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estosterone RIA 검사 kit 별 유효성 비교평가

        류화진,신선영,조성욱,Ryu, Hwa-jin,Shin, Seon-yeong,Cho, Seong-uk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22 핵의학 기술 Vol.26 No.1

        Purpose Testosterone is a steroid hormone synthesized by the Leydig cells of the testes in men, and by the adrenal cortex and ovaries in women. Testosterone production is regulated by luteinzing hormone secreted by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iveness of testosterone radioimmunoassay (RIA) kits produced by three companies was evaluated and compared in case the production of testosterone kits was stopped or supply problems occurred. Materials and Methods In October 2021,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patients (n=49) who requested the testosterone RIA tes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patient's sample into low concentration (1.0 ng/mL or less), medium concentration (2.0-4.0 ng/mL) and high concentration (6.0 ng/mL or more). The Testosterone RIA test compared and evaluated the validity of Company A kits used in this hospital and those of Company B and C used in other hospitals. The precision, sensitivity, recovery, linearity and correlation were evaluated for each kit. The testosterone RIA test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 kit manual for each manufacturer. Result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recision of the intra assa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 of the company A kit was high at 11.4% only in the low concentration sample, and in the case of the company B and C kits, the CV value was less than 10% at low,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s. In the inter-assay precision measurement, the CV value was less than 15% in both A and C kits, but in the case of the B kit, the CV value exceeded 15% at low and medium concentrations. Sensitivity was 0.13 ng/mL for company A, 0.01 ng/mL for company B, and 0.01 ng/mL for company C, and the linearity of all three kits showed excellent linearity. In the case of recovery rate, all of the A, B, and C company kits showed results that were out of 90-110%. In the case of correlation test, when compared with the company A kit currently use in he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sup>2</sup>) value for the company B kit was 0.9508, and for the company C kit was 0.9352 Conclusion As a resul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precision at the low concentration sample. The correlation test showed an excellent correlation coefficien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secure samples of various concentrations because there were not many tests of testosterone requested at this hospital. So, additional experiments should be carried out by acquiring samples of various concentrations on each laboratory later.

      • KCI등재

        국민참여재판에 의한 무고죄 판단의 문제 -대법원 2019. 7. 11. 선고, 2018도2614 판결을 중심으로-

        류화진(RYU Hwa Ji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3 No.1

        대법원은 2018도2614 판결에서 원심의 무고죄에 대한 유죄판결을 파기한 바 있다. 특이한 점은 이 사건의 1심 재판이 국민참여재판으로 진행되었고, 배심원단이 피고인에게 무고죄에 대해 유죄의 평결을 내렸다는 점이다. 피고인은 항소했지만, 제1심과 마찬가지로 항소심도 국민참여재판으로 이루어진 제1심을 존중한다는 의미로 항소를 기각했는데 결국 대법원에 와서 파기된 것이다. 이 논문에서 특히 대상판결에 대하여 주목하고 있는 문제는 첫째, 이 사건 공소사실에서 무고죄 성립에 대하여 배심원단과 대법원의 판단이 차이가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 하는 점이며, 이에 관하여 우선 재판의 경과와 심급별 논점을 검토하며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배심원단과 같은 일반 국민이 무고죄에 대하여 대법원과 달리 판단하고 있는데, 이러한 판단의 이유와 무고죄 남용의 위험에 대한 대책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대상판결에서는 배심원단의 무고죄의 범죄성립요건에 대한 이해가 직업 법관과 차이가 있었고, 강제추행에 관한 판단도 배심원 개개인의 경험이 오히려 피해자에 대한 편견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셋째, 강제추행죄에 대한 배심원단 및 원심과 상고심의 판단 방법의 차이이다. 여기서 원심과 상고심은 동시대에 내려진 판결임에도 해당 사건을 바라보는 관점이 전혀 다름을 알 수 있고, 원심보다 상고심이 훨씬 더 강제추행의 피해자인 피고인의 관점에서 ‘성인지 감수성’을 가지고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법원은 그 신고 사실이 불기소처분을 받았다고 하여, 그 사실이 객관적 진실에 반하는 허위의 사실이라 단정하여 무고죄의 성립을 인정할 수는 없다고 하며 타당한 지적이다. 국민참여재판의 경우에 재판장은 배심원단에게 무고죄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도록 설명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한다. 국민참여재판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법적·제도적 개선도 따라야 하겠지만, 결국은 재판에 임하는 모든 법조인과 배심원들의 인식이 중요하다고 본다. The Supreme Court recently overturned the original verdict in the 2018Do2614 ruling. What’s unusual is that the first trial of the case was conducted with the People’s Participation Trial, and that the jury found the defendant guilty of False Accusation. The defendant appealed, but just like the first trial, the appellate court retained the first verdict, which meant it respected the jury’s verdict, and was overturned when it came to the Supreme Court. The issue of “False Accusation” is a crime that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and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s the mis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crime of “False Accusation”. In particular, the Supreme Court is directly pointing out the part where a jury found him guilty of False Accusation. The particular issue that this paper focuses on is why the jury and the Supreme Court differ in their judgment on the establishment of an innocent crime in this case, and we will first examine the progress of the trial and the issues of the depth of the case. Second, the general public, such as the jury, is judging the crime of innocence differently from the Supreme Court, what are the reasons for this judgment an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risk of abuse of guilt. Third, if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provision itself, this situation of the abuse is a matter of what other causes are at play, and what is the solution to this. The Supreme Court concluded that the report was a false fact against objective truth, saying it could not be admitted to the False Accusation. In the case of a people’s participation trial, the presiding judge must faithfully fulfill his duty of explanation so as to give the jury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rime of False Accusation. While legislativ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should be follow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eople’s participation trials, I believe that the perception of all legal professionals and jurors who take part in the trials is important.

      • KCI등재

        MMORPG 게임아이템에 대한 재산죄의 성립 가능성

        류화진(Ryu Hwa-Ji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東亞法學 Vol.- No.50

        최근 대법원에서 게임 리니지의 게임머니 환전행위에 대해 내린 무죄판결로 인해, 게임아이템의 현금거래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다. 대부분의 MMORPG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업체에서는 아이템의 현금거래 행위를 금지하는 약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게임산업진흥법 제32조의 해석상 이러한 행위가 법률로 금지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행위에 대해서는 게임업체가 계정중지의 제재만 가할 수 있을 뿐이다. 다만 불법 자동사냥 프로그램을 통해 취득한 게임머니의 환전을 업으로 할 경우에는 처벌이 가능한 행위이다. 아이템의 현금거래가 가능해지면서, 게임아이템의 법적인 성질이 밝혀져야 할 필요가 생겼다. 형법상 재산죄의 객체는 재물이나 재산상 이익일 경우에만 인정될 수 있는데, 게임아이템은 정보로 보는 것이 통설이고, 정보는 유체물이 아니며 사무적인 관리만 가능하므로 재물로 볼 수 없다. 그러나 게임아이템은 환금성, 즉 경제적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므로 재산상 이익에는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형법상 재산상 이익을 객체로 하는 재산죄는 성립할 가능성이 있다. 게임에 대한 형사적인 규제는, 게임제공업체를 위해서는 게임산업의 진흥이라는 관점에서, 그리고 게이머들을 위해서는 건전한 게임 환경의 조성이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아직도 게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지만, 이는 변화되어야 한다. 게임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모든 현상에는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다. 게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부작용과 이로 인한 범죄 현상들이 뉴스를 통해 알려져 있지만, 우리 국민의 반 이상이 여가시간을 게임으로 보낸다는 설문조사의 결과로 본다면, 게임도 국민들을 즐겁게 하고, 국가의 콘텐츠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면이 크다. 따라서 형사적인 규제는 게임산업의 진흥을 저해하는 행위와 게이머들의 건전하고 쾌적한 게임환경을 침해하는 행위들에 대한 규제로 일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형법의 보충성으로 인해, 범죄를 인정하기 이전에 게임제공업체는 최대한 게이머들의 건전한 게임 환경 조성을 위한 의무를 다해야 할 것이고, 그러한 의무를 다했는데도 게이머 자신들의 계정관리 소홀로 해킹을 당하거나, 주의부족으로 기망을 당하여 아이템을 빼앗기는 사례 등을 모조리 범죄화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지능형 로봇의 범죄주체성과 형사책임

        류화진(Ryu Hwa Jin)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과학기술과 법 Vol.7 No.2

        The possibility of crime by artificial intelligence is growing with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velopment of robots built-in highly developed software become a reality, the form of crime that use those robots is expected. And similar accidents are already happening. Here we can have the question whether we could hold A. I. robot criminally liable for crime. The Korean Criminal Act introduced computer crime when amending the 1995 for the first time. For the next 20 years we are having developed technology with a tremendous pace. The law can not keep up coincidentall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ut the effort is essential to try to faster respons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f the law is too far away from technology, law can be just a nuisance that catches up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law can not deal with violations of legal interests by technology and law can not protect legal interests of people. The discussion for robot crime is still an opening stage in Southkorea and more studies are expected to take place in the future.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ese discussions are already done more actively and their discussions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o. There are basic concepts that must be confirmed as crime or requirements that must be recognized in order to discuss robot crime. This paper provides the following issues dealing with: First, discussing robot crime in the Criminal Act, the question should be examined wether the legal concept of ‘robot’ can confirm. Second, for the robot crime, robot must be an agent of the crime. I examine the problem whether we can recognize robot as an agent of the crime. Third, if we can not recognize a robot as an agent of crime, we should examine whether and how human can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 accident by A. I. robot. First, the concept of robot crime can be variously defined. But there is already a legal regulation defining robot crime. So, we can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the legal definition. Second, there is a point of view that applies theories for an criminal agent of the corporation to the agent of robot crime in Germany. But I find it difficult to apply to a robot crime. The corporate acts through the natural person in fact, on the other hand, a robot operates on their own machines. In that aspect, the A. I. robot is similar to animals rather than corporate. Today, the criminal responsibility for animals can not be asked. Likewise it is difficult to admit the criminal agent of robot crime. Third, I conclude in this paper that robot can not be admitted as an criminal agent. Therefore in case that robot violates legal interest of people, the case should be treated primarily with the principle of civil product liability. When the criminal solution is necessary,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there is negligence of the owner or producer of A. I. robot. In this case the culpability of negligence in relation to omission of management responsibility can be recognized to the owner for robot. For the producer of robot, occupational negligence can be admitted because the producer did not fully consider the possibility of violation of legal interest that can be anticipated on manufacturing.

      • 일반논문 : 위법수집증거와 증거동의

        류화진 ( Hwa Jin Ryu ) 영산대학교 법률연구소 2014 영산법률논총 Vol.11 No.2

        기존의 다수설은 형사소송법 제318조의 증거동의제도가 전문증거에만 관련이 있다고 한다. 증거동의제도의 근거는 반대신문권의 포기라고 하면서, 피고인의 반대신문권의 포기가 있는 경우에 증거능력 없는 전문증거도 증거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제도라는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소수설인 처분권설에 관심을 둔다. 처분권설에 의하면 전문증거 뿐만 아니라 위법수집증거의 경우에도 피고인의 동의가 있으면 증거로 사용할 수 있게되고, ‘피의자신문조서’나 제318조에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는 ‘물건’과 같이 반대신문과 관계없는 증거들에 대해서도 피고인의 동의가 있으면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일관된 설명이 가능하다. 제308조의 2인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명문화로 인해, 절차상 어느 정도의 위법이 있어야 증거능력이 배제되는지의 기준에 관한 논의가 분분한 가운데, 이러한 위법수집증거의 위법성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더라도 피고인이 증거동의를 했다면 많은 소송절차가 절약될 수 있고, 위법하다는 이유로 신용성 높은 증거가 배제되어 실체진실 발견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도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증거동의제도는 기존의 다수설과 달리 해석함으로 인해, 실체진실주의와 신속한 재판의 원칙에 보다 기여할 수 있고, 피고인의 동의는 의무적이 아니기 때문에 피고인이 동의하지 않으면 전문법칙이나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그대로 유지될 것이므로 적정절차원칙에 흠이 가는 것도 아닐 것이다. 증거동의제도는 소송경제에 기여하여 좀 더 신속하게 신체진실에 다가가기 위한 제도이다. 이러한 제도의 취지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는 제318조의 인정근거는 권리포기설로 과감하게 해석하고, 서류뿐만 아니라 물건으로 규정한 취지에도 맞게 전문증거 외에 위법수집증거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그 제도의 기능을 보다 더 활성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되면 명문화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은 엄격하게 준수하면서도, 이로 인해 재판의 진행이나 실체진실의 발견이 발목 잡힐 일도 그만큼 줄어들게 할 수 있는 하나의 제도장치가 제318조 증거동의제도가 되는 것이다. 위법수사의 억지뿐만 아니라, 실체진실에 맞는 공정한 재판에 의해 피해자의 피해에 상당하도록 범죄자가 적절한 죄를 인정받고 처벌받는 것 또한 정의에 합당한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수사기관의 수사상의 잘못으로 인해 중대한 증거의 증거능력이 인정받지 못하게 되어 범죄자가 무죄방면 되는 경우도 우리는 위법수사 만큼이나지양해야 한다. 이에 대한 하나의 입법적 대안으로서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위법수집증거에 대한 증거동의 제318조로 인정하는 해석을 제안해 본다. 위법수집증거에 대한 증거동의를 인정하여, 이를 피고인의 주관적 권리화 시켜서, 피고인이 주장하는 경우에 당해 증거의 증거능력 여부에 대해서 법관이 판단하되, 피고인이 주장하지 않거나 혹은 위법수집증거이지만 증거사용에 대하여 동의를 한 경우에는 증거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용한다면,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이 의도하지 않았던 부정의한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existing majority theories say, the Article 318 of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is related only to hearsay evidences. The Article 318 is provided; Article 318 (Agreement of Parties and Probative Value of Evidence) (1) Documents or articles on which the public prosecutor and the defendant agree shall be admitted as evidence when deemed to be genuine. (2) In cases where trial may be held without the presence of the defendant and the defendant does not appear, he shall be deemed to have given the consent mentioned in the preceding paragraph: Provided, That the same shall not apply where a proxy or defense counsel appears for the defendant. They say, the basis of agreement system of evidence is to give up of confrontation right by parties. Therefore, when there is to give up of confrontation right, hearsay evidences that don’t have any admissibility of evidence. But in this paper theory of right to disposal is received attention. According to theory of right to disposal, we can use not only hearsay evidences but also illegally acquired evidences when there is consent of defendant. And the theory of right to disposal can explain consistently the possibility of a protocol in which the public prosecutor recorded a statement of a defendant, or ‘thing’ that is provided in express terms in the article 318, even though they are not related to confrontation right by parties There have been many heated controversy about the standard of illegality since the article 308-2 was provided in express terms. But when we can use the system of article 318, criminal procedure can be saved and the truth of the case can be more easily founded with the consent of defendant. It is conductive to not only the truthfinding function of the process, speedy trial. but also due process of law.

      • KCI등재

        위험 개념에 근거한 부작위범의 보증인지위 -형법상 위험개념의 체계적 해석과 관련하여-

        류화진 ( Hwa Jin Ryu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홍익법학 Vol.12 No.2

        형법상 부작위범 규정의 개정 논의 중 ``위험`` 개념에 관한 논의가 최근 활발했고, 그럼에도 최종적으로는 ``결과``로 개정하지 않고 원래의 규정을 유지하는 것으로 개정법률안 제안이유서에서 밝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험 개념이 부작위범에서 가지는 기능에 관해 초점을 맞추어, 위험 개념이 부작위범의 객관적 구성요건요소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위한 도구개념이 되기 때문에 ``위험``개념을 개정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전체적인 취지이다. 또한 위험개념은 부작위범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보증인지위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생각하며, 위험개념은 보증인지위의 발생근거와 보증의무의 내용을 결정하는 두 가지 큰 기능을 한다는 것을 논증하고 있다. 그 결과 보증인지위의 발생은 보증인과 피해자 간의 특별한 관계에 기인하여 발생하며, 보증인지위의 발생근거의 해명은 그러한 특별한 관계를 밝혀내고 근거지우는 것에 한정되고 집중되어야 한다. 실질설에서 말하는 안전의무라고 하는 논의의 영역은 위험과의 관계로 보았을 때 부작위범의 범주가 아니라고 해야 한다. 위험원을 자신의 영역에 소지한 자는 그로 인해 위험원을 차단할 의무만 발생하고 이로부터 타인에 대한 구조의무의 발생은 도출할 수가 없다. 그러나 부작위범에서 말하는 작위의무는 위험원을 차단할 의무와는 본질이 다른 ``구조의무``를 의미하는 것이며, 그래서 부작위범이 작위범과의 동가치성이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 위험원을 차단하지 않은 부작위는 작위범과의 동가치성이 인정된다고 보기는 힘들다. In Bezug auf Unterlssungsdelikte gibt es viele gestrittene Probleme. Unter anderem handelt es sich in dem vorgelegten Aufsatz um die Garantenstellung und Gefahr. Im koreanischen Strafgesetzbuch §18 ist das Unterlassungsdelikt formuliert. Dieser Paragraph lautet folgendermßen: "Wer es unterlasst, eine Gefahr abzuwenden, wenn er verpflichtet ist, den Eintritt einer Gefahr abzuwenden, oder wenn er durch sein Tun eine Ursache des Eintritts einer Gefahr herbeigefuhrt hat, ist wegen des Erfolges strafbar". Unter dem Begriff "Ingerenz" versteht man im allgemeinen "ein gefahrliches Vorverhalten" oder "Herbeifuhren einer Gefahr". In dem vorgelegten Aufsatz wird sich danach gerichtet, dass ein Ingerent einen tatbestandlichen Umstand verursacht. Die Existenz des tatbestandlichen Umstands ist eine von Voraussetzungen des Unterlassungsdelikts. Unter dem Begriff "tatbestandlicher Umstand" versteht man "ein Umstand, in dem eine Gefahr fur Rechtsgut heribeigefuhrt wird". Das heisst, die Gefahr ist keine nur fur Ingerenz besonderes Element, sondern der Begriff, der im ganzen Strafgesetzbuch systematisch verstanden werden muss. Als Voraussetzung der Ingerenz-Garantenstellung wird das Heribeifuhren einer Gefahr angenommen. Im StGB kann die Gefahr als die Moglichkeit des Eintritts eines tatbestandmaßigen Erfolges. Deswegen genugt nicht, dass eine abstrakte und allgemeine Gefahr herbeigefuhrt worden ist, sondern dass eine konkrete Gefahr fur Rechtsgut verursacht worden ist.

      • KCI등재

        반려동물의 공격과 소유자 등의 형사책임

        류화진(Ryu Hwa Jin)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29 No.1

        반려동물은 외로움을 느끼는 인간에게는 인간이상의 좋은 친구가 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특히 반려동물을 통한 심리치료를 보면, 이러한 반려동물이 인간과 교감할 수 있는 능력은 분명 무생물인 유체물 이상의 존재임은 분명하다. 이들도 생명의 고귀함과 평화롭고 행복한 생활을 영위해야 하는 자연의 일부이다. 그러나 이들의 평화와 행복은 인간이 함께 행복할 때 의미가 있다. 나라마다 동물에 대한 문화와 정책이 다르다. 일찍이 서양 유럽에서는 개를 가족으로 여기는 문화가 퍼져있었고, 이로 인해 독일민법처럼 개는 물건이 아니라는 명시적인 규정이 등장하기 까지 했다. 그러나 이들 나라에서는 개를 기르는 주인에 대한 의무와 개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규정들은 매우 엄격하고, 맹견을 기르기 위해서는 자격증이 있어야 할 정도로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지고 있다. 스위스와 독일이 동물의 보호에 관한 조항을 헌법에까지 두고 있을 정도로 동물복지가 법체계적으로 잘 갖추어 졌다고 부러워만 할 일이 아니다. 이러한 나라들에서는 동물을 기르고자 하는 주인은 일정시간 교육을 이수해야 하며, 기르는 동물은 모두 등록을 해야 한다. 스위스는 동물을 처음 키우는 사람에게 일정 시간 교육을 이수하여 동물에 관한 규정을 인지하도록 하고 동물 예절을 배우게 하고 있다. 덩치가 큰 개의 경우에는 학교와 같은 훈련기관을 수료해야 한다.26) 이러한 동물 소유자로서의 책임과 의무에 대해서는 낯설어 하고 소홀히 하면서, 동물복지만을 부러워하고 추종하고자 하는 것은 반려동물 소유자로서의 성숙된 자세는 아니라고 본다. 책임과 의무 없이는 권리의 향유도 당연히 있을 수 없다. 동물보호법상 등록대상동물 규정이 있지만, 과연 자신의 반려견을 등록한 사람은 몇이나 되나? 서울시만 해도 절반 수준에 못 미친다고 하며, 그 이유로는 절차가 복잡하다는 점, 실효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점, 혹은 개에게 내장되는 인식칩이 부작용을 미칠까봐 두려워서 등이다.27)반면, 우리나라는 반려동물에 대한 법적 · 제도적인 정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갑자기 반려동물의 수만 급증하게 되었다. 타인보다 자기자신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는 이제 타인의 생명 · 신체보다 자신의 반려동물의 자유를 더 중요시 여기는 왜곡된 사랑으로 표현되고 있다. “우리 개는 물지 않아요” 라고 하며 아무에게나 달려드는 개를 사랑스러운 눈으로 지켜보는 개 주인에게, 결코 다른 사람들은 그 개가 사랑스럽게만 보이지는 않는 다는 것을 알려주어야한다. 자신처럼 다른 사람도 그 개를 무조건적으로 사랑해야 할 필요도 없다. 자신의 개가 사랑스러운 만큼 그 개에 대한 안전조치를 확실히 하여, 타인에게 피해는 물론이고 불필요한 ‘접근’조차 하지 않도록 하는 개 소유주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 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식이 자발적으로 강화되지 않는다면 법적인 제재를 강화해서라도 그러한 반려동물 문화를 만들어가야만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정 동물보호법은 이러한 인식 변화의 겨우 첫걸음 정도를 뗀 것으로 보인다. 향후 등록대상동물의 미등록, 안전장치 미착용 등에 대해 법적으로 강력한 제재를 통하여 보다 안전하고 평화로운 반려동물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importance of animal companions to compensate for the loneliness of today s hardhearted people has grown bigger than ever. On the other hand, side effects are also serious. They include conflicts between neighbors over dog bite accidents, problems with abandoned dogs, and problems with cruelty to animal. In the meantime, people are often attacked by dogs, and eventually killed by dogs. However, as this is an accident caused by a dog, not by a human being, there is also much controversy over the legal process. To what extent is the animal owner liable for animal attacks? In particular, in this paper I am paying attention to the criminal responsibility of pet owners for dog bite accidents. When the owner goes out with a registered animal or a fierce dog, he must wear a leash and a muzzle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This violation is subject to a fine, and a person s fatal accident caused by such a violation is subject to criminal penalties under the revised Animal Protection Act. But there is no regulation in that Animal Protection Act to fine people who let animals subject to registration, not fierce dogs, out. If a dog bite a person in this situation, regulations of crime by negligence or by occupational or gross negligence should be applied, because there is no provisions about these situation in the Animal Protection Act. Rather, I think the part that needs to be dealt with strongly legally is the sanction against violation of safety devices, such as dog leash and muzzle. I think the light sanctions are insufficient to prevent the increasing number of pet accidents. While it is important to punish severely after a crime has occurred, it also requires strong measures to prevent dangerous situations before casualties occur. Violations of the owner s duty on dogs that are not used to leash and muzzle should be defined as operating criminals and punished with criminal penal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성적 인식 변화에 따른 형사법의 전망

        류화진(Ryu Hwa-Ji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연구 Vol.47 No.2

        우리 사회에서 성적인 언식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법개정은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법과 현실과의 괴리가 발생하고 있다. 성과 관련된 형사법 규정은 크게 개인적 법익에 관한 범죄인 성폭력범죄와 사회적 법익에 관한 범죄인 성풍속에 관한 범죄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개인적 법익인 성적 자유 혹은 성적 자기결정권을 침해하는 범죄이고, 후자는 건전한 성도덕 · 성윤리라는 사회적 법익을 침해하는 범죄이다. 범죄라는 것이 법익을 침해하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그 행위에 대한 가벌성이 근거지워지는 만큼, 개인적 법익인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를 범죄로 규정하여 처벌하는 것은 그 자체의 타당성이 부정될 수는 없다. 그러나 사회적 법익으로 규정된 성풍속에 관한 범죄로 인해 침해되는 성도덕, 건전한 미풍양속과 같은 것은 그 기준과 실체가 모호한 만큼 이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인간의 행위를 처벌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학설이나 입법의 방향은 전체적으로 보면 성폭력범죄는 그 규제가 강화되어 가는 반면, 성풍속에 관한 범죄는 처벌의 완화 내지는 비범죄화하는 추세로 일견 보인다. 개인의 성적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침해는 엄격하게 처벌하되, 그러한 성적 자유의 범위 내에서 행한 피해자 없는 범죄에 대한 처벌은 완화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요컨대 성폭력범죄의 처벌은 강화되고, 성풍속에 관한 범죄의 처벌은 완화되어야 한다. 특히 성풍속에 관한 범죄는 형사적 처리와 민사적 처리 및 행정적 처리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관점에서 상대적으로 형사적 처리의 영역을 축소해야 할 것이다. 다만 방법론적인 면에서 기존의 성풍속에 판한 범죄를 폐지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이 아니라, 기존의 규정을 더 세분화하여 형사처벌의 필요성이 있는 행위를 구체화시켜 수범자인 국민이 금지된 행위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인식하는 방법으로 형법을 개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개인의 성적인 자유를 최대한 존중하고 보장하기 위해서 이에 대한 침해는 엄격하게 처벌하되, 피해자 없는 성행위에 대해서는 성도덕 · 성윤리라는 모호한 기준으로 과잉처벌하는 예는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