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글 궁체 자형의미적 원리를 계승한 디지털 본문체 개발에 대한 고찰

        류현국,이승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6 문화와예술연구 Vol.8 No.-

        해방 후, 한글 서예라는 이름으로 붓글씨 교육이 공식화되고, 한글 가 로쓰기의 보급과 함께 서예가들은 가로쓰기, 붓글씨 교육을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전통적인 세로쓰기 규범 대신, 다양한 서예 글씨본과 교과서 에 서양의 가로쓰기처럼 가로 기준선을 의식해서 쓰여 진 자형이 나타났 다. 여기에 맞추어 초성에서 중성으로 이동할 때 붓의 움직임과 선의 방 향, 자모 위치와 결합 등이 가로쓰기 운영을 위한 가로 기준선에 맞도록 자형의 변화가 이루어졌다. 1950년대부터 문교부 정규과목으로 한글 서예 교육이 초등학교 기본 교육으로 실시되어 왔다. 가로쓰기의 교육의 일환으로 다양한 서예교과 서가 가로쓰기 글씨 표본을 제시하였다. 1959년 문교부가 발행한 『초등 글씨본』에는 현대 가로쓰기 디지털 본문용 서체 설계에 참고가 되는 기 본 요소들이 무척 많다. 세로쓰기 전통으로 형성되어 온 정자 궁체를 가 로쓰기로 할 때는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가하는 기본적인 내용이 제시되 어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글 궁체의 규범과 미적 원리를 계승한 디지털 본문체 개발을 위한 고찰을 해본다. 특히 ‘초등학교 글씨본 교과서’에 소개되어 있는 궁체의 붓글씨들을 살펴보면서, 한글 낱글자가 이루어지는 규칙과 가로쓰기로 쓰인 자형의 특징, 그리고 가로쓰기로 바뀌면서 어떤 방식으 로 자형을 조정했는지 분석을 통해서 검토한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1950년대 문교부가 발행한 대표 붓글씨 교과서를 선정하여 실증적 증거 자료를 통해서 증명하고, 바람직한 현대 가로쓰기와 가로조합 디지털 한 글 본문체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Seal engraving has been through many changes and development in sync with history of mankind. The object of expression changed from pattern imprinted in early New Stone Age to iconograph · design · letter, and its usage also changed from utility and token of belief to enjoyment and incantation. Therefore, It was considered as object of expressing Totemism and Shamanism at that time. These changes of usage are closely related to awareness of that time and folk rituals, so it eventually developed into ornamental purposes as wealth · long life · Beoksa · Ap-seung. Especially, the meaning of prayer was strengthened through Iconographic seal, so Taoists of the period of Wei, Qin, North and South Dynasties wore seal engraved <Hwang-sin-wol-jang> when they went mountains for praying to drive away beasts and evil spirits. And this custom raised artistic value of Iconographic seal so it developed into sealing in Won Dynasty and after Ming and Qing Dynasty it systemized into independent art. In other words, there were many changes in usag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dependent art system from simple utility. And I found the meaning of Seal engraving and symbolism through form and content of Seal engraving emerged from these process.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raise the value of Seal engraving as historical legacy developed and changed with history of mankind not just as simple practical, artistic product.

      • KCI등재후보

        韓国の文字政策の共存から混乱と漂流、そ して人々の力 ―日本の漢字施策と印刷技術に伴う国際規格の事例―

        劉賢國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4 No.-

        한국, 중국, 일본 3국 공통의 「상용한자 800자 선정」초안이 2013년 일본 홋카이도에서 발표되었다. 이것은 한중일 한자 문 명의 역사를 향해 새로운 한걸음을 내디딘 것을 보여주고 있 다. 동아시아 공유 가치를 확산하고 3국이 미래의 교류를 보다 활성화 하자는 인식에서였다. 본고는 한국에서 본연의 한글 교 육 정책에 따른 한자 교육을 통해서 보다 좋은 유용한 방향성 을 고찰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 세계 공통어문, 공통 문자권과 한문, 한자 문화권의 역사적 배경과 한글과 한자의 역사적 관 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일본의 한자 문제나 중국 한자와 비교하고, 한자・한문을 둘러싼 현재의 문제와 해결 방법을 고 찰하였다. 특히 일본의 한자 시책 및 인쇄 기술에 따른 국제 표준 규격에 대한 선행 연구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문자는 누 구를 위해 있는지 문자의 표현 기술 및 한자 서체 디자인 및 인쇄 기술 등에 관하여 재정리을 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문자 교육에 있어서 관련 연구자들과 기초 자료로 공유가 기대된다. 韓国、中国、日本の3カ国共通の「常用漢字800字選定」草案が 2013年北海道で発表された。これは、日中韓の漢字文明が歴史に 向かって新たな一歩を踏み出したことを示している。東アジア共 通の価値観を拡散し、3カ国が、将来の交流をより活性化しよう という認識であった。 本稿は、韓国において本来のハング ル教育政策による漢字教育を通し、より良い有用な方向性を考察 した。まず、そのために世界共通語文、共通の文字圏と漢文、漢 字文化圏の歴史的背景とハングルと漢字の歴史的関係について整 理した。また、日本の漢字問題や中国の漢字と比較して、漢字· ハングルにめぐる現在の問題とその解決方法を考察した。特に日 本の漢字施策と印刷技術による国際標準規格の先行研究の事例を 調査し、文字は誰のためにあるのか、文字の表現技術と漢字書体 のデザインと印刷技術等に関して再整理を行った。その結果、韓 国の文字教育における関連研究者との基礎資料として共有が期待 される。

      • KCI등재

        한국근대활자인쇄사연구 : 중국에 있어「독립신문」의 창간과 전개 그리고 타이포그래피 디자인

        劉賢國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일제식민지시대(1910-1945)에 있어, 중국상해 프랑스조계지의 한국인거류지을 거점으로, 독립신문의 간행과 인쇄활동에 관하여 조사자료의 검증을 통해, 한국근대인쇄활자사의 재정리가 목적이다. 지금까지, 상해대한민국망명임시정부의 독립운동과 관련하여 발간된 신문·잡지는 이 지역의 독립 운동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언급 되어왔다. 그러나, 하나의 출판물이 무사히 발간되기 위해서는, 원고집필, 자금조달, 활자제작, 인쇄, 검열등 여러가지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중국내에서 누가, 어떻게 한국어, 한자활자를 제작하여 제공했는지에 대한 배경과 경위. 또, 그 활자가 어떤 제작소에서 주조되었고, 어떤 인쇄소에서 조판되어 발간되었는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지금까지, 근대활판인쇄술의 발상지로서 상해 지역의 한국인에 의한 한국어, 한자 활자로 발간된 신문과 잡지에 관한 단일 주제로 다룬 연구 논문은 발표 된 적이 없었다. 필자는, 국내외 조사자료의 추적과 검증의 결과, 독립신문은 3가지가 존재했었다는 결론에 다달았다. 첫째는, 국내판 순한국어 "독립신문" (1897-1899)은 개화기에 민간인의 계몽과 서구문물의 소개을 목적으로 창간되었다. 둘째는, 중국에 있어 상해판 "독립신문" (1922-1924)은 중국어판과 한국어판의 2종류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출범에 따라, 중국내 한국인과, 당시 4 억명의 중국인에게 한국의 자주독립운동의 활동을 알리는 목적으로 창간되었다. 세째는, 충칭판 "독립신문" (1943-1945)은 일제 감시을 피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동과 함께 문화공보활동을 목적으로 창간되었다. 이와같이, 국내외 3종류의 "독립신문"이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간행된 사실을 재정리 하였다. 특히, 상해판 "독립신문"의 타이포그래피에 관해서 명확히 했다. 1) 상해 상무인서관(商務印書館)에서 한국어활자 개발이, 조동호(趙東祜,1892-1954), 주요한(朱耀翰,1900-1979)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2) 상해판 "독립신문"의 창간 배경과, 신문발행의 과정에서 활자의 식자, 문선, 인쇄, 배포등의 동향을 정리했다. 3) 한국어활자 해서체 제 5호(3.68미리)활자 개발과 개량, 최초의 제목용 제 4호(4.81미리)고딕체 사용에 관하여 분석했다. 4)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1889~1961)의 조선예술의 사랑과 활동을 다룬 내용이, 일제 검열로 중지된 사실과 원본의 기사내용을 밝혔다.

      • KCI등재

        한글 분합활자 개발의 역사적 변천과 타이포그래피

        류현국,안상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For studying representative Korean printed book made from Europe, China, Japan and Korea at enlightenment of modern type printing, I classified a framework of various literature materials including dictionary, grammar book and so on. Analysing a representative material and I verified Korean subdivision/combination type's significance, completeness and element. Then I realized historical transition and typography's characters of rectangular blocks, subdivision/combination type and compromise text. This result should be valuable as a basic material for study of Korean print history and development of typeface. I could know drastic push of design and behavior analysis of user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success of concept. 근대 활자 인쇄사의 개화기에 유럽, 중국, 일본, 한국에서 만들어진 대표적인 한글 활자본을 연구하기 위하여 사전 및 문법서, 회화 학습서, 단행본(견본장)의 문헌 자료를 국내외에서 추적하여 발굴한 자료를 수집 및 검증하여 그 체계를 분류하였다. 또한 수집한 자료에서 추출한 대표 문헌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한글 분합 활자의 개발의 역사적 의의, 완성도, 엘리멘트의 특징에 따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분합활자가 사용된 6종류 대표활자본을 처음으로 발굴하여 자형설계방침, 자형의 비율, 활자 크기 등에 관한 자형의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사각활자, 분합활자, 절충활자의 역사적 변천과 타이포그래피의 특징을 파악했다. 이 연구의 성과는 근대 한글 활자 인쇄사 연구와 타이프페이스 개발과 교육에 귀중한 기초자료로서 충분히 가치 있는 자료임이 확인 되었다.개발의 콘셉트를 명확히 하고 그 콘셉트의 성공을 위해 기존의 원칙을 벗어나서 과감한 디자인의 추진과 사용자의 행태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글 타이프라이터의 개발과 타이포그래피

        류현국,안상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4

        Typewriter has extended differentiation of horizontal writing since emancipation. A basic purpose of development of Korean typewriter is how to make compatible between efficiency and aesthetic of type. A case of efficiency happened by development of various typewriter through research of using shift, type arrangement, recognition method and so on. From the side of maintaining traditional Korean type, it couldn't be avoided irregular frame by mechanical character. In case of giving priority to efficiency of recognition speed, I could see tendency to maintain a type though it's different from traditional frame. There are 3 types of font developed in modern. These types' coexistence is proved that it's still on the extension of development of Korean typewriter. 해방 후에 본격적으로 개화한 민주 교육과 함께 한글 가로쓰기 문화의 보급을 타자기가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한글 타자기의 개발에 있어서의 기본 목표는 인지 속도를 중심으로 하는 효율성과 문자의 미적 문제를 어떻게 양립시킬지에 있었다. 인지 효율성의 문제는, 한글 사용 빈도에 의한 문자판에 문자의 배열, 쉬프트 키의 사용률, 활자의 배열, 인지 방법 등의 연구로 2벌식, 3벌식, 4벌식, 5벌식 타자기 개발과 개량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전통적인 한글 서체의 골격을 유지하고자 하는 입장에서는, 같은 자모에 여러 변형을 주면서도 정사각형 보디를 자형의 기준으로 했지만, 그래도 영문 타자기의 기계적인 속성에 의해서 가지런하지 않은 자형이 생겨나는 것은 피할 수 없었다. 이에 인지 속도의 효율성을 우선할 경우에는, 전통적인 골격과는 다르긴 하지만, 자형을 유지하려는 경향도 보였다. 현대에 개발된 폰트 형식은, 정사각형 보디의 고정 사각 틀, 가변 문자 폭 중심의 라인 방식 및 양자의 절충 형식의 3가지임이 밝혀졌다. 이 형식의 공존은 여전히 한글 타자기 개발의 연장선 위에 있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 KCI등재

        러시아의 문자개혁 정책과 소수 민족어의 문제 - 문자개혁 정책의 역사적 흐름과 그 길항에 대하여 -

        류현국,이상혁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utline the history of Russian language policy developed before and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in October 1917,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low and direction of Russian writing reform in the historical context. In addition, We wanted to examine how the change of Russian text reform was related to the problem of ethnic languages ​​at the time. First of all, this paper dealt with the problem of simplification of Cyrillic script for Russian modernization. The writing reform of Peter the Great was the introduction of secular writing along with the simplification of the Cyrillic script. Through this, Russia as a country in Europe provided an opportunity to promote its modern advancement. Russia, where language communication was inefficient, pursued the efficiency of writing on the road to modernization. Second, we looked at the Sovietization policy based on Latin scripts in the 1920s.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the language policy of the Soviet Union led by Lenin was to strengthen national autonomy and to improve the status of ethnic languages ​​as part of the policy of inculturation. It was a measure of respect for all members of the Soviet Union and the first attempt at internationalism of language. As part of the communist policy toward Western Europe, there was a concrete linguistic practice called the conversion of the Latin script of the writing system in Russia during the Lenin era. Third, the monolingual policy and Cyrillic script policy of the 1930s were examined. With the advent of Stalin, from the mid-1930s, the policy of single-state language was strengthened by the policy of Sovietization, that is, Russianization. The Latin script of the previous period was abandoned and the Russian Cyrillic script was forcibly conver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Unlike the ideals of the early Soviets, Stalin's national language policy was a policy that thoroughly divided Russia in the center and Russia in the periphery on the basis of pan-Russianism. This policy did not take into account minorities and their national languages.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talin's language policy and the problem of ethnic languages ​​was examined. Minorities without writing had no choice but to assimilate into the Stalinist Cyrillic policy. However, because the Russian-Korean(고려인) were a minority ethnic group with the ‘Hangeul’ script, there was room to protect their language rights to some extent despite the pressure of the Russian-centered Cyrillic policy. In the end, the language policy of the Soviet Union for about 70 years was a coexistence of the national language and the bilingualism of Russian,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federal central government to make Russian the only national language. And in such a macro-flow, there was a change in the writing policy. What is clear is that although the Soviet language policy had a compulsory intention, it was a language policy with a certain degree of flexibility when viewed from a historical context. it was unique and unprecedented in world history. 이 논문은 1917년 10월 러시아 혁명 전후로 전개된 러시아 언어 정책의 역사를 개괄하고 그 역사적 맥락에서 러시아의 문자 개혁의 특징적인 흐름과 지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러시아의 문자 개혁의 흐름이 당시 소수 민족어의 문제와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 함께 고찰해 보고자 했다. 우선 이 논문에서는 러시아 근대화를 위한 키릴문자의 간략화 문제를 다루었다. 표트르 대제의 문자개혁은 키릴 문자의 간략화에 따른 세속 문자의 도입이었다. 두 번째로 1920년대 라틴문자에 기반한 소비에트화 정책을 살펴보았다. 러시아 혁명 후 레닌에 의해 주도된 소련의 언어정책은 민족 자율성 강화와 토착화 정책의 일환으로 소수 민족 언어의 지위 향상에 있었다. 그것은 언어의 국제주의를 위한 첫 시도였다. 세 번째로 1930년대 스탈린의 등장과 함께 단일언어 정책과 키릴문자화 정책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스탈린의 언어정책과 소수 민족어의 문제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상황 속에서 고려인은 ‘한글’ 문자를 가진 소수민족이었기 때문에 러시아어 중심의 키릴화 정책의 강제 속에서도 어느 정도 언어 권리를 지킬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약 70년 간 소련의 언어정책은 연방 중앙정부가 러시아어를 사실상 유일한 국어로 삼으려 했던 의도와는 달리 민족어와 러시아어의 이중언어 사용의 병립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거시적인 흐름 속에서 문자 정책의 변혁이 있었다. 소련의 언어정책이 강제적인 의도를 가졌음에도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동반한 언어정책이었고, 세계 역사상 유래 없는 독특한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일본활판소의 견본장속에 비친 한글활자(1879-1940)

        류현국 ( Hyun Guk Ryu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0 No.-

        일본 활판소의 견본장 조사에서 발췌한 한글 활자의 제작연대, 활자 크기별로 분류하여, 자형의 특 징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879 년 도쿄 츠키치활판소 견본장에는 3 호 활자, 그리고 1884 년 4 호활자, 1903 년 5 호 활자, 3 호 활자, 2 호 활자가 소개되었다. 그 외 슈에이샤, 아오야마세분도, 모리카와 류분도는 도쿄츠키치활판소의 활자을 계승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각 활판소에서 독자적으로 제작한 활자는 2 호, 3 호, 4 호, 5 호 활자 4 종류이다. 또한, 한글 활자를 제작연대 순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877 년의 상해 미화서관의 4 호 분합 활자이다. 1879 년 도쿄 츠키치활판소가 로스의 주도와 이응찬의 원도로 급조한 3 호 활자이다. 1883 년에 4 호 활 자가 새롭게 추가되었다. 천주교선교사들의 주도로 1880 년 5 호 활자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도쿄 츠키치활판소와 별도로, 각 활판소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된 한글 활자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세 이분활판소 4 호 활자 (1902), 산슈샤 5 호활자 (1902), 아오야마신코우도 2 호활자 (1909), 슈에 이샤 5 호 활자 (1910) 로 분석을 통해 나타났다. 그러나 일본 활판소의 견본장에 나타나지 않은 한글 활자도 다수 존재한다는 사실을 언급해 두겠다. This analysis extracted Hangeul printing types through surveys of Japanese printing houses` sample books and divided them by the year of fabrication and printing type size.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types were analyzed type by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printing type no. 3 was introduced in the 1879 sample book from the Tsukiji Printing House in Tokyo; printing type no. 4 was introduced in 1884; and printing types no. 5, 3, and 2 were introduced in 1903. Other printing houses-Shueisha, Aoyama Sebundo, and Morikawa Ryubundo-followed the printing types of the Tsukiji Printing House in Tokyo. However, printing types independently fabricated by individual printing houses included four types: printing types no. 2, 3, 4, and 5. Hangeul printing types can be arranged by year of fabrication as follows: First, assembling printing type no. 4 was made by Shanghai Mihwaseogwan in 1877. Second, printing type no. 3 was made hastily in 1879 by the Tsukiji Printing House in Tokyo led by Ross using the original form of Lee Eung-Chan. Printing type no. 4 was newly added in 1883. Printing type no. 5 was developed in 1880 led by Catholic missionaries. Individual printing houses separately developed Hangeul printing types independently from Tsukiji Printing House in Tokyo in the following chronology: Seibun Printing House: printing type no. 4 (1902); Shanshusa: printing type no. 5 (1902); Aoyama Shinkoudo: printing type no. 2 (1909); and Shueisha: printing type no. 5 (1910). However, few Hangeul printing types exist other than those shown in Japanese printing houses` sample book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