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업무관리시스템의 기록관리 기능평가

        류한조 한국기록관리학회 2012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2 No.1

        The BMS(Bussiness Management System) included conferences, directions, memo system and operated bussiness classification based on. The high valued BMS contains many faulty functions managing records. A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BMS in archival science. Morever, this study deals with resolving problems for seamless flow managing records. 업무관리시스템은 기록을 업무분류에 맞추어 관리하고, 기존에 소홀하였던 회의, 지시사항, 메모 등을 기록관리체계로 편입시켰다. 기록관리 차원에서 높이 평가받는 업무관리시스템이지만, 기록의 생산 및 관리차원에서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 글은 기록을 생산에서부터 처분단계까지 끊김없이 관리하기 위해, 업무관리시스템이 가진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데이터세트 생산시스템 기능요건 연구 KR 재산관리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류한조,백영미,임진희,Ryu, Hanjo,Baek, Youngmi,Yim, Jinhee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70

        업무를 위해서 설계된 다양한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행정정보데이터 세트 기록은 건 단위로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로 데이터세트를 식별하고 평가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식별된 데이터세트기록은 평가를 거쳐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하거나 폐기 등의 처분이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록관리원칙을 지키기 위해서는 생산시스템 자체에 충분한 기록관리요소가 반영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세트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생산시스템의 기능요건을 도출하고 KR 재산관리시스템의 사례를 토대로 적용하였다. 이러한 생산시스템 기능요건의 연구가 더해져 데이터세트 생산시스템의 기능요건 표준의 도출까지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records produced by various systems designed for work are difficult to manage on a case-by-case basis, requiring separate procedures to identify and evaluate data-sets. Identified data set records are apprasal and transferred to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or disposed of. In this process, sufficient records management elements must be reflected in the production system itself in order to adhere to the principles of record management. In this paper,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production system to accurately identify and safely manage data-sets were derived and applied based on the case of the KR property management system.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on functional requirements of production systems will be added to lead to the creation of standards for functional requirements of data set production systems.

      • KCI등재

        지능형 문서처리 도입과 기록관리 변화에 관한 연구

        류한조,이경남,황진현,임진희,Ryu, Hanjo,Lee, Kyungnam,Hwang, Jinhyun,Yim, Jinhee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68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기계가독성을 높이는 개방형 문서 포맷으로의 변화와 자연어 처리 기술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능형 문서 처리의 도입 배경과 연구 현황을 공공부문 중심으로 살펴보고, 지능형 문서 처리가 가져올 업무의 변화를 예측해 보았다. 나아가 지능형 문서 처리가 기록관리 업무에 가져올 변화를 전망해보고, 기록관리 전문가의 역할의 변화와 요구되는 역량 등을 고찰해 보았다. 기록관 업무 단계와 아카이브 업무 단계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기록관리 업무의 변화를 전망하였고, 특히 반복적인 기록관리 업무의 자동화나 기록물의 기술 및 활용 업무에 영향을 미칠만한 변화들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업무 수행의 변화에 맞추어 기록관리계는 새로운 업무 절차와 방법, 그리고 필요한 역량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analyze big data, documents should be converted to a open standard format to increase machine readability. It also ne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ols. This study focused on the background of 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and the status of research in the public sector, and predicted the changes in work that 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would bring. This study noted the changes that 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would bring to the archival work, and also considered changes in the role of archivist and their required competencies. Changes in archival work could be anticipated across a wide range of Records Management work and Archives Management work. In particular, it wa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utomation of repetitive archival tasks or the description and utilization of records.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prepare new archival work procedures, methods, and necessary competencies in response to these change in archival work.

      • KCI등재

        개인 생애기억 아카이브를 이용한 개인서사 구성 연구

        류한조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67

        In archival science studies, personal archives is a relatively unexplored field.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find a way for ordinary individuals to organize an archive for themselves. This study suggests how individuals organize archives for themselves and suggests life memory composition as a way to utilize them. For the structure and metadata design of life-time narratives archives, this study refers to Narratologie studies and memory studies of psychology, which are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hierarchy and collectivity of archives. In addition, the plot concept of the narrative was proposed to form a life narrative, which was used as a tool to construct one’s own life narrative. Research into th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these life-time narrative archives may be helpful when individuals want to create archives for themselves in the future. 기록학 연구에서 개인 아카이브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되지 않은 분야이다. 특히 평범한 개인이 스스로를 위한 아카이브를 구성하는 방안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개인이 자신을 위한 아카이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생애서사 구성을 제안하였다. 생애기억 아카이브의 구조와 메타데이터 설계를 위해 서사학 연구와 심리학의 기억연구 내용을 참고하였으며, 이를 아카이브의 계층성과 집합성 개념과 결합하였다. 또한 생애서사 구성을 위해 서사의 플롯 개념을 제안하여 스스로 자신의 생애서사를 구성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생애서사 아카이브의 구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향후 개인이 자신을 위한 아카이브를 마련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능형 문서처리 도입과 기록관리 변화에 관한 연구

        류한조,이경남,황진현,임진희,Ryu, Hanjo,Lee, Kyungnam,Hwang, Jinhyun,Yim, Jinhee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67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서는 기계가독성을 높이는 개방형 문서 포맷으로의 변화와 자연어 처리 기술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능형 문서 처리의 도입 배경과 연구 현황을 공공부문 중심으로 살펴보고, 지능형 문서 처리가 가져올 업무의 변화를 예측해 보았다. 나아가 지능형 문서 처리가 기록관리 업무에 가져올 변화를 전망해보고, 기록관리 전문가의 역할의 변화와 요구되는 역량 등을 고찰해 보았다. 기록관 업무 단계와 아카이브 업무 단계의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기록관리 업무의 변화를 전망하였고, 특히 반복적인 기록관리 업무의 자동화나 기록물의 기술 및 활용 업무에 영향을 미칠만한 변화들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업무 수행의 변화에 맞추어 기록관리계는 새로운 업무 절차와 방법, 그리고 필요한 역량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In order to analyze big data, documents should be converted to a open standard format to increase machine readability. It also ne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ols. This study focused on the background of 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and the status of research in the public sector, and predicted the changes in work that 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would bring. This study noted the changes that intelligent document processing would bring to the archival work, and also considered changes in the role of archivist and their required competencies. Changes in archival work could be anticipated across a wide range of Records Management work and Archives Management work. In particular, it wa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utomation of repetitive archival tasks or the description and utilization of records.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prepare new archival work procedures, methods, and necessary competencies in response to these change in archival work.

      • KCI등재

        산업유산 아카이빙을 위한 개인 생애서사 기반 수집 연구

        류한조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6

        Recently, industrial heritage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ultural facilities in the wake of urban Regeneration. This focus is mainly on appearance, and the explanation is often abbreviated as a master narrative, and the placeness is not sufficiently inherited. The placeness of industrial heritage contains not only historical but also personal memories. Place memory must be collected and managed in order for the placeness that can be the source of identity to be preserved and utilized.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ed collecting place memories based on personal life histories. Using the case of collecting Andong Station and Cheongju Tobacco Factory, the life narrative was broken down into an event and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it as a place memory was proposed to implement archiving of industrial heritage sites. This methodology means that it can be supplemented rather than replaced. 최근 산업유산은 도시재생 바람을 타고 문화시설로 변형되며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주로 외관에 집중되어 있으며 설명 역시 거대서사로 축약된 경우가 많으며, 장소성은 충분히 전승되지 못하고 있다. 산업유산이 가진 장소성은 역사적 기억 뿐 아니라 개인의 기억을 포함하고 있다. 정체성의 근원이 될 수 있는 장소성이 보존되고 활용되기 위해서는 장소기억이 수집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개인의 생애서사를 중심으로 장소기억을 수집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안동역과 청주연초제조창 수집사례를 이용하여 생애서사를 사건으로 분해하였으며, 이를 장소기억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산업유산 장소 아카이빙 실행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기존의 방법론을 보완할 수 있다는데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문화 아카이빙 정착을 위한 방향 연구

        류한조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7

        The culture archiving has attracted the public increasingly because of interest in culture and field extension of archival science. So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and many attempts have been tried to in everyday life archiving and village archiving. Although many studies explain appropriateness and give examples, theoretical study is rarely conducted. This Study explains the representation of the records in theoretical ways and the process of culture archiving. Also, this study reconsiders the documenting by archivists and suggests a value-based archiving method. For proving validity of this study, reviewed the 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cultural contents is usable. I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discussion of the development of culture archiving methods. 문화 아카이빙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문화가 경쟁력인 시대적 배경과 기록학의 영역 확장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상 아카이빙이나 마을 아카이빙과 같은 다양한 시도들이 전개되고 있고,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당위성을 설명하거나 실제 사례들을 보여주는 연구에 치중되어, 문화 아카이빙에 필요한 이론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글은 문화 아카이빙에 있어 기록의 문화적 재현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해보고, 문화아카이빙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 아카이빙에 있어서 기록관리자의 생산에 대해 재검토 하였으며, 수용자가 부여한 가치를 중심으로 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콘텐츠에 적합한 분류체계 설정과 재현방식의 아카이빙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재현 중심의 기록학 - 담기, 관리하기, 보기

        류한조,이희숙 한국기록학회 2010 기록학연구 Vol.0 No.24

        In recent time, archival science has been in charge of positively preserving and handling with valuable things, as well as managing established ones, However, even though several archival methodologies that manage contexts among tasks, organizations and subjects exist nowadays, there is a lack of theoretical methodology on archiving focusing on valuable things. In this sense, this article dealt with a theoretical methodology which carries out archiving valuable things and represents it based on the value of records. Also, this paper, which covers a methodology that carries out archiving and representing one focusing on the value of the one to preserve,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putting in, managing, and viewing. To begin with, in the chapter of putting in, the methodology of documentation based on a strategy to distinguish and represent the value of the valuable things were explained. In addition, the article tried to explain the definition of how the valuable things based on the value of it can be put in, and presented how to divide the one for representation into the objet and the activity so as to provide an effective approach. At the same time, as this paper took an approach to the value of the one, it proposed a way to be able to do archiving effectively by applying a representation unit which has its own value. Secondly, in the chapter of managing, representation class and metadata for managing with a representable structure was considered. Metadata categories were illustrated in order to present the class from individual records to final representation valuable things and to make representation with ease. Furthermore, in the chapter of viewing, the process of representation using theoretically archived records was explained. In fact, viewing is the descriptive domain in general, yet this paper focused on the conceptional part. As a consequence, in this paper, a series of process was considered, which starts from how the subject of representation was archived to managing it. Moreover, the process has a meaning by itself in that it gives a practical method to be applied. Finally, the paper suggested that the argumentation on representation be expanded in the field of archival science so as to present theoretical grounds in this sort of work. 최근 기록학은 생산되어 있는 기록을 관리하는 역할을 넘어, 가치있는 대상을 적극적으로 보존하고 전승하는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기록학에서는 업무나 조직, 주제의 맥락 내에서 관리하는 방법론이 존재하지만, 하나의 대상을 아카이빙하는 이론적 방법론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하나의 대상을 아카이빙하여 재현하는 이론적 방법론을 기록의 가치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보존할 대상의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아카이빙 하고, 이를 재현하는 방법론은 담기ㆍ관리하기ㆍ보기라는 3가지 장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담기에서는 대상이 가진 가치를 식별하여 재현을 위한 전략에 바탕을 둔 다큐멘테이션 방법론을 다루었다. 대상의 가치에 근거하여 어떻게 담을 것인가를 정의하고, 효과적인 접근을 위해 재현대상을 오브제와 행위의 개념으로 나누어 접근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대상의 가치를 중심으로 접근하였으므로, 가치를 지닌 단위인 재현단위 개념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아카이빙 할 수 있는 도구를 제안하였다. 관리하기에서는 재현이 가능한 구조로 관리하기 위한 재현 계층과 재현 메타데이터를 설명하였다. 개별기록에서부터 최종 재현대상까지의 계층을 제시하고 원활한 재현을 위해 필요한 메타데이터 항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보기는 이론적으로 아카이빙한 기록을 이용한 재현과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였다. 보기는 대체로 기술적인 영역이지만 개념적으로 지켜야하는 부분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 글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여 재현을 위해 재현주체가 어떻게 아카이빙 할 것인지를 정하는 작업에서부터 어떻게 관리할 것 인지까지의 일련의 과정에 대해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작업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기록학이 다루어야 하는 영역을 재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확장할 것은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록 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 건축 문화재 기록을 중심으로 -

        류한조,김익한 한국기록관리학회 200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9 No.1

        All records have attribute of representing the object, so archives should develop digital record exhibition to facilitate attribute that representing the object. If building cultural properties are chose as the represented object, it should be followed by analysis of nature values and record contents and applied to the suitable framework.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organized process of designing the framework which develops digital representing contents based on records. 이 글은 기록을 이용한 재현 콘텐츠를 개발하는 절차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모든 기록은 본질적으로 대상을 재현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니므로, 이러한 속성을 활용하여 재현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재현대상을 건축문화재로 선정한다면 건축문화재 가치와 기록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일정한 틀을 적용하여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역사 구성에서의 SNS 게시물 기록 적용 연구

        류한조,Ryu, Han Jo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4

        SNS 게시물 기록은 개인기록의 일부이나 그 본질적 특성에 대해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간 기술적인 특성에 주로 주목하였으며 정체성이나 온라인 공간을 고려한 연구는 드물었다. 본 연구는 SNS 게시물이 온라인 정체성을 반영한 기록이며 온라인 및 온라인과 관련된 사건을 재현하는데 SNS 게시물 기록이 의미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자기역사의 관점에서 개인이 겪은 사건을 서사적 자아 관점에서 자기역사 구성을 제안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SNS 게시물 기록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해 SNS의 매체적 특성과 개인의 활용방식을 함께 분석하였다. The SNS post records were not studied by some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ersonal records. Until now, Studies on SNS post records have focused on research on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studies on identity and online space have been rare. This study argued that SNS postings are records that reflect online identity and that SNS postings are meaningful in recreating events related to online and onlin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composition of self-history from an epic self-image of events experienced by individuals from their own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argued that SNS post records perform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To this end,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SNS and the way individuals are used were analyzed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