense and modality in modal construction focused on ‘-ul kesi-’ construction. Contrary to Modal endings in Korean, It is possible to have two prefinal endings of tense in modal constructions. Preceding endings of tense indicate an event time and following endings of tense express the evaluation time of modality. Also, there are some cases that following prefinal ending ‘-eoss-’ has no meaning of tense. Various meanings of modality in ‘-ul kesi-’ construction is restricted to the syntagmatic phenomenon of the prefinal ending ‘-eoss-’. If ‘-eoss-’ precedes ‘-ul kesi-’, the modal meaning of ‘-ul kesi-’ is interpeted as epistemic, not nonepistemic. When counterfactuality is inferred from ‘-ul kesi-’ construction which has ‘-eoss-’, the interpretation of ‘-ul kesi-’ is affected by the syntagmatic distribution of prefinal ending ‘-eoss-’ as well.

      • KCI등재

        접속어미 '-으면'의 의미와 시제 해석

        명정희(Jeong Hee Myeong)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principles of tense in a conjunct sentence of ``-eumyeon``. This study suggests that tense in a conjunct sentence is interpreted by the meanings of the connective ending ``-eumyeon``. This study divided the meaning of ``-eumyeon`` to ``condition`` and ``succession``. When ``-eumyeon`` is used as a succession ending, it can be characterized as facticity and genericity. When ``-eumyeon1`` connects two sentences, the ending of the tense will be attached to the following clause so the tense structure would be relative tense. On the other hand, ``-eumyeon2`` has a conditional meaning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as non-factive and specificity. Tense endings will be realized in not only following clause but the antecedent clause so it is an absolute tense. In conclusion syntax phenomenon should be interpreted using the semantics of endings.

      • KCI등재

        ‘-어도/-어야/-으면 좋-’ 구문의 논항 실현 양상과 양태 해석

        명정희 ( Myeong Jeong-hee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좋다’는 다의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경험주의 심리나 평가를 표현하기도 하고 대상의 속성을 기술하기도 한다. 이러한 ‘좋다’의 의미와 논항구조는 ‘좋다’ 양태 구문의 의미 해석에 영향을 미친다. 이 글에서는 다의성을 지닌 ‘좋다’가 결합하여 형성된 ‘-어도 좋-’, ‘-어야 좋-’, ‘-(었)으면 좋-’ 구문을 대상으로 ‘좋다’의 논항 실현 양상이 일반용언으로 쓰였을 때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고 ‘좋다’ 구문의 양태 해석을 설명하였다. ‘-어도 좋-’ 구문이 나타내는 ‘허가’의 의미는 ‘-어도’의 양보 의미와 심리형용사나 평가형용사로 쓰이는 ‘좋다’의 의미가 합성된 결과이다. ‘-어야 좋-’ 구문은 필수 조건의 의미와 심리·평가·성상 형용사 ‘좋다’의 의미가 결합하여 ‘선호’의 의미를 나타낸다. ‘-으면 좋-’ 구문이 표현하는 화자의 ‘소망’은 ‘-으면’이 가진 조건의 의미와 ‘좋다’의 의미 중 심리형용사로서의 의미가 결합할 때 도출된다. 이처럼 ‘좋다’ 구문은 어휘항목의 의미가 비교적 투명하게 해석되어 어휘항목의 의미와 통사구조에 근거하여 양태가 해석된다. 다만 ‘좋다’ 양태 구문에서 ‘좋다’의 논항은 표면에 실현되지 않고 맥락에 의해 해석되는 경우도 있어 일반용언 ‘좋다’의 논항 실현 양상과 다른 점도 보인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iscuss argument structures and interpretation of Korean adjective ‘joh-’ which is in modal constructions, such as ‘-eodo joh-’, ‘-eoya joh-’, ‘-eumyeon joh-’, and to analyze semantic composition of ‘joh-’ constructions as well. This paper also describes how the argument realization is changed especially when ‘joh-’ is expressed in the modal constructions. Korean adjective ‘joh-’, as a polysemy, is considered as follows: (ⅰ) psychological adjective which has arguments with an ‘experiencer’ and ‘stimulus’, (ⅱ) evaluative adjective which has arguments with a ‘theme’, a ‘goal’, and a ‘criterion’, and (ⅲ) state-property adjective having a ‘theme’ argument. The interpretation of ‘joh-’ constructions is affected by the argument structures of ‘joh-’. I proposed that the arguments of ‘joh-’ modal constructions can be realized covertly but can be interpreted depending on the context. ‘Joh-’ constructions, morphosyntactically transparent, let us probe deeper into the interior of deontic modal meanings such as ‘permission’, ‘preference’, and ‘wish’. In this paper, the ‘-eodo joh-’ construction is decomposed into a concessive coordinating ending and ‘joh-’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psychological/ evaluative adjective. Also the ‘-eoya joh-’ is analyzed as a conditional connective and a psychological/evaluative/state-property adjective. Lastly, ‘-eumyeon joh-’ is decomposed into a conditional connective and a psychological adjective.

      • KCI등재

        종결어미 ‘-다고’류의 양태 의미

        명정희(Myeong, Jeong-hee)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5 No.-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meanings of final endings "-dago", "-damyeonseo", "-dani", "-daji". Those final endings appear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s. They can be distinguished from general interrogative endings in terms of semantic aspect.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interrogative"s meaning is that speaker who has no knowledge about proposition wants to get information from hearer. But "-dago" endings have various modality meanings such as evidential modality, emotive modality. Modality can be interpreted in meaning of context. "-dago" ending has evidential meanings so it conveys meaning that speakers have some knowledge about proposition by hearing already. "-Dago" interrogative has function to confirm if the proposition is true or not. Moreover, we can infer speaker"s feeling about proposition.

      • KCI등재

        補助用言 構文의 統合 關係: 實驗 言語學的 接近-‘-고 말-’ 구문을 중심으로 -

        명정희(明廷姬) ( Myeong Jeong-hee ),구호정(具湖定) ( Koo Ho-j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2 No.1

        한국어 보조용언 구문은 두 개 이상이 통합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통합 관계에 대한 직관이 논자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많아 통합 관계를 논의하기 쉽지 않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고 말-’ 구문을 중심으로 보조용언 구문 통합 관계의 실재를 실험을 통해 확인한 후, 한국어 보조용언 구문의 통합 제약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모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고 말-’ 구문은 대체로 다른 보조용언 구문들과 통합할 때 후행하는 것이 선호되는데, ‘-을 수 있-’ 구문과 통합할 때에는 ‘-고 말-’ 구문이 선행하는 것이 선호되었다. 이는 ‘-고 말-’ 구문이 표현적 의미로 해석될 때 넓은 영향권을 가져 생기는 ‘후행성 제약’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편 ‘-고 말-’ 구문은 양태 구문 ‘-고 싶-’, ‘-어야 하-’와 진행상의 ‘-고 있-’ 구문과 통합할 때에는 순서에 따라 수용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수용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고 말-’ 구문의 ‘종결성 제약’으로 설명할 수 있다. In Korean,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can occur with two or more integrated constructions, leading to varying intuitions in scholars’ judgments of the acceptability of examples. This study examines the syntagmatic order of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focusing on the ‘-go mal-’ construction, and provides theoretical explanations for the integration constraints of Korean auxiliary verb constructions.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with native Korean speakers indicate a preference for the ‘-go mal-’ construction to be post-positioned when integrating it with other auxiliary constructions, whereas pre-posing is preferred when it is integrated with the ‘-eul su iss-’ construction. This preference can be explained by the “posteriority constraint” that arises when interpreting the ‘-go mal-’ construction in terms of expressive meaning. Conversely, the ‘-go mal-’ construction shows less sensitivity to order when integrated with modal constructions such as ‘-go sip-’ and ‘-eoya ha-’, and with the progressive aspect ‘-go iss-’, exhibiting low acceptability overall. This phenomenon arises from the ‘-go mal-’ construction presupposing a telic event,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termination constraint.”

      • KCI등재

        ‘뭐 그렇게’가 포함된 수사의문문의 의미 연구

        명정희 ( Myeong Jeong-hee ),백인영 ( Paik Inn-young ) 국어학회 2024 국어학 Vol.- No.110

        ‘뭐 그렇게’류 수사의문문은 단순 부정문, 감탄문, 당위 양태 구문 등이 쓰일 법한 상황에서 보다 특수한 표현 방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글은 일반 의문문과 구분되는 ‘뭐 그렇게’류 수사의문문에 주목하여, 그 구성적 특징 및 의미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맥락을 확인할 수 있는 구어 말뭉치 자료를 활용하여 ‘뭐 그렇게’류 수사의문문이 나타내는 다양한 의미 기능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적으로 살펴보았다. ‘뭐 그렇게’류 수사의문문은 기본적으로 ‘반기대’의 의미를 가지며 더 구체적으로는 [부정 단언]과 [감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감탄]은 다시 맥락에 따라 [놀라움], [불필요성],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rhetorical questions including ‘mwe kulehkey’ in Korean, by exploring their formal features and contexts of usage comprehensively. The ‘mwe kulehkey’ rhetorical question pattern serves as a distinct expression strategy in contexts suitable for simple negations, exclamations, or modal constructions. Through an analytical examination of colloquial corpora, where contextual cues are evident, we explore the nuanced semantic functions conveyed by the ‘mwe kulehkey’ rhetorical question pattern. Essentially, this construction embodies an essence of “anti-expectation” with its meaning bifurcated into [negative assertion] and [exclamation] contingent upon the speaker's underlying expectation. Furthermore, the [exclamation] facet encompasses nuances of [surprise], [unnecessariness], and [prohibition] contextualized within the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