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률의 <풍경>이 발견한 거리

        맹수진 ( Soo Jin Mae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현대영화연구 Vol.10 No.1

        Scenery is the 5½th film and first documentary of diretor Zhang Lu. This documentary deals with lives of immigrant workers who live in Korea. As an immigrant himself, the director understands well the grief, pain and difficulty of the immigrant workers to live in Korea.. He interviews 14 labourers who works in various places such as farm, a dye factory, slaughterhouse, iron factory and so on. The director asks them of the dreams they had in korea. While they tell us about their dreams, the camera shows the envinronment of their working place, and sometimes moves independently. Some images are very beautiful and some are very grotoeque. The camera, sometimes records the interview objectively, and sometimes moves to the inside of people and describe the subjective state of mind. Although the director shares much with the immigrant workers, but at the same time, they can`t share everthing because of the different status between him and the workers. Zhang Lu admits the fact that they can`t have the identity and tries to look for the proper distance between them and shows it impressively in this film.

      • KCI등재

        희생양, 그리고 민족적 알레고리로서 여성이이미지 분석

        맹수진(Maeng Soo Jin) 한국영화학회 2004 영화연구 Vol.0 No.24

        1980's in korea began with the neo-military Junta(regime) which came to power through supressing the Kwangju struggle for demonstration. The film industry in 1980's was influenced by the national policy of the neo-military junta. While it did a close inspection on rhe political issues, it permitted a indecent sexual expression . So many film producing companies in this decade evaded to comment on the socio-political issues & concentrated on showing the actress' naked body to attract the audiences. In a sense it was enevitable to keep on film business under the military regime. It is erotic melo drama and erotic costume drama that was newly born at that time. As we all know, these genres were regarded as a flight from realiry and vulgar texts and were not considered as objects of serious studies. But these texts not only have sociological values as reflection on 1980's but also have aesthetic values under the varren film making circumstances. I think the Korean film studies should stop overlooking the significance of these genres and begin serious research and specific analysis of the indivisual text of these genres. The reason why I focus on <Mulberry> among many other films, it it because it inspires popular desire of the day in the connotation level. Of course I know that this movie is not free from condemnation that it commercialized women's sexuality. But it is just one aspect of the movie. It still has enough value to be analyzed seriously.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cept of Frederic Jameson's national allegory and Rene Girard's Scapegoat.

      • KCI등재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주제 및 양식적 다양화에 대한 고찰

        맹수진(Maeng, Soo Ji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 씨네포럼 Vol.0 No.18

        서구(정확히는 미국)에서 주류 메이저 자본으로부터 독립 제작된 영화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인디 영화’(independent film)는 경제적 의미를 담지한 단어다. 이와 달리, 이 용어의 한국 번역어인 ‘독립영화’는 단순한 경제적 의미를 넘어 한국 사회의 정치, 사회, 역사적 특수성을 포함한 용어다. 자본으로부터의 독립 못지 않게 폭압적인 정치권력으로부터의 독립, 지배 이데올로기로부터의 독립 역시 중요한 의제였던 1980년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한국 독립다큐멘터리는 영화 장르의 하나로 성립되었다기 보다는 영상 운동을 통한 사회 변혁 운동의 무기로 기능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시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에게 영화 미학에 대한 고민이 부재했음은 불가피한 것이었다. 당시 독립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의 임무는 급박한 투쟁 현장을 신속하게 기록해서 노동자들의 투쟁을 알리고 투쟁의 전선을 확대, 강화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외적으로는 동구 사회주의권이 몰락하고 내적으로는 1993년 군부 출신의 노태우 정권에 뒤를 이어 본격적인 민간 정권인 YS 정권이 들어서면서 한국사회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 1987년 6월 시민 대항쟁과 노동자 대투쟁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민주화되던 사회적 분위기가 1990년대 들어 가속화되면서 과거 긴박한 투쟁의 현장을 기록하던 영상 활동가들은 다큐멘터리 제작자로서 자신의 역할, 정체성, 작업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시작한다. 1990년대 중반은 한국에서 국제 영화제를 비롯한 각종 영화제가 생겨나기 시작한 때이기도 하다. 과거 노동조합, 학생회 등을 통해 투쟁 속보를 전달하던 액티비즘 다큐멘터리와 달리 합법화된 공적 공간 속에서 다큐멘터리를 ‘영화’로 간주하고 돈을 주고 보려는 관객들이 형성되는 상항에서 과거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에게 영화 미학에 대한 고민은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은 소재의 폭을 대폭 확장하여 과거 노동자, 빈민들의 투쟁의 기록에 국한되던 카메라를 여성, 성소수자, 군대, 환경 등 생활세계의 다양한 문제들로 확대해 나간다. 이와 함께 획일적이던 다큐멘터리 스타일도 다양해진다. 다양한 양식 실험의 전개 속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이 던진 핵심적인 질문은 카메라와 대상의 관계 즉 다큐멘터리 윤리에 대한 질문이었다. 이러한 고민은 유례 없이 자기 성찰적인 다큐멘터리의 양산으로 나타난다. 그 외에도 많은 미학적 변화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질적, 양적 성장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모색이 십 여 년 지속되면서 어느덧 현재 독립 다큐멘터리들은 과거와는 다른 종류의 한계 혹은 매너리즘에 봉착했다는 느낌을 준다. 이러한 상황을 어떠한 에너지와 미학적 방법론으로 돌파할 것인지에 따라 한국 독립다큐멘터리의 향후 전망이 달라질 것이다. Unlike ‘the independent cinema’ in the western world, the words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reflect the specificity of Korean history and politics. Appearing in the late 1980s for the first time,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ies became the powerful weapons for the activists who had been struggling for the democracy of Korea. They wanted to report the social irregularities and conflicts between two classes and reform the social systems with the help of camera. To those who regarded the camera as the weapon for the struggle at that time, it was not important whether the esthetics of the films were good or no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immediacy. How rapidly they can announce the labourer"s struggle and expand the front line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But as the social struggle declines, many independent documentary film makers began in earnest to worry about their future. What kind of documentary should they make? What style could they make use of? Responding to the changing social,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needs of audiences, documentary film makers have conducted various esthetic experiment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for them was how to build relationships with the objects. It was related to the ethics of documentaries and as the result of it, various self-reflective documentaries emerged and now much more diverse modes are being made. Now many korean documentaries got richer thematically and esthetically as contrasted with the past times. But in a way, we can also say that they fell into mannerism in another sense and need to overcom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