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문삼구의 범주적 이해를 넘어서

        마해륜 한국선학회 2018 한국선학 Vol.0 No.51

        As the Zen terms left by Yunmen Wenyan , the Three Phrases of Yunmen is an emblematic thought representing the Yunmen Sect . As it lacked details , however , various annotations were added thereafter . In this process , the Three Phrases has been understood as a category to classify Zen terms . Nevertheless , it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category for classification but as a device conceived to frustrate such an interpretive attempt and functioning for new signification . The distinction between One Phrase and Three Phrases is another gateway to be resolved . The Three Phrases is a manifestation of a complete operation for a new meaning while shutting off from habitual signification , the Closing and Opening Gate for both , and the quintessential functioning of Living Phrase that does not base on self -sufficient languages . 운문삼구는 운문문언이 남긴 세 구절의 선어로서 운문종의 선을 대표한다. 삼구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던 탓에 후대에 다양한 설명이 부가되었다. 이 과정에서 삼구는 선어를 분류하는 범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본래 운문삼구는 선어를 의미에 따라분류하는 범주가 아니라 그러한 해석적 시도를 좌절시키기 위해 설정된 관문이자 새로운 의미 지평을 여는 작용이다. 삼구는 타성적 의미를 차단하는 동시에 새롭게 열리는 완전한 작용이고, 양자를 평등하게 만드는 관문이며 자기충족적인 언어에 안주하지 않는 활구이다. 일구와 삼구의 도식적 구분 역시 또 다른 범주적 사고의 전형이다. 의미를 허용하지 않는 일구 역시 삼구의 귀착점이 될 수 없으며 의미의 범주를 허용하는 삼구 그대로 본분을 떠나지 않는다.

      • KCI등재

        오가종파(五家宗派) 문제에서 본 운문종 법맥 논란

        마해륜 한국선학회 2020 한국선학 Vol.0 No.57

        『조당집』과 『경덕전등록』에서 선종 오가(五家)의 연원을 서술한 이후 임제종에서 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 주장은 운문종과 법안종을 석두가 아니라 마조의 법맥에 귀속시키려는 의도를 갖는다. 논란은 북송 중기 이후 선종의 주도권이 운문종에서 임제종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등장했는데 운문종에서도 이러한 주장에 동조하는 동향이 발견된다. 운문종이 마조에 연원한다고 서술하는 설두중현의 비문이 건립되었고 운문종 불국유백의 『건중정국속등록』에서는 설두가 마조의 9세 법손이라고 명시한다. 운문종과 관련이 있는 문헌으로 추정되는 『조정사원』에서 운문종의 석두 문하 법맥을 부정하는 내용이 발견된다. 이러한 경향은 운문의 전기에서 임제종의 목주도종과의 관계가 창작되고 강조되는 양상과 함께 나타난다. 같은 시기 임제종에서 목주는 황벽과 임제를 이어주는 황벽의 수좌 역할로 격상된다. 결국 목주에게는 임제종과 운문종의 출현을 돕는 산파의 역할이 부여되는 양상이 발견된다. 이것은 황벽과 임제의 기관선으로 마조와 백장의 선을 재구성하는 동향 안에서 이해할 수 있다. ‘임제의 할 덕산의 방’으로 대표되는 송대 선의 재편 안에서 임제종과 운문종이 동일한 연원을 갖는다는 인식이 발생했으며 이 논란은 그러한 문제의식 안에서 시작되고 형성된 흐름으로 이해 할 수 있다. Early in Zutangji and Jingde Chuandenglu, the origin of the five sects of zen was established. In the Song era Linji sect raises suspicions, with intent to attribute the origins of Yunmen sect and Fayan sect to Mazu, not Shitou. The controversy was repeated at a time when Zen’s tendancy, since Mid of Northern Song, shifted from Yunmen sect to Linji sect. Similar arguments are discovered within Yunmen sect. The Tianyi’s disciples made Xuedou’s inscription describing Yunmen Sect as to Mazu’s lineage. And in Jianzhong Jingguo Xudenglu of Yunmen sect Weipo, Xuedou was described as the ninth descendant of Mazu. In Zuting shiyuan, which interpreted Yulu of five sects centering on Yulu of Yunmen sect zen masters such as Yunmen, Xuedou and Tianyi, contents denying the origin of Shitou of Yunmen sect are found. This trend appears with the aspect in Yunmen’s biography where the encounter with Linji sect Muzhou is created and emphasized. In the zen literature of the Song era, Muzhou is elevated to the role of connecting Huangbo and Linji. It gave Muzhou the role of intermediary who gave birth to Linji and Yunmen sect. This can be understood within the trend of reconstructing Mazu's zen with Huangbo and Linji’s. Within the reconstruction of Linji sect in the Song era, there was a perception that the origins of the two sects were the identical. This controversy is begun and formed within that context.

      • KCI등재

        작용즉성(作用卽性) 비판으로서의 무심(無心)

        마해륜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5 No.-

        중국선종사는 남종선 이후 본체보다는 작용에 무게중심을 두는 경향을 갖는다. 이것이 일상적 작용의 근저에 존재하는 별도의 본체를 가정하지 않고 작용 자체를 불성으로 보는 작용즉성(作用卽性)의 입장이다. 작용즉성은 초기 홍주종 교단에서부터 완성된 형태로 존재하지 않았고 역사적으로 형성되었다. 작용에 대한 강조에 따라 마조 문하에서 견문각지를 절대화 하는 경향이 발생했고 이에 대한 극복을 위해 홍주종 안에서 차지하는 심(心)의 위상에 대한 다양한 재구성이 시도 되었다. 이 과정에서 무심은 주관적 인식을 실체화시켰던 즉심시불의 난점을 해소하기 위해 주목되었다. 무심은 본래 우두종을 대표하는 개념이었으나 작용 중심주의에 내재된 인식작용의 절대화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발견되었다. 작용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으로서 무심의 가치에 대한 발견은, 후대의 부가로 가정되는 「남양혜충국사어」에서 그 단초가 발견된다. 이후 작용즉성에 대한 비판은 결국 황벽희운에게 비판적으로 계승된다. 그의 『전심법요』에서 무심을 견문각지 비판의 도구로 활용하여 즉심시불을 재해석하고 불성과 작용을 한정적으로 분리시킨다. 견문각지에 대한 완전한 부정은 북종선의 염불기(念不起)라는 입장으로 회귀이고 전면적인 인정은 초기 홍주종의 본래 입장이다. 이 두 가지 난점을 해결 하기 위해 황벽은 견문각지와 불성의 동일성을 존재가 아니라 장소의 문제로 치환한다. 이를 통해 주관과 객관의 측면 양자 모두에서 실체의 범주로 포섭되지 않고 작용하는 인식 가능성으로 무심은 재해석된다. 이러한 황벽희운의 입장은 임제종의 공식적인 등사인 송판 『천성광등록』에서 특수한 위치로 격상되어 인정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작용의 문제에 대한 송대 선종의 재평가이고 따라서 작용즉성의 현재적 관점은 송대(宋代)에 비로소 완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history of Chinese Chan buddhism, particular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ern Chan tradition, tends to focus on "function" rather than "nature". The proposition that "function is identical with buddha-nature" (作用卽性) views function as an operation of buddha-nature without specifically postulating a substantialized nature.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this proposition itself is a historically constructed notion rather than a given thesis, often attributed to the early Hongzhou School (洪州宗) of Mazu (馬祖). My contention is that "no-mind" (無心) has been strategically foregrounded in order to confront the predicament resulting from the thesis that "this mind is the buddha" (即心是佛), whose ultimate goal is to substantialize subjective cognition. In other words, "no-mind," the emblematic concept of the Ox-head school (牛頭宗), is contextually called for to refute the very assumption of absolute cognition immanent in such a function-centered approach. An illustrative instance that reexamines the concept of no-mind as an alternative and critique to function can be found in the Nanyang Huizhong guoshi yu (南陽慧忠國師語), despite its possibility of additional revision in later generations. This critical assessment against the theory that "function is identical with buddha-nature" has been analytically succeeded by Huangboxiyun (黃蘖希運), Linji (臨濟)'s precursor. In the Chuanxinfayao (傳心法要), Husngboxiyun not only reinterpreted the theory of "this mind" by drawing on "no-mind"as a critical tool against cognition, but also redefined buddha-nature as separate from function. In the Tiansheng Gusngdeng' Iu (天聖廣燈錄), the official record of the lamp transmission of the Linji sect, Husngboxiyun's view comes to be reevaluated and acknowledged. As a conclusion, this paper contends that this belated acknowledgement of Husngboxiyun's position attests to the fact that it is during the Song Dynasty when the notion of function was reexamin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contemporary perception on the proposition that function is identical with buddha-nature should be traced back not to the Tang Dynasty, but to the early Song period.

      • KCI등재

        각범혜홍의 천복승고 비판 재검토 - 『천복승고선사어록 』과『선림승보전』의 비교를 중심으로 -

        마해륜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2 No.-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Master Jianfu Chenggu薦福承古 criticized that the Yuanmen雲門 school’s masters were obsessed with words and phrases, contrary to the fundamental teaching of Yuanmen to which he was a direct successor. A widespread perception at that time was that ultimate enlightenment could be achieved by way of enlightenment through language. Jianfu Chenggu insisted that while realization through crucial phrase活句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problems related to Buddhist truth at the linguistic level, it is not the ultimate stage but still a state of language manipul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a unique perspective on Three Misteries and Three Essentials三玄三要 emerged, which explains the practicing crucial phrase in an incomplete stage and recognizes the mindlessness無心 as the best realization. However, this problem has not been understood through the Jianfu Chenggu chanshi yulu薦福承古禪師語錄 until now but has been understood in a refracted form through Juefan Huihong覺範惠洪's Chanlin sengbao zhuan禪林僧寶傳, which belongs to the critical camp. Reviewing the three issues raised by Huihong through the Jianfu Chenggu Chanshi Yulu opens up a new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problematics of Zen Buddhism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rom northern Song to southern Song and from Huanglong黃龍 to Yangqi sect楊岐 of Linji臨濟 school more correctly. 천복승고(薦福承古)의 선사상은 각범혜홍(覺範惠洪)의 선림승보전 을 통해 비판적 시선으로 이해되면서 온전히 평가되지 못했다. 천복승고선사어록 을 중심으로 재검토하면 그의 문제의식은 무심을 강조하고 본분사와 활구를 구분하는 데 방점이 있다. 천복승고는 북송대 선종에서 성행하던 활구가 언어를 조작하는 폐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본분사를 체득한 무심과 구분했고 이를 위해 삼현을 재구성했다. 천복승고는 삼현은 양종자기와 긴밀하게 연결된다. 현재의 자기에 해당하는 체중현(교학)과 구중현(선학)은 모두 유심(有心)에, 현중현은 공겁이전의 자기로서 무심(無心)에 각각 상응한다. 공겁이전의 자기와 현재의 자기를 무심과 유심으로 구분하고 전자를 향상의 극칙으로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각범혜홍은 문자와 언어가 활용되는 현재의 자기를 공겁이전의 경지와 구분하지 않았다. 천복승고가 무심을 강조하기 위해 공겁이전과 현재를 구분했던 반면 혜홍에게는 대용현전의 본분사가 실현되는 곳이 현재와 다름이 없다는 관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했다. 이 차이가 혜홍과 승고의 문제의식이 분기하는 지점이다. 천복승고의 관점은 임제종 황룡파 영원유청과 양기파 대혜종고의 문제의식으로 계승되었으며 남송대 간화선의 방법론을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결과적으로 활구와 본분사는 동등한 위상을 갖추게 되었지만 이에 앞서 천복승고의 문제의식을 통해 활구와 무심은 새로운 활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선사상에서 지각의 위상에 대한 예비적 연구-『능엄경』의 見聞覺知와 識心의 함의

        마해륜 불교학연구회 2019 불교학연구 Vol.58 No.-

        Leng Yan Jing has been known as a invaluable sutra throughout the history of Zen Buddhism, but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According to the sutra, mind is divided into three layers: vijñāna / ‘Seeing Hearing Feeling Knowing’ / Illuminating Mind. The vijñāna refers to the consciousness established by karma. It is the mind created by the object, which creates the subject at a certain point in the sensory perception, and then manipulates and constructs the self and the world. Since the vijñāna and ‘Seeing Hearing Feeling Knowing’ share its territory,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m. The ‘Seeing Hearing Feeling Knowing’ means six kinds of sensory organ independent of the function of the vijñāna. The nature of the ‘Seeing Hearing Feeling Knowing’ does not change with its object, nor is it reduced to a particular ‘locus.’ It is, however, not ‘Illuminating Mind.’ This is not entirely false, because it is the state that affliction(klesha) has not yet been completely extinguished, and when affliction is exhausted, this is real and true as it is. ‘Illuminating Mind’ is not returned to any point and cannot be reduced. The discourse on nature and function in Zen Buddhism can be further understood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of the mind on these three levels. 『능엄경』은 선종의 초기부터 선의 핵심적 가치를 담보하는 것으로 알려진 문헌이지만 양자의 사상적 관계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는 『능엄경』의 특수한 심성설이 놓여 있다. 특히 견문각지는 『능엄경』에서 진망을 구분하는 맥락에서 이해되어 왔는데, 이것은 진심과 망심 모두와 일정한 영역을 공유하되 그것들 자체는 아니다. 이러한 구조를 이해하지 않으면 견문각지는 단순한 감각 지각이나 실체적인 본래성으로 오인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능엄경』에서 마음은 크게 식/견문각지/진심의 세 가지 층위로 구분된다. 식은 행업에 의해 구성된 의식작용 전체를 지시한다. 이 마음은 대상을 반연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음이고, 견문각지 안에서 특정한 지점을 중심으로 주인공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서 자아와 세계를 조작하고 구성한다. 식과 견문각지는 영역을 공유하므로 미세하게 관찰하지 않으면 분리하기 어렵다. 견문각지는 식의 작용과 독립된 감각기관이다. 견문각지의 본질은 대상에 따라 변화하지 않으며, 특정한 지점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그러나 견문각지 자체가 본심은 아니다. 이것은 아직 번뇌가 완전하게 소진되지 않은 상태로서 그것이 소진되면 그대로 진실한 본심이 되므로 완전히 허망한 것이 아니다. 진심은 어떠한 지점으로도 환원되지 않으며, 환원할 수 없다. 선사상에서 견문각지에 대한 담론은 이러한 세 가지 층위의 중간 지대에 있는 견문각지의 미묘한 위치를 고려함으로써 더욱 풍부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당송대 선사들에게 보이는 견문각지에 대한 중시와 경계의 이중적 태도 역시 견문각지의 이러한 중간적 지위를 통해서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무사와 활구의 관계에 대한 재고- 연속성의 관점에서

        마해륜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8 No.-

        While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discontinuity between “observing word”(Kanhua 看話) and “nothing to Do(Wushi 無事)”, this paper examines “nothing to Do” and “living Phrase” as the homogeneous developments derived from the same tradition focusing on their conceptual continuity. In doing so, I aim to highlight how multifarious the concept of “nothing to Do” has been and trace the trajectory for the concept of “nothing to Do” to have expanded its horizon in later days. Particularly, through reexamining Thoughts of “living Phrase” whose establishment has been considered as the overcoming of Wushi Chan(無事禪) from a perspective of seeking continuity, I contend that Kanhua Chan(看話禪) is not a simple denial or overcome of Wushi Chan’s direction but a continuum despite their seemingly heterogenous features. In this paper, my goal does not lie in restoring and reconsidering the status of Wushi Chan per se. Instead, by casting a new light on the transformation of Zen Thoughts, I aim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Wushi Chan and Kanhua Chan often associated with thoughts of “Living Phrase” to gain a balanced view on the Chan(Zen) Thoughts before and after the Song dynasty. 선종사에서 무사는 활구의 사상이 등장하기 전에 나타나는 과도기적 경향으로 서술된다. 무사를 비롯한 간화선 이전의 선법은 간화선의 등장을 통해 극복된 불완전한 어떤 것으로 간주되면서 제대로 조명되지 못하고 미리 선취된 결론 안에서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거나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무사와 그 이후의 선에 나타난 불연속을 강조했던 기존의 연구와 달리 연속성에 주목하여 무사와 활구를 동일한 전통의 전개로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무사의 다층적인 면모를 제시하고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이후의 시기까지 지평을 확장하는지 제시한다. 활구를 무사와 연속적인 관점에서 재고함으로써 간화선이 무사를 단순하게 부정하거나 극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기틀로 재정립함으로써 이후에도 무사의 가치를 향상시키고 긍정하였다는 기본적인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무사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송대 전후의 선사상에 대한 균형 있는 시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사와 관련하여 활구는 단순히 무사를 대체하지 않고 오히려 무사의 지향을 재정립하여 앎의 범주를 전제하지 않는 완전한 작용의 현전이라는 본래적인 가치를 회복시키는 장치가 된다.

      • KCI등재

        임제선의 주체화와 탈주체화 – 『능엄경』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마해륜 한국선학회 2019 한국선학 Vol.0 No.54

        Linji-Chan can be understood twofold. One is the direction of Subjectivization and the other is the direction of Desubjectivization out of the subject. Linji-Chan understands that within these two directions the subject is composed and dismantled at the same time. In general, in the understanding of Linji-Chan, the subject was emphasized, but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subject was barely noticed. LengYangJing's logic works in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and desubjectivization. In the process of subjectivization, the 'brightness' of the mind, which produces other concepts or object-oriented perceptions without being objectified, and the 'shadow', which is the corresponding perception, correspond to two fundamentals in the Alumnis. They are brightness of Mind and object-oriented mind. In the process of desubjectivization, Linji reduces the six sensory organs to identify the original place of liberation, suggesting the disappearance of one brightness(一精明), one-mind(一心). This was presented through the parable of the magician who manipulates the puppet in LengYangJing. Six sensory organs can be freed from manipulation by cutting off one's original brightness. This is the description of LengYangJing. This is the theoretical basis of yuantong of six organs(六根圓通). This aspect has not been noticed in Linji-Chan's ideas. This paper suggests that yuantong's methodology, which is a device prepared for the dissolution and reconstruction of empirical consciousness in LengYangJing, is applied to Linji-Chan's subjectifying and de-subjectifying process. 임제의현(臨濟義玄)의 선사상은 두 가지 과정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하나는 주체화이고, 다른 하나는 탈주체화이다. 임제선에서 주체는 해체되는 동시에 재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임제선에 대한 이해에서 주체화는 강조되었지만 탈주체화는 주목되지 않았다. 흥미로운 것은 임제선에 보이는 주체화와 탈주체화에는 『능엄경』의 논법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주체화 과정에서 중생의 얼굴을 출입하는 ‘밝음’은 감각기능의 지향성 자체이다. 이것은 무위진인으로 의인화 되지만 실체적 주재자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견문각지에 갖추어진 감각기관 본연의 기능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밝음’은 자신은 대상화 되지 않으면서 대상과 대상에 의존하는 인식을 산출하는 마음인 식정원명(識精元明)이고, 이에 상대하는 ‘그림자’는 대상에 의존하는 인식으로 반연심 또는 식심에 상응한다. 식정원명과 반연심은 『능엄경』에서 이종근본으로 제시되었다. 임제선의 탈주체화 과정은 여섯 가지 감각기관을 지배하는 일심/일정명(一精明)의 해체를 통해 본래해탈의 자리로 돌아가는 길이다. 일심/일정명이 감각기관을 조작하는 무명번뇌의 상황은 『능엄경』에서 환술사가 꼭두각시를 조종하는 것으로 비유된다. 감각기관을 조작하고 주인공 노릇을 하는 일심/일정명의 작용을 멈춤으로써 무명번뇌의 현실에서 해탈하여 감각기관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은 탈주체화 과정인 동시에 새로운 주체화의 과정이다. 이것은 『능엄경』의 경설과 관련이 깊으며 이는 또한 육근원통(六根圓通)의 이론적 근거와 상통한다.

      • KCI우수등재

        선사상에서 해오(解悟)의 함의

        마해륜 불교학연구회 2023 불교학연구 Vol.74 No.-

        성철에 의해 촉발된 돈점논쟁에서 해오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다양한 담론이이루어졌지만, 해오와 증오의 본질적 차이에 대한 의문은 제기되지 않았다. 선불교의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해오와 증오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이해와 분별(해오) 안에서 깨달음을 실현하려는 지향성을 갖는다. 해오/증오를 분별의 여부나 시간적 선후관계로 접근하는 대신, 깨달음의 체험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마음 변화의 두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증오는 구경에 도달하는 순간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반대로 ‘이미 완전하게 갖추어진 지각능력’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전제이자 출발점이다. 증오가 즉각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면 그것이이미 우리 안에 완결된 상태로 갖추어졌기에 가능한 것이다. 이 경우 증오는 갖춤의완전성이라는 측면에서 시작이기도 하고, 해애(解碍)의 종식이라는 측면에서는 구경이라고 할 수 있어서 양가적이다. 증오는 해오의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체험이며둘은 완전하게 별개는 아니다. 증오는 먼 미래의 최종목표가 아니라 해오의 해체적과정이며, 해오를 범주화하지 않게 하는 메타포다. 해오는 이해에 의한 깨달음이 아니라 마음이 재구성되는 과정을 지시한다. 의미체계 안에서 인식 전환의 체험이 해오의 함의다. 그러나 해오는 단지 특정한 의미에대한 언어적 깨달음”이 아니라 “어떠한 언어적 이해도 절대적이지 않다”는 메타적이해를 포함하는 깨달음이다. 한편 증오는 마음 변화의 해체적 측면을 지시한다. 이미 구성된 마음을 실재라고 여기지 않고 해체하는 순간이 증오이며 이 계기는 영원한 미래로 연기되지 않고 모든 현재의 순간에서 실현된다. 해오와 증오는 마음의 전환 과정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두 가지 측면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절관론(絶觀論)』의 사상과 선종사적 영향

        마해륜 보조사상연구원 2023 보조사상 Vol.66 No.-

        Jueguanlun has been controversial over the author and the date of its establishment.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hor, Niutou-Fayung牛頭法融, and this text, was constructed later. It seems to have been formed in the era of Huichung慧忠 and Hsuansu玄素. Ox-head school emerged as the orthodoxy of Bodhidharma, which exists independently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schools, criticizing the Northern Chan and critically accepting Shenhui神會's Southern Chan. It is estimated that the genealogy of the Ox-head school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Jueguanlun were created, and the genealogy of from Bodhidharma to Daoxin道信 and the genealogy of the 6th generation of the Ox-head school from Fayung to Huichung/Hsuansu were connected. In particular, Foku-Itse佛窟遺則 presented the idea of 'there nothing what so ever to hold to’無物,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he was involved in the existence of Ox-head and Foku school independent of the Northern/Southern school in Songgaosengzhuan宋高僧傳. Jueguanlun's "there nothing what soever to hold to" was adapted as a song of Huineng慧能's enlightenment delivered by Yangshan-Huiji仰山慧寂 in Zutangji祖堂集, and later became a concept that guarantees the legitimacy of Hongzhou school洪州 by taking ideological initiative on behalf of Heze荷澤 school. Jueguanlun's Nothingness played a role in converting Huineng's "Buddha nature" delivered by Shenhui's lineage into "there nothing whatsoever to hold to" and has since been internalized as the core of history of Chan Buddhism. 돈황본 『절관론』의 저자와 성립 과정은 오랫동안 논란이 되었다. 저자로 알려진 우두법융과 문헌의 관계, 그리고 선종사적 위치에 관한 전통적인 전승은 후대에 구성된 인식이고, 이것은 우두혜충(牛頭慧忠)과 학림현소(鶴林玄素)의 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두종은 북종에 대한 비판의식을 표방하는 동시에 신회의 남종선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남종이나 북종과 다른 독자적인 보리달마의 계승자로 등장했다. 『절관론』의 성립은 법융과 도신의 관계가 창작되고, 보리달마에서 도신에 이르는 계보에 법융으로부터 우두혜충/학림현소에 이르는 우두종 6조의 계보가 연결되어 우두종이 달마선의 정통으로 도식화되는 시기에 가능했다. 특히 혜충의 제자 불굴유칙(佛窟遺則)은 무물(無物)의 사상을 주장하였고, 『송고승전』에 실린 그의 전기에서 남종 및 북종과 독립하는 우두학과 불굴학의 존재를 서술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그가 『절관론』의 성립에 관여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절관론』의 무물(無物)은 『조당집』에서 우두종이 아니라 앙산혜적이 전하는 혜능의 오도송으로 개작되었으며, 이후 하택종을 대체하여 선종의 주도권을 잡은 홍주종이 기억하는 혜능의 상으로 확립되었다. 우두종의 사상은 하택종이 기억하던 혜능의 ‘불성상청정(佛性常淸淨)’을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후 마조계와 석두계의 사상 안으로 내면화되었다.

      • KCI우수등재

        동산양개의 「과수게」에 대한 일고찰 -‘그’와 ‘나’의 함의를 중심으로

        마해륜(Ma, Hae-ryoon)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선행 연구에서는 동산 양개(洞山良价)의 「과수게」에 제시된 ‘그’와 ‘나’를 자기의 본래성과 현실태로 해석하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이에 의하면 동산 양개가 깨달은 궁극적인 견처는 현실태에서 본래성으로 회귀하는 정신의 초월이거나 또는 현실태와 본래성이 하나로 통일되는 경지이다. 특히 동산의 「과수게」에서 본래성과 현재성의 통합적 관점의 완성되었다고 해석함으로써 「과수게」 이전의 ‘그’와 ‘나’를 소재로 하는 언구들을 불완전하고 단계적인 계기들로 제한한다. 이러한 해석은 기계적이고 도식적이지만 일정한 논리정합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재검토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과수게」의 ‘그’와 ‘나’의 함의가 석두희천의 「참동계」에 제시된 회호(回互)를 통해서 온전하게 이해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회호는 사물의 고유한 개념을 상대화하고 평등하게 만드는 기관이다. 회호의 관점을 적용하면 ‘그’와 ‘나’에 대한 동산의 언구는 본래성과 현실태의 통합적 관점에 대한 심화의 지표가 아니라 정편이나 군신 등의 상대적 개념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기호로서 기능한다. 회호의 방법은 상대되는 개념들을 통합시키는 대신 대칭성 자체를 다시 문제로 제기함으로써 모든 사물과 개념을 관계성안에 위치시킨다. 이를 통해 ‘그’와 ‘나’는 관점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고 특정한 의미를 갖는 개념으로 확정되지 않는다. 회호는 자체적인 계기 안에 불회호를 내포한다. 이를 통해 만물을 화해되지 않은 평등과 분별의 이항대립으로 남겨둠으로써 선어가 스스로 생명력을 갖도록 해석의 지평을 개방시키는 활구(活句)의 관점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래성과 현실태의 통일이라는 관점은 「과수게」를 활력을 잃은 사구로 만드는 이론이며 재고되어야 한다.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interpret ‘He’ and ‘I’ in DongshanLiangjie’s Song of Crossing Water as originality and actuality respectively. What is problematic with this line of view is that, by reading Song of Crossing Water as an attempt to complete an integrated perspective between originality and actuality, words and phrases that had appeared prior to those of Dongshan with the same subject of ‘He’ and ‘I’ constitute only an incomplete and gradational moment to be overcome for the final conclus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be reached. This presupposes that Dongshan transcends the confinement of actuality and what he ultimately pursues is to integrate this with originality in the realm of the absolute. This existing interpretation also implicitly assumes that integrating ‘He’ and ‘I’ is a more elevated stage than distinguishing them. However, I contend that the logic of ultimate interact presented in ShitouXiqian’s Identity of Relative and Absolute enables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Song of Crossing Water. Through the method of ultimate interact, what’s at stake is the symmetrical state itself instead of integrating the two opposing concepts. As his method does not attempt to reconcile the perspective of the equal with that of discrimination and leave them in opposition as a binary, this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effect of vital phrase which opens up a new interpretational horizon for the Chan-word to have vitality. What Dongshan pursues in his Song of Crossing Water is not to resolve the given problem but to raise a question and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n thoughts of DongshanLiangjie and YunyanTansheng. In this regard, see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iginality and actuality from an integrating perspective is no other than an attempt to make Song of Crossing water mere dead phrases without vitality far from its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