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천지역 사림파의 선비정신과 작가의식

        류해춘 택민국학연구원 2024 국학연구론총 Vol.- No.33

        이 글은 세 가지 주제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 있다. 먼저 공간적인 측면에서 합천지역의 지명변화와 함께 합천지역의 지정학적인 위치를 점검하였으며, 다음에는 시대적으로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면서 합천에서 출생하고 생활한 선비를 중심으로 사림파의 문학세계와 작가의식을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합천지역의 선비에는 만은(晩隱) 유수정(柳秀汀, 1484~1534),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 1495~1554),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내암(萊庵) 정인홍(鄭仁弘, 1535~1623)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합천의 인물이자, 한국을 빛냈던 선비문화의 대표주자들이다. 이들은 한국사회의 지성인을 대표하는 지식인으로서 제가(齊家)와 경국(經國)의 사이에서 현명하게 심성을 수양하고 국가를 경영한 훌륭한 선비정신의 소유자이다. 마지막으로는 합천지역의 전통문화에 깊숙이 흐르는 조선전기 선비정신의 주체성과 정체성을 검토하여 오늘날 한류의 문화콘텐츠로 합천지역의 선비문화를 승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처럼 합천지역과 전통문화인 고전문학을 결부시키는 작업은 합천지역의 문화정체성을 정립하는 일과 매우 상관성이 있으며, 합천지역에 있는 문화의 정체성을 규명하여 구성원들로 하여금 자신감과 애향심을 고취시키는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tarted by focusing the discussion on three topics. First, from a spatial perspective, the geopolitical location of the Hapcheon area was examined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Hapcheon area. In terms of time, the literary world and author consciousness of the Sarim school were examined, focusing on scholars born in Hapcheon who represented the Joseon Dynasty. Representative figures from the Hapcheo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nclude Man-eun (晩隱) Yu Su-jeong (柳秀汀, 1484~1534), Shinjae (愼齋) Ju Se-bung (周世鵬, 1495~1554), and Nammyeong (南冥) Jo Sik (曺植, 1501~1572), Naeam Jeong In-hong (鄭仁弘, 1535~1623), etc. They are all figures of Hapcheon and representatives of the Seonbi culture that has graced Korea. As intellectuals who represent the intellectuals of Korean society, they possess a great spirit of goodness who wisely managed the country between the Rule Our home and the Ruling the Nation.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subjectivity and identity of the Seonbi spirit, which flows deeply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Hapcheon region, and tried to sublimate it into the cultural contents of today's Korean-style. In this way, the work of associating the Hapcheon region with classical literature, which is the traditional culture, is ver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Hapcheon region,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work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ulture in the Hapcheon region and inspiring the members' confidence and patriotism.

      • KCI등재후보

        19세기 『기수가』에 나타난 담론의 양상과 그 기능

        류해춘 한민족어문학회 2004 韓民族語文學 Vol.44 No.-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debate and the living culture of Kisuga(기수가) in 19 centuries. Kisuga(기수가) is constituted by nine works. These works are Kisuga(기슈가), Dapkisuga(답기슈가), Weyooga(위유가), Haejoga(됴가), Pankisuga(반기슈가), Zasoga(소가), Kisoga(긔소가), Kyesungwoguineo(게승우귀녀), Kwonhoga(권호가). The literary nature of Kisuga(기수가) can be explained through understanding their serial composition. The sister of her husband created Kisuga(기슈가), Weyooga(위유가), Haejoga(됴가), Kisoga(긔소가). The wife of her brother created Dapkisuga(답기슈가), Pankisuga(반기슈가), Zasoga(소가). The woman's mother - in - law created Kyesungwoguineo(게승우귀녀), Kwonhoga(권호가). These works has been to introduce in 1989. However these has not the research of the theory of work up to now. Therefore I tried to explain the debate in the sister of her husband and the wife of her brother and the living culture in Kisuga(기수가). This work shows us the many diverse debate and the valid guides to the life. From 1867 to now these works have succeed up to the writer of women in the sister and the wife of Hwayangdong(화양동). In conclusion, I investigated that Kisuga(기수가) has the new world through the debate and the women-living culture compared with other works of Kasa(가사) in 19 centuries. In order to study Kisuga(기수가) it is desirable to widen an appreciative eye for our literature and to deepen the till now study continuously.

      • KCI등재
      • 조선전기 사대부가사 연구

        류해춘 聖潔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9 人文科學論叢 Vol.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s of the literary meaning of the Sadaebu - Kasa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The existing Sadaebu - Kasa which were written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are the almost twenty poems. The expression of the Sadaebu - Kasa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was very similar to the ways of the expression of the Sadaebu - Kasa in the latter period of Choson Dynasty. To sum up, I researched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Sadaebu - Kasa in the former period of Choson Dynasty and the consciousness of writer.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동학사상에 나타난 보국안민의 의미와 수사학

        류해춘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Donghak began in 1860 by Choi Je-woo (崔濟愚, 1824~1864), a Suun (水雲).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lost its ability to lead the country, with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politics,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ountry, and the function of the state collapsed. The policy of patriotism and security can be found in Donghak's scriptures, Yongdam Yusa(용담유사) and Eastern Bible(동경대전) . These books express concerns internally about the contradiction of the system in Joseon society and the penetration of Western studies as a religion in the discussion of the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externally express concerns about the invasion of East Asia by Western powers. The lyrics written in Korean, Yongdamyusa(龍潭諭詞) , include 「Yongdamga」(龍潭歌, 1860), 「Ansim song」(安心歌, 1861), 「Lesson song」 (敎訓歌, 1861), 「Dosusa」(道修詞, 1861), 「Gwonhakga」(勸學歌, 1861), 「Mongjungnosomundabga」(夢中老少問答歌, 1862), 「Moral song」(道德歌, 1863), 「Heungbi (興比歌, 1863), etc. Donghak lyrics are being passed on. Eastern Bible ,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cludes 「Podeokmun」(布德文, 1861), 「Theory of Donghak」(東學論, 1862), 「Sudeokmun」(修德文), 1862) and 「Buyeongiyeon」(不然其然, 1863), etc. The situ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1860s was a series of very chaotic situations. The chaotic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fact that China allowed the propagation of Western studies was accepted by Choi Je-woo, the founder of Donghak, as a major crisis in Joseon society. The reason why Choi Je-woo(최제우) founded Donghak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propagation of Western learning was allowed in China through the Beijing Treaty. The same family as Hangeul homonyms of the citizens of the homeland 1. Patriotic Anmin (輔國安民):Helping the country with allegiance and making the people comfortable. 2. Patriotic People (保國安民):Protecting the country and making the people comfortable 3. Patriotic Anmin (報國安民):To repay the country's favor and bring peace to the people At the time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1894), the proposition “Jepok-gumin”(除暴救民) appeared as the flag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a metonymy meaning of “patriotic people(보국안민)” and was used together as a slogan for the revolutionary army along with Patriotic Anmin(輔國安民). 최제우는 1860년 동학(東學)을 창도(創道)할 시기에 교도들의 명첩(名帖)에 실천할 계명(誡命)을 적어 주었다. 그 내용은 첫 머리에 용담연원(龍潭淵源), 검악포덕(劍岳布德)이라는 8자를 쓰고, 끝에는 대자특서(大字特書)로 ‘보국안민(輔國安民), 포덕천하(布德天下), 광제창생(廣濟蒼生)’이라는 실현정책을 기록하였다. 여기서 용담(龍潭)은 수운(水雲) 최제우(1824~1864)를 뜻하고, 검악(劒岳)은 해월(海月) 최시형(1827~1898)을 의미한다. 즉, 수운이 동학을 창도하여 근원을 이루고, 해월이 널리 덕을 베풀어 포교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동학은 창도할 때부터 대외적으로 서구열강의 동아시아 침탈에 대한 걱정을 표출하면서 보국안민(輔國安民)의 실현정책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국(輔國)에는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위태로운 국가를 도와서 국가를 개혁해야 하는 상황을, 안민(安民)에는 백성들의 편안함을 추구하여 만민의 평등함을 주장하는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담보하고 있다. 수운 최제우는 용담유사 와 동경대전 에서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동학의 이념으로 채택하였다. 그리고 국가존립의 실현정책으로 보국안민(輔國安民)을 주장하였고, 사회복지의 실현정책으로 광제창생(廣濟蒼生)을 강조였으며, 종교문화의 실천정책으로 포덕천하(布德天下)라는 명제를 내세웠다. 이처럼 동학은 국가와 사회를 개혁하고 보국안민 즉, 제폭구민(濟暴救民)을 실현하는 정책을 내세워 민중들이 참여하는 동학농민운동의 미래를 열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학에 나타난 최제우의 보국안민이라는 명제는 용담유사 와 동경대전 에 담겨있는 가장 중요한 실현정책이며, 20세기 이후에는 일본의 침탈로부터 한국사회의 독립운동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의미이며 그 수사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 조선시대 정치민요의 기능과 그 미학 : 지배층의 비판과 민중의 선동 모티프를 중심으로

        류해춘 聖潔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8 人文科學論叢 Vol.3 No.-

        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literary characteristics on the Folklore of the Politics in Choson Dynasty through the Aesthetics and function. The significance on the Folklore of the Politics in Choson Dynasty is that it has a lot of rhetoric used to contain compressed meanings in simple rhythm and stanzas. The Folklore of the Politics reflects national ideology and emotion, especially political conciousness. This has a great influence upon the development of poetic rhetoric. More studies should be tried for on the Folklore of the Politics in Choson Dynasty itself and extension on the Folklore of the Politics in the future.

      • KCI등재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 그 표현의도와 수사학

        류해춘 한국시가문화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lluminate literary characteristics o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in Choson Dynasty through the Creative Intension and the Rhetorical View. The signifiance o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and Eobusasisa(어부사시사) is that it has a lot of rheoric used to contain compressed meanings in simple rhythm and stanzas. This has a great inflence upon the development of poetic rhetoric. Nowdays the rhetoric is perceived in the indicative tool of the worldview of writer. Then the Language that man's thinking is established by is must be rhetorical, the rhetorics of poetry are two the metaphor and the metonymy, that these are the two aspects of man's thinking. Metaphor is the rhetoric of identity and it aims for the totality of the subject and object. It is the essential rhetoric on Dosansipigok(도산십이곡). In the case of Dosansipigok(도산십이곡), the subject and nature is identified in the point of emotion. On the other hands, Metonymy is the rhetoric of contiguity. It denies the identity of subject and the world. Eobusasisa(어부사시사) is founded with the rhetoric of metonymy. In the case of Eobusasisa(어부사시사), the deconstruction of images and the arrange of numerous unidentified images are the feature of metonymy and Si-Jos(시조문학). This sort of discussion needs to be popularized and continuous effort spent to elucidate the poetic principles related to the reform or change of work in Si-Jos(시조문학).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는 한국의 16세기와 17세기를 대표하는 시조문학이라 할 수 있다. <도산십이곡>이 산수자연을 즐기면서 일상생활에서 주어지는 온유돈후(溫柔敦厚)한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면, <어부사시사>는 산수자연에서 여가생활을 즐기면서 강호한정(江湖閑情)과 물외한적(物外閑寂)의 감흥을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수사학적인 측면에서도 <도산십이곡>은 은유(隱喩)의 수사학을 통해서 수직적 계열체의 언어를 반복하고 나열하여 변화하지 않는 동일성의 세계를 함축하는 안빈낙도의 정신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이 작품은 시조가 시작되면서 그 뜻이 앞의 내용과 다르게 전개되기보다는 시조의 초장이나 첫 장에 그 의미가 정해져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은유의 수사학은 기호와 관념사이의 모순이 없는 등과관계로 연결시켜 보편적이고 관념적인 세계를 드러내기에 편리한 수사학이라 할 수 있다. 은유의 수사학을 통해서 <도산십이곡>은 사대부(士大夫)가 선(善)적인 미의식으로 자연을 바라보면서 온유돈후한 유교적 미의식을 겸선(兼善)이라는 관념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편 <어부사시사>에 나타난 환유(換喩)의 수사학은 경험적이고 특수한 내용을 통합적으로 확대시켜 관련되는 단어와 문장을 확장하여 통합적으로 그 의미를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유의 수사학을 통해서 <어부사시사>는 자연으로 돌아온 일사(逸士)가 미(美)적인 측면에서 자연을 바라보면서 강호한정과 물외한적의 미의식을 구체적이고 경험적으로 드러내어 독선(獨善)의 경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은유의 수사학이 문맥 내에서 전통지향적이고 정적이고 결정적이라면, 환유의 수사학은 문맥 내에서 미래지향적이고 동적이며 미결정적이라 할 수 있다. 조선중기 <도산십이곡>과 <어부사시사>는 사대부가 정치현실에 나아가 경세제민의 의식을 표출한 시가라기보다는 산수자연에 은거하면서 안빈낙도를 표출하는 시가이며, 사대부들의 출처관(出處觀) 중에서 출(出)보다는 처(處)에 관한 견해가 중심이 되어 형상화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사설시조에 나타난 현실경험적 화자의 유형과 그 특성

        류해춘 성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0 人文科學論叢 Vol.5 No.-

        This study is written to identify the relations of the persona of realist in Sasulsijo. The persona of realist in Sasulsijo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Three type are the persona of implied listener, the persona of appearing listener and the persona of dramatic listener. The persona of implied listener is reversed in the second chapter, the persona of appearing listener is reversed in the three chapter and the persona of dramatic listener is reversed in the four chapter. This discussion attempted to see the persona of description and manifestation of the experience of reality in Sasulsijo. Therefore, more studies which is not identified in this thesis are nee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