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Distribution and current vegetation of Cakile edentula, an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류태복,최동휘,김덕기,이정효,이도훈,김남영 한국생태학회 2018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2 No.3
Background: Cakile edentula (Bigelow) Hook. is a successful invader that has been propagating globally. In Korea, Cakile edentula was found in 2008 for the first time,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site surveys conducted thereafter, Cakile edentula has propagated in the east coast from Goseong to Jeongdongjin, Gangneung and in the west coast of city of Hwaseong of Gyeonggi-do Province, and Taeangun County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Results: Cakile edentula has infiltrated into four different vegetation communities (syntaxa) (Calystegio soldanellae-Salsoletum komarovii Ohba, Miyawakiet Tx.1967; Elymo-caricetum Kobomugi Miyawaki 1967; Carex pumila; and Calystegia soldanella) belonging to phytosociological classes of saltwort (barilla) and coastal glehnia. Cakile edentula competes with dominant species such as the saltwort (barilla) and beach morning glory, causing qualitative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It also affects local ecosystems through its competition with digenous species, causing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Conclusions: However, competition of Cakile edentula with indigenous species and the resulting replacement of such species are limitedly reported. Potential competitors with Cakile edentula have not been found yet. In Northeast Asia, qualitative changes realized in local ecosystems due to invasion of Cakile edentula are significantly noticeable. These necessitate proper controls for this invasive alien species to protect and preserve coastal dune areas.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invasive alien plants in Jeju Island
류태복,김미정,이창우,김덕기,최동희,이효혜미,정혜란,이도훈,김남영 한국생태학회 2017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1 No.6
Backgroun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on Jeju Islan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ir management and control. Results: A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at 436 locations on Jeju Island. The field research identified nine species of invasive alien species growing on Jeju Island. Based on the distribution pattern, Hypochaeris radicata L., Rumex acetosell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L.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horizontally throughout Jeju Island, with vertical growth in two or more vegetation zones, from warm temperate to the subalpine zone. Widely distributed species penetrate various habitats, such as grasslands, ranches, roadsides, farmlands, and empty lots, and have an immensely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including declining biodiversity on Jeju Isl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Paspalum distichum L., Solanum carolinense L., and Aster pilosus Willd. were distributed in some areas as a biased distribution species, whereas Lactuca scariola L. and Solidago altissima L. were found only in certain areas as centralized distribution species. Conclusions: The centralized distribution species and biased distribution species of the invasive plants in the ecosystem of Jeju Island should be physically eliminated, keeping in mind the short- and mid-term perspectives and monitoring, and by considering expansion of additional distribution areas. Due to limitations of physical/ chemical elimination, time, and cost, widely distributed species require to be eliminated and managed, mainly to restore the integrity of the ecosystem, by planting native species to reestablish the habitat.
류태복,이승은,김덕기,최동희,김남영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1 No.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에서 국내 벼과 미기록 외래식물인 날개카나리새풀(Phalaris paradoxa L.)을 발견하였다. 이 종은 유럽 지중해 원산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에 분포하는 동속 식물인 갈풀, 카나리새풀, 애기카나리새풀, 흰줄갈풀에 비해 6개의 불임성 소수가 1개의 임성 소화를 감싸고, 포영상부에 치아상의 날개가 발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국명은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날개카나리새풀로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n unrecorded alien species plant, Phalaris paradoxa L. (Poaceae) was found in Andeok-myeon, Seogwipo-si, Jeju island, Korea. It is native to the Mediterranean region of Europe, and it is currently found worldwide. Phalaris paradoxa is distinguishable from related taxa (P. arundinacea, P. canariensis, P. minor and P. arundinacea var. picta) in Korea by the following combination of characterstics: spikelets in clusters (the upper central fertile spikelet surrounded by six lower sterile spikelets), wing of the keel. This taxon was named ‘Nal-gae-ca-na-ri-sae-pul’ in Korean based on its character. We provide its 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 key of related taxa in Korea. Key words - Phalaris paradoxa, Phalaris, Poaceae, Unrecorded alien plant
류태복,김종원,이승은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4
외래 귀화식물상의 급격한 변화는 국가 및 지역 생물상의 질적 양적 변질을 초래하는 생태학적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 분포하는 신귀화식물상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다. 2016년까지 발표된 선행 연구자료 151편을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에 대한 시공간적 수준(level)과 학술 용어 적용의 엄격성 결여로부터 선행 연구 간에 양적 질적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국가 대신 동아시아구계구(Eastern Asiatic Province)의 식물지리구계, 시간적으로 개화기 (19세기말)를 기준으로 신귀화식물(Neophyte)을 정의하였다. 목록화 된 신귀화식물은 그 원산지와 서식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신귀화식물은 총 39과 184속 326분류군이고, 약 87%(285분류군)가 단층초본식생형의 구성요소였음이 밝혀졌다. 온대림 생물군계의 유럽 및 북아메리카 원산(211분류군)이 가장 많았다. 습지식생 구성요소는 전체 6.4%(21 분류군)로 매우 제한적이었지만, 수생태계 서식처의 구조와 기능에 급격한 질적 변질을 야기하는 침입외래식물종을 다수 포함하는 것으로 지목되었다. 일시정착외래식물(Ephemerophyten), 반고유문화종(Apophyten) 등과 같은 귀화식 물 범주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대두되었다. Rapid changes in the flora of exotic species are ecological problems that cause the alteration of national and regional bio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neophyte flora currently inhabiting in Korea. Having analyzed a total of 151 studies published up until 2016, we foun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aps among the preceding studies due to the lack of rigorousness on the application of the spatial and temporal level of exotic species and academic terminology. In this study, the neophyte is defined as the flora introduced temporarily after the Enlightenment in Korea (late 19th century) and spatially in the Eastern Asiatic Province of the Takhtajan’s floral region instead of a country boundary. A total of 326 taxa of 184 genera of 39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for their distributional origi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Approximately 87% (285 taxa) was a component of the single-layered herb vegetation, and a total of 211 taxa origin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which are the same temperate biome as Korea. The wetland vegetation components were much fewer with 21 taxa, but they included a large number of invasive alien species that caused critical deterioration in the habitat structure and function of aquatic ecosystems. Ecological approaches to exotic species categories such as Ephemerophyten and Apophyten have emerged.
분홍장구채(Silene capitata)의 국내 분포 현황과 생태 특성 연구
류태복,이경연,이승은,김덕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7 No.6
This study aims to support conservation efforts for Silene capitata, a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species in South Korea, by identifying its domestic distribution, habitat characteristics, and key threats to its population. Data on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 capitata were gathe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and recorded in survey forms for Yeongwol, Hongcheon, and Cheorwon in Gangwon Province; Yeoncheon in Gyeonggi Province; and Okcheon in Chungcheongbuk Province. An IUCN threat assessment was conducted to quantify and classify specific threats impacting the species. S. capitata were observed in substantial numbers in Hongcheon and Yeoncheon, primarily inhabiting rive cliffs and rocky mountain habitat, where they were frequently located on east- to south-facing slopes with high solar exposure, subject to significant drought stress. The threat assessment identified rockfalls and landslides as principal threats intrinsic to the habitat; however, the main drivers of population decline included alterations in light conditions due to rockfall protection net installations, the expansion of vine species, invasion by native competitors (e.g., Selaginella rossii), and climate change-induced river flooding.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site-specific conservation strategies for S. capitata, including habitat management, removal of competing vegetation, prevention of habitat alteration from artificial structures, and ongoing population monitoring. This study provides critical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S. capitata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ong-term management strategies for legally protected species in South Korea.
류태복(Tae-Bok Ryu),임정철(Jeong-Cheol Lim),이철호(Cheol-Ho Lee),김의주(Eui-Ju Kim),최병기(Byoung-Ki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4
부산광역시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식물에 대해 종 다양성과 분포현황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부산광역시에는 10종의 생태계교란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내에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집괴분석을 통해 미국쑥부쟁이 우점군락, 가시상추 우점군락, 돼지풀 우점군락, 애기수영 우점군락, 도깨비가지 우점군락 등이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태계 교란식물은 우점군락 내에서 다른 생태계 교란식물이 함께 혼생하는 경향을 보여, 유사한 서식처를 공유하고 있는 것올 밝혀졌다. 부산시에서 가장 광범위한 분포경향을 보이는 종은 가시상추(16개 구)이며, 돼지풀(11개 구), 미국쑥부쟁이(11개 구), 애기수영(10개 구) 등이 넓은 분포를 보였다. 행정구역 중 가장 다양한 생태계교란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강서구(8종)와 북구(8종)이며, 인위적 간섭이 높으면서 다양한 서식처가 존재하는 지역들로 확인되었다. 부산광역시의 종별 서식처 환경정보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부산광역시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현황파악과 더불어 효율적 관리와 확산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diversity and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South Korea. According to our results, we discovered 10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distributed in Busan, demonstrating that this urban area has a high domestic plant diversity. A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dominant communities of Aster pilosus, Lactuca serriola, Ambrosia artemisiifolia, Rumex acetosella and Solanum carolinense were highly similar in species composition. Different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tended to occur together in dominant communities, indicating their preference for shared habitats. The most extensively distributed species in Busan were Lactuca serriola (16 districts), followed by Ambrosia artemisiifolia (11 districts), Aster pilosus (11 districts) and Rumex acetosella (10 districts).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the most diverse invasive alien plants were Gangseo-gu (8 species) and Buk-gu (8 species), which are both areas with high human interference and diverse habitats. Ad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collected for these species’ habitat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Busan and can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effectively controlling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invasive plants.
최병기,류태복,김종원 한국하천호수학회 2015 생태와 환경 Vol.48 No.1
화산섬 제주도 하천에는 버드나무류 (Salix spp.) 연목림 식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일부 하천 구간에서 유전적 고립개체군으로서 중대가리나무 식생이 발달한다. 그럼에도 획일적인 하천정비사업으로 중대가리나무의 현존 서식처 및 잠재 서식 공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대가리나무 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를 규명하였다. 중대가리나무가 분포하는 전역에 대하여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1개 지점에서 11개 식생조사표(phytosociological relevé)를 획득하였고, 기발표 자료 (식생조사표 총 16개)를 수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종조성의 질적 양적 유의성 분석은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를 이용한 좌표결정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산철쭉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지리를 근거로 산철쭉-중대가리나무군집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을 폐기하고, 중대가리나무-교래잠자리피군집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a hoc loco), 중대가리나무군단 (Adinion rubella all. nova hoc loco)을 새로이 기재하였다. 본 단위식생은 제주도 서귀포생태역의 간헐천(間歇川, ephemeral stream) 물길구간내에서 지하수와 완전 격리된 하천식생형(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in ephemeral stream)으로 규정되었다. 한반도 내에서의 대응식생형으로 산철쭉군단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을 기재하고, 갯버들-달뿌리풀군단 (Phragmito-Salicion)과의 명백한 상이성을 기재했다. 중대가리나무 식생은 제주도 고유의 식생자원으로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의 절대(absolute)감시 보존 대상으로 보호대책이 요청되었다. There is no willow riparian vegetation in Jeju Island, Korea. Instead, a genetically-isolated population of Adina rubella is found in some parts of the riparian system. We describe its syntaxonomy and synecology. A total of 27 phytosociological relevés were collected, 11 relevés from 91 sites and 16 relevés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relevant materials. Data were analyzed by traditional Braun-Blanquet method and multivariate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New syntaxa are distinguished, Adinion rubellae all. nov. and its type association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 with two subassociations, typicum and rhododendretosum poukhanensae.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 was discarded owing to mismatch of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Adina and Rhododendron phytocoena. The alliance Adinion is Jeju's regional and 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occurring in pothole and rock crevice where are independent on ground-water table. We also suggest a revised alliance,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 in Korean peninsula, as a corresponding syntaxon to Adinion, which completely differs from Phragmito-Salicion. Finally we pointed out that Adina phytocoena requiring an absolutely monitoring has been threatened by river maintenance project of local government.
김종원,최병기,류태복,이경연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현존식생의 구조는 서식처의 역사성과 자연성을 정밀하 게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진단종을 통한 식생분류와 식생 단위 체계화는 지역 생태계에서의 서식처에 대한 질적 양적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생태 선진 국가들이 국토관리를 위 해서 식생정보를 활용하는 까닭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82 년부터 녹지자연도(綠地自然度) 평가를 중심으로 생태자 연도(生態自然圖)를 법적으로 고시하여 국토의 건전한 개 발과 보전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 한 평가 수단은 그 평가 항목과 기준이 개념적 정의 수준에 그치고 있음으로써 연구자들 간의 상이한 평가기준 적용과 지역 간 생태자연도의 평가기준 불명확성이 발생하였다. 결 과적으로 국가 식생자원의 다양성과 그 가치 평가의 궁극적 인 목적을 성취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 는 국가 식생자원 평가 수단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가기법의 개발에 관한 2012년 도 국립환경연구원 제4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서개발 연 구용역 수탁과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다항목식생평가기법」(Multicriterion- Matrix Method on Vegetation Assessment)으로부터 진화 한「국가식생보전등급」(NVC: National Vegetation Class) 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판정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2012년 까지 기재된 신뢰도 (fidelity) 높은 단위식생 (syntaxa)을 이용하여 「국가주요식생자원」발굴을 시도하였다. 「국가 식생보전등급」은 식생복합체 (상관식생형, 개개 식생조사 구, 유형화된 단위식생, 삼림형 등)의 잠재성 요소 평가와 현존성 요소 평가의 조합 (combination)과 순차적 (ordinal) 적용으로부터 생성된다. 잠재성 요소 평가는 평가대상 현존 식생의 군락생태학적 내재 특성을 포함하는 식생 기원의 자연성 (vegetation origin)과 복원성 (resilience) 정보에 의 존하고, 현존성 요소 평가는 평가 대상 현존식생의 보전생 태학적 실체적 특성을 포함하는 희귀성 (rarity)과 종조성 (weighted species) 정보에 의존한다. 1) 식생기원의 자연성 은 잠재자연식생을 정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의 유지 및 발달에 인위적 영향 정도를 평가한다. 2) 복원성은 식생 발 달과 회복능 (syndynamic and resilience)에 있어서 소요되 는 시간적 길이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한다. 3) 희귀성은 식 생의 수직적 (해발고도) 수평적 (위도) 지리분포 양상 정도 (extent)를 평가한다. 4) 종조성은 목록화 된 국가 중요 식물 종의 존재유무를 평가한다. 여기서 국가 중요 식물종이란 i)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과 II급, ii)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우선 보존대상식물, 멸종위기 보존 후보종, iii) 생태학적 종보전등급 6점 이상의 ‘절대감시 주요감시대 상종’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국가식생보전등급」을 이용한 사례 분석에 서 우리나라에 현존 분포하고, 정당하고 유효하게 기재되어 있는 식생자원으로부터 국가적 보호 식생자원 즉 「국가주 요식생자원」총 268개가 일차적으로 발굴되었다. 본 연구에 서 획득된 「국가주요식생자원」을 포함한 미등재 식생자원 의 지속적인 발굴과 생태학적 정성화 (定性化) 그리고 이들 에 대한 국가적 법제도적 관리전략의 성취가 후속과제로 남 는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문헌자료 (국가기관보고서, 학회투고논문, 학위논문 등)를 활용하여 신뢰도 높은 모든 유 형의 단위식생 (군락 및 군집수준; 하위단위 포함)을 추출, 다양성을 발굴하였다. 기재된 이들 단위식생들의 질적 속성 을 고려하여 식생단위체계를 구분하였으며, 분류된 단위식생 에 대해 「국가식생보전등급」(National Vegetation Class) 을 적용하였다. 총 405개의 문헌자료에서 획득된 476개 단위식생을 활 용하였다. 선행문헌의 분석 결과, 국내에 보고된 단위식생 의 다양성은 12개 군계, 45개 상관식생형의 476개 단위식생 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국가식생보전등급」 평가 결과 「국가주요식생자원」으로 인정되는 절대감시 1급, 2급과 주요감시 1급, 2급의 식생자원이 발굴되었다.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습지 및 하천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 대 암각지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80개 단위식생 (17 개 중복단위 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며, 절대감시 2급 국 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 염습지식생, 습지 및 하천식 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 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168개 단위식생 (67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 되었다. 주요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 지식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 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 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112개 단위식생 (84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 며, 주요감시 2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지식 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대․아 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 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인공조림식생 등에서 135개 단위식생 (59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자연도의 1차적 적용사안으로 고려되는 ‘식생보전등급’ 분류기준의 개념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한편 국가 식생 자원에 관한 연구가 삼림식생 형에 편향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식생형의 본질적 특 성으로부터 본래부터 군락의 분포와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 에 없는 특이식생형이 국가식생자원 평가에서 크게 누락되 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인문역사와 자연역 사를 반영하는 국가 식생자원에 대한 발굴이 중요 우선과제 로 대두되었다.
김덕기,류태복,이창우,최동희,김남영 한국자원식물학회 2017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0 No.4
The rapid increase of naturalized plants causes disturbance of the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naturalized flora in Jeolla-do. A total of 830 sites were studied in 2016. These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189 taxa in total, belonging to 38 families, 116 genera, 181 species, 2 forms and 6 varie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place of origin, 75 taxa were from Europe, and 59 taxa were from North Americ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compositae had the highest diversity among 31 families, with 44 taxa, followed by Gramineae, with 24 taxa, and Leguminosae, with 10 taxa. Naju-si had the highest diversity among 36 counties, with 77 taxa. This study identified 37 (Jeollanam-do) and 30 taxa (Jeollabuk-do) not listed in the preceding literature in Jeolla-do. We found a lots of differences between flora's databases of previous studies resulting from the naturalized plant definition. 귀화식물의 급속한 증가는 지역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도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을 밝히는 것이다. 2016년 현장조사를 통해 830개 지점이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38과 116속 6변종 2품종 181종 총 189분류군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다. 생태특성 분석결과 국화과가 47분류군으로높은 수를 차지하며 벼과 32분류군, 콩과 19분류군 순으로 밝혀졌다. 원산지별 분석결과 유럽원산 75분류군, 북아메리카 5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도 지역에서 나주시가 77분류군으로가장 많은 귀화식물이 생육하며, 목포시 영광군 순으로 밝혀졌다. 선행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37분류군(전라남도), 30분류군(전라북도)이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되었다. 선행문헌분석결과 귀화식물 정의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종들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한국 특산 및 희귀식물인 제주산버들군락의 식물사회학적 특성
이경연,류태복,최병기,이승은,김나연,이수연,송정민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7 No.6
Jeju Island, formed by volcanic eruptions, is characterized by its poorly developed river systems and short watercourses. These geological and hydrological features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intermittent streams, which serve as habitats for the endemic species Salix blinii.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vegetation community and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 blinii. Site data were collected from 15 locations, and 8 phytosociological relevés were compiled. Vegetation was classified following the traditional Z.-M. school methodology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other stream vegetation types. A new association, Arunco-Salicetum blinii, was identified and described. The association is confined to rock crevices in intermittent streams within the subalpine vegetation climate zone of Jeju Island. Endemic to Hallasan Mountain, the association is subject to periodic droughts due to its disconnection from groundwater layers and experiences strong physical disturbances during rainfall events. These conditions have resulted in vegetation with single or dual-layered structures. The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also contribute to the low species richness of this association. Further comparative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its placement within higher-level vegetation units. This study establishes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stream syntaxonomical hierarchy system on Jeju Island and provides essential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rare vegetation resource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continued research for the conservation of this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