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GIS 분석을 활용한 스포츠 부상 방지를 위한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취약 권역 분류

        류혜인,이정헌,공성아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1

        This study uses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classify districts with a high rate of potential facility-related injuries, implement a map that classifies the vulnerable areas of Seoul’s public sports facilities for sports facility safety management, and set related prior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way to prevent sports injuries and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sports facilities. To analyze the vulnerable district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e safety inspection results provided by the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and the safety accident survey provided by the Korea Sports Safety Foundation were used, and the python tool was used as the analysis tool. Vulnerable districts were selected by reclassifying the number of public sports facilities by each district, the population engaged in sports activities, the area of old buildings, and the previously implemented comprehensive safety inspection rat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ngpa-gu had the highest probability of using vulnerable public sports facilities with 1.962, and Geumcheon-gu had the lowest with 0.435.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various other programs, includ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ill help to build the operating system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f public sports facilities more systematically and rationally, which are increasing, and establish a culture of safe sports facilities without injuries and accidents. do. 본 연구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법을 활용하여, 잠재적인 시설 관련 부상 발생률이 높은 지역구를 분류하고 체육 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서울시 공공체육시설 취약 권역을 분류한 지도를 구현함으로써 관련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발생할 수 있는 스포츠 부상을 예방하고 체육 시설 관리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공체육시설 취약 권역 분석을 위해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제공되는 안전점검결과와 스포츠 안전재단에서 제공하는 안전사고 실태조사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도구로는 Python Tool을 활용하였다. 각 자치구별 공공체육시설 수와 체육 활동 인구 및 노후건축 년도와 기존에 시행된 안전점검 종합등급을 재분류하여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송파구에서 체육 활동을 하는 인구가 취약 체육 시설을 이용할 확률이 1.962번으로 가장 높았으며 금천구가 0.435번으로 가장 낮았다. 끝으로 GIS 기법을 포함한 다른 다양한 프로그램의 활용을 통해 증가하는 공공체육시설의 운영 시스템과 안전관리 시스템을 더욱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어, 부상과 사고가 없는 안전한 체육 시설 문화가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구개부에 발생한 다형성 저등급 선암종: 증례보고

        류혜인,지유진,이덕원,김태희,홍성옥,동목,Ryu, Hye-In,Jee, Yu-Jin,Lee, Deok-Won,Kim, Tae-Hee,Hong, Sung-Ok,Ryu, Dong-Mok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2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4 No.1

        Polymorphous low-grade adenocarcinoma (PLGA) is a neoplasm that is regarded as the second most commo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after mucoepidermoid carcinoma. After the diagnosis of PLGA it is important to make a treatment decision and consider the prognosis. 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is necessary for diagnosis. Treatment is primarily surgical excision and long-term follow up is essential to evaluate local recurrences. This report describes 2 cases of PLGA located in the soft palate without any evidence of metastasis. The first case was PLGA with bony infiltration and an irregular margin lesion. The second case was PLGA localized in palatal soft tissue. We present diagnoses, histopathologic features, treatments and prognosis of PLGA.

      • KCI등재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류혜인,이정훈,조정원,Ryu, Hyein,Lee, Jeonghun,Cho, Jungwo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7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K-12 대상 인공지능 교육체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교육 프로그램은 실생활의 문제 중에서 최근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주요 주제로 선정하여 총 12차시로 구성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교육의 효과성 분석과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인공지능 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하였고, 수업 만족도는 교육 내용, 수업에 대한 재미, 수업의 난이도, 인공지능에 대한 흥미 등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I education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help understand AI and to provide an experience of solving real-life problems by using AI,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AI education system for K-12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was composed of a total of 12 lessons by selecting the self-driving cars, which is emerging as a recent issue among real life problems, as the main topic. Classes were conducted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software educ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class satisfac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understanding of AI and the sense of AI efficacy were improved, and the class satisfaction was high in all items such as educational content, fun in class, difficulty of class, and interest in AI.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AI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were proposed.

      • K-12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육체계 제언

        류혜인(Hyein Ryu),조정원(Jungwon Ch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4 No.2(A)

        인공지능 기술의 급부상으로 인해 기존 초중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교육에 인공지능 교육의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만5세 대상 유치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공지능 교육체계는 학령별, 단계별로 적용 가능하도록 놀이(Play), 문제해결(Problem Solving), 제작(Product Making), 그리고 프로젝트(Project) 4단계의 교육전략을 설계하였고, 수준을 크게 AI소양과 AI개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인공지능 교육체계는 단순한 이론 수업이 아닌 인공지능기반 문제해결을 위한 실습 위주의 교육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특히 AI개발 수준에서는 마이스터고 등에서 필요한 직업교육으로서의 AI교육을 포함하고 있다.

      •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한 중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제언

        류혜인(Hyein Ryu),조정원(Jungwon Ch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1(A)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선도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빠르게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고 미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초·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를 분석하고,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K-12 대상 인공지능 교육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중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2차시로 구성된 교육 프로그램은 실생활의 문제 중에서 최근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주제로 선정하였고 피지컬 컴퓨팅으로 자율주행 자동차를 구현해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 KCI등재

        Comprehensive MicroRNAom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lzheimer Disease and Cancer in PSEN Double- Knockout Mice

        함수지,김태규,지원,김용식,Ya-Ping Tang,혜인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2018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Vol.22 No.4

        Purpose: Presenilins are functionally important components of γ-secretase, which cleaves a number of transmembrane proteins. Manipulations of PSEN1 and PSEN2 have been separately studied in Alzheimer disease (AD) and cancer because both involve substrates of γ-secretase. However, numerous clinical studies have reporte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AD and cancer. Interestingly, AD is a neurodegenerative disorder, whereas cancer is characterized by the proliferation of malignant cells. However, this inverse correlation in the PSEN double-knockout (PSEN dKO) mouse model of AD has been not elucidated, although doing so would shed light onto the relationship between AD and cancer. Methods: To investigate the inverse relationship of AD and cancer under conditions of PSEN loss, we used the hippocampus of 7-month-old and 18-month-old PSEN dKO mice for a microRNA (miRNA) microarray analysis, and explored the tumorsuppressive or oncogenic role of differentially-expressed miRNAs. Results: The total number of miRNAs that showed changes in expression level was greater at 18 months of age than at 7 months. Most of the putative target genes of the differentially-expressed miRNAs involved Cancer pathways. Conclusion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many of the miRNAs involved in Cancer pathways were found to be known tumorsuppressive miRNAs, and their target genes were known or putative oncogenes. In conclusion, the expression levels of known tumor-suppressive miRNAs increased at 7 and 18 months, in the PSEN dKO mouse model of AD, supporting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 and cancer.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증거수집 모델 제안

        이상우(SangWoo Lee),류혜인(Hyein Ryu),조정원(Jungwon Ch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5 No.1(A)

        최근 지능정보 사회에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전자정보기기들이 많이 활성화되었다. 디지털 전자정보기기들이 많이 활성화되면서 범죄 와도 연관성이 높아지고 있고, 이로 인해 경찰의 디지털 증거분석 건수가 시간이 흐를수록 많아지고 있다. 범죄와 연관된 디지털 전자정보기기의 저장 매체에서 디지털 증거수집과 분석을 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디지털 증거의 유무 판단도 오로지 조사자의 역량에 따라서 구별하게 된다. 또한 피조사자의 디지털 전자 정보기기에서 무분별하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면 피조사자의 프라이버시도 침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디지털 증거수집의 시간도 줄여주고, 피조사자의 프라이버시도 지켜줄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증거수집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