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반성과 제언

        명법 ( Myeongbeop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6 No.1

        2002년 한일 월드컵 대회를 계기로 본격화된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은 1990년대 이래 한국 사회에서 발생한 세계화에 의해 추동된 대응 담론의 하나이다. 그것은 글로벌시대에 살아남기 위하여 한국정부에 의해 주도되는 세계화 기획에 발맞추어 조계종단에서 불교포교를 위해 기획된 것이다. 그러나 한국불교의 세계화라는 방향 못지않게 세계불교의 한국화도 존재한다. 1990년대 이래 세계 여러 불교전통이 유입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남아시아 불교전통과 티벳 불교전통의 유입이 두드러진다. 한국불교와 남아시아,티벳불교 사이의 직접 교류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발단은 서양에서 불었던 남방불교와 티벳불교의 열풍이므로 이 현상은 지역문화의 상호 교류라기보다 주류문화의 세계화로 해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들 지역불교의 세계 성은 서양에서 형성되고 세계화된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불교가 해외에 알려지게 된 계기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이지만 한국불교는 이민사회나 미국의 주류 사회에서 소수에 불과하다. 한인 이민사회에서 기독교가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한국불교는 주류사회에서의 불교 붐에 힘입어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재외한인에 대한 포교는 한국 인의 정체성 확립과 한국문화의 세계화, 그리고 한국 사회에 끼치는 이민자들의 종교적 사회적 영향력 때문에 소홀히 되어서는 안 된다. 서양의 주류사회에서 불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불교는 숭산 스님의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한국불교를 서양에 알리기 위해서는 1960년대의 한 사람의 카리스마에 의존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서양문화를 이해하고 그에 맞추어 한국불교를 변용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배타적이고 독선적인 태도를 지양하고 미국인 불교지도자들과 세계적인 문제들을 함께 해결하는 연대를 맺어 지속가능한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중에서 한국불전의 영역사업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 무엇보다 난해한 직역체에서 벗어나 서양인이 이해할 수 있는 번역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 한글로 쓴 법문을 영역하는 것도 대중화를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번역 작업이 스즈키가 했던 것처럼 국가주의적 의도로 한국문화를 신비화시켜서는 안 된다. 그것은 한국불교를 왜곡할 뿐 아니라 또 다른 타자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수행법이 간화선이며 그것이 우수한 방법이라고 하더라도 그 우수성을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불교의 세계화는 한국불교를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 한국불교가 처한 다종교, 다문화적 상황 속에서 새로운 불교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불교에 하나의 전범이될 수 있다. 전통과 현대, 지역문화와 주류문화가 만나고 충돌하고 혼융되는 세계화의 보편적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므로 이 문제의 해결을 통해 한국불교는 세계불교를 위한 롤 모델이 될 수 있다. 그 밖에 서양 대학생을 초청하여 한국불교를 체험하게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비구니승가의 복원이나 환경문제 등의 사안에 대하여 서양불교인들과 연대하는 방법, 간화선 외에 염불, 사경, 예참 등을 소개하는 것이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불교를 세계화하려면 무엇 보다 한국불교 내부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전통과 현대를 조화시키고 다종교·다문화 속에서 불교적 가치를 확립하며, 시대와 소통하는 새로운 승가상 확립이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해 요청되는 선결과제이다. 2002 FIFA World Cup Game initiated the discourse on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as a counter-discourse of globalization which widely influenced South Korea since 1990s. It is a project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which aims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to other foreign countries, in an accordance with the Korean government who wants to globalize Korean culture in order to survive at the era of globalization. There is, by the way, another trends which introduced various other Buddhist traditions into Korea. Buddhisms in South Asia and Tibetan Buddhism are now most popular in Korea. They could not have been introduced into Korea without the boom of Vipasyana meditation and that of Tibetan Buddhism in western countrie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direct relations between Korean Buddhism and those Buddhist traditions. Therefore,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 effect of the globalization of western mainstream culture rather than a kind of interchange between regional cultures, because the spread of those regional Buddhisms is indebted to the activities of Buddhists in the U.S. and Europe. Although ``the Korean Diaspora`` has Korean Buddhism gotten known to foreign countries, it is still a minor religion among American Buddhist groups as well as among Korean American. The most Korean American is Christian so far, but the boom of Buddhism in mainstream society in the U.S. opened new entry opportunity to Korean Buddhism. It is very critical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among Korean immigrant community in order to build up their identity as a Korean and it will be an effective way to propagate Korean Buddhism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Even though the interest in Buddhism in western mainstream society is getting higher, Korean Buddhism is not that known except Master Sung-san`s great success. Only one hero, at present, can`t lead Korean Buddhism in foreign countries like 1960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estern culture and modify Korean Buddhism to harmonize with western culture. To take this goal, stopping depending on personal charisma, Korean Buddhism have to establish sustainable relation with western Buddhist leaders. Among the measures to ``globalize Korean Buddhism``, the translation of Korean Buddhist writings into English is the most important. Breaking from the word-for-word translation, it should make sense to westerners as well as Korean. It is also necessary to interpret Korean Dharma talks into English to popularize. It, nevertheless, should not mystify the Korean Culture with nationalistic intention like what D. T. Suzuki did in his translation; because which will not only distort Korean Buddhism but also make other another ``Other``. Even though Korean Buddhist leaders believe ``Ganhwa-seon``, a typical Korean Buddhist meditation, is superior to other buddhist practices, they have to demonstrate its superiority.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can be achieved-not by one-sided allegation-on the way of creating new Buddhism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etting of Korean society. Because conflicts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culture, and regional and mainstream culture are common problems in the course of globalization, Korean Buddhism can give a role model for World Buddhism in solving those problems. Many other methods can be presented to globalize Korean Buddhism like; developing temple-stay programs for foreign college students to experience Korean Buddhism, joining with western Buddhist groups in some issues, like rebuilding Bikkhuni Sangha in South Asia and Tibet,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so on, and introducing Korean traditional Buddhist chanting, calligraphy, some ceremony for repentance. But, most of all, the problems in Korean Buddhism should be resolved, because it is prerequisite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to modify traditional Buddhism into modern society, to establish buddhist value in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modern society, and to make new model for monastic to communicate with current stream in Korea and in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