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stribution and current vegetation of Cakile edentula, an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류태복,최동휘,김덕기,이정효,이도훈,김남영 한국생태학회 2018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2 No.3

        Background: Cakile edentula (Bigelow) Hook. is a successful invader that has been propagating globally. In Korea, Cakile edentula was found in 2008 for the first time,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site surveys conducted thereafter, Cakile edentula has propagated in the east coast from Goseong to Jeongdongjin, Gangneung and in the west coast of city of Hwaseong of Gyeonggi-do Province, and Taeangun County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Results: Cakile edentula has infiltrated into four different vegetation communities (syntaxa) (Calystegio soldanellae-Salsoletum komarovii Ohba, Miyawakiet Tx.1967; Elymo-caricetum Kobomugi Miyawaki 1967; Carex pumila; and Calystegia soldanella) belonging to phytosociological classes of saltwort (barilla) and coastal glehnia. Cakile edentula competes with dominant species such as the saltwort (barilla) and beach morning glory, causing qualitative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It also affects local ecosystems through its competition with digenous species, causing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Conclusions: However, competition of Cakile edentula with indigenous species and the resulting replacement of such species are limitedly reported. Potential competitors with Cakile edentula have not been found yet. In Northeast Asia, qualitative changes realized in local ecosystems due to invasion of Cakile edentula are significantly noticeable. These necessitate proper controls for this invasive alien species to protect and preserve coastal dune areas.

      • KCI등재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invasive alien plants in Jeju Island

        류태복,김미정,이창우,김덕기,최동희,이효혜미,정혜란,이도훈,김남영 한국생태학회 2017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1 No.6

        Backgroun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on Jeju Island,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ir management and control. Results: A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at 436 locations on Jeju Island. The field research identified nine species of invasive alien species growing on Jeju Island. Based on the distribution pattern, Hypochaeris radicata L., Rumex acetosell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L.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horizontally throughout Jeju Island, with vertical growth in two or more vegetation zones, from warm temperate to the subalpine zone. Widely distributed species penetrate various habitats, such as grasslands, ranches, roadsides, farmlands, and empty lots, and have an immensely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including declining biodiversity on Jeju Isl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Paspalum distichum L., Solanum carolinense L., and Aster pilosus Willd. were distributed in some areas as a biased distribution species, whereas Lactuca scariola L. and Solidago altissima L. were found only in certain areas as centralized distribution species. Conclusions: The centralized distribution species and biased distribution species of the invasive plants in the ecosystem of Jeju Island should be physically eliminated, keeping in mind the short- and mid-term perspectives and monitoring, and by considering expansion of additional distribution areas. Due to limitations of physical/ chemical elimination, time, and cost, widely distributed species require to be eliminated and managed, mainly to restore the integrity of the ecosystem, by planting native species to reestablish the habitat.

      • KCI등재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날개카나리새풀(벼과)

        류태복,이승은,김덕기,최동희,김남영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1 No.1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에서 국내 벼과 미기록 외래식물인 날개카나리새풀(Phalaris paradoxa L.)을 발견하였다. 이 종은 유럽 지중해 원산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에 분포하는 동속 식물인 갈풀, 카나리새풀, 애기카나리새풀, 흰줄갈풀에 비해 6개의 불임성 소수가 1개의 임성 소화를 감싸고, 포영상부에 치아상의 날개가 발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국명은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날개카나리새풀로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n unrecorded alien species plant, Phalaris paradoxa L. (Poaceae) was found in Andeok-myeon, Seogwipo-si, Jeju island, Korea. It is native to the Mediterranean region of Europe, and it is currently found worldwide. Phalaris paradoxa is distinguishable from related taxa (P. arundinacea, P. canariensis, P. minor and P. arundinacea var. picta) in Korea by the following combination of characterstics: spikelets in clusters (the upper central fertile spikelet surrounded by six lower sterile spikelets), wing of the keel. This taxon was named ‘Nal-gae-ca-na-ri-sae-pul’ in Korean based on its character. We provide its description,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a key of related taxa in Korea. Key words - Phalaris paradoxa, Phalaris, Poaceae, Unrecorded alien plant

      • KCI등재

        한국의 귀화식물: 신귀화식물상의 현황과 생태형질 특성

        류태복,김종원,이승은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4

        외래 귀화식물상의 급격한 변화는 국가 및 지역 생물상의 질적 양적 변질을 초래하는 생태학적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 분포하는 신귀화식물상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다. 2016년까지 발표된 선행 연구자료 151편을 분석하였다. 귀화식물에 대한 시공간적 수준(level)과 학술 용어 적용의 엄격성 결여로부터 선행 연구 간에 양적 질적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국가 대신 동아시아구계구(Eastern Asiatic Province)의 식물지리구계, 시간적으로 개화기 (19세기말)를 기준으로 신귀화식물(Neophyte)을 정의하였다. 목록화 된 신귀화식물은 그 원산지와 서식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신귀화식물은 총 39과 184속 326분류군이고, 약 87%(285분류군)가 단층초본식생형의 구성요소였음이 밝혀졌다. 온대림 생물군계의 유럽 및 북아메리카 원산(211분류군)이 가장 많았다. 습지식생 구성요소는 전체 6.4%(21 분류군)로 매우 제한적이었지만, 수생태계 서식처의 구조와 기능에 급격한 질적 변질을 야기하는 침입외래식물종을 다수 포함하는 것으로 지목되었다. 일시정착외래식물(Ephemerophyten), 반고유문화종(Apophyten) 등과 같은 귀화식 물 범주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대두되었다. Rapid changes in the flora of exotic species are ecological problems that cause the alteration of national and regional bio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neophyte flora currently inhabiting in Korea. Having analyzed a total of 151 studies published up until 2016, we foun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aps among the preceding studies due to the lack of rigorousness on the application of the spatial and temporal level of exotic species and academic terminology. In this study, the neophyte is defined as the flora introduced temporarily after the Enlightenment in Korea (late 19th century) and spatially in the Eastern Asiatic Province of the Takhtajan’s floral region instead of a country boundary. A total of 326 taxa of 184 genera of 39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for their distributional origi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Approximately 87% (285 taxa) was a component of the single-layered herb vegetation, and a total of 211 taxa origin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which are the same temperate biome as Korea. The wetland vegetation components were much fewer with 21 taxa, but they included a large number of invasive alien species that caused critical deterioration in the habitat structure and function of aquatic ecosystems. Ecological approaches to exotic species categories such as Ephemerophyten and Apophyten have emerged.

      • KCI등재

        생태계교란식물의 부산광역시 분포 실태

        류태복(Tae-Bok Ryu),임정철(Jeong-Cheol Lim),이철호(Cheol-Ho Lee),김의주(Eui-Ju Kim),최병기(Byoung-Ki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4

        부산광역시에 분포하는 생태계교란식물에 대해 종 다양성과 분포현황을 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부산광역시에는 10종의 생태계교란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내에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집괴분석을 통해 미국쑥부쟁이 우점군락, 가시상추 우점군락, 돼지풀 우점군락, 애기수영 우점군락, 도깨비가지 우점군락 등이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태계 교란식물은 우점군락 내에서 다른 생태계 교란식물이 함께 혼생하는 경향을 보여, 유사한 서식처를 공유하고 있는 것올 밝혀졌다. 부산시에서 가장 광범위한 분포경향을 보이는 종은 가시상추(16개 구)이며, 돼지풀(11개 구), 미국쑥부쟁이(11개 구), 애기수영(10개 구) 등이 넓은 분포를 보였다. 행정구역 중 가장 다양한 생태계교란식물이 출현한 지역은 강서구(8종)와 북구(8종)이며, 인위적 간섭이 높으면서 다양한 서식처가 존재하는 지역들로 확인되었다. 부산광역시의 종별 서식처 환경정보가 수집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부산광역시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현황파악과 더불어 효율적 관리와 확산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the diversity and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 specie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Busan, South Korea. According to our results, we discovered 10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distributed in Busan, demonstrating that this urban area has a high domestic plant diversity. A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dominant communities of Aster pilosus, Lactuca serriola, Ambrosia artemisiifolia, Rumex acetosella and Solanum carolinense were highly similar in species composition. Different species of invasive alien plants tended to occur together in dominant communities, indicating their preference for shared habitats. The most extensively distributed species in Busan were Lactuca serriola (16 districts), followed by Ambrosia artemisiifolia (11 districts), Aster pilosus (11 districts) and Rumex acetosella (10 districts).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ith the most diverse invasive alien plants were Gangseo-gu (8 species) and Buk-gu (8 species), which are both areas with high human interference and diverse habitats. Ad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collected for these species’ habitat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Busan and can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effectively controlling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invasive plants.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하천의 중대가리나무 식생

        최병기,류태복,김종원 한국하천호수학회 2015 생태와 환경 Vol.48 No.1

        화산섬 제주도 하천에는 버드나무류 (Salix spp.) 연목림 식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일부 하천 구간에서 유전적 고립개체군으로서 중대가리나무 식생이 발달한다. 그럼에도 획일적인 하천정비사업으로 중대가리나무의 현존 서식처 및 잠재 서식 공간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대가리나무 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를 규명하였다. 중대가리나무가 분포하는 전역에 대하여 전통적인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1개 지점에서 11개 식생조사표(phytosociological relevé)를 획득하였고, 기발표 자료 (식생조사표 총 16개)를 수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종조성의 질적 양적 유의성 분석은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를 이용한 좌표결정을 수행했다. 본 연구에서는 산철쭉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지리를 근거로 산철쭉-중대가리나무군집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을 폐기하고, 중대가리나무-교래잠자리피군집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a hoc loco), 중대가리나무군단 (Adinion rubella all. nova hoc loco)을 새로이 기재하였다. 본 단위식생은 제주도 서귀포생태역의 간헐천(間歇川, ephemeral stream) 물길구간내에서 지하수와 완전 격리된 하천식생형(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in ephemeral stream)으로 규정되었다. 한반도 내에서의 대응식생형으로 산철쭉군단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을 기재하고, 갯버들-달뿌리풀군단 (Phragmito-Salicion)과의 명백한 상이성을 기재했다. 중대가리나무 식생은 제주도 고유의 식생자원으로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의 절대(absolute)감시 보존 대상으로 보호대책이 요청되었다. There is no willow riparian vegetation in Jeju Island, Korea. Instead, a genetically-isolated population of Adina rubella is found in some parts of the riparian system. We describe its syntaxonomy and synecology. A total of 27 phytosociological relevés were collected, 11 relevés from 91 sites and 16 relevés from the previously published relevant materials. Data were analyzed by traditional Braun-Blanquet method and multivariate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New syntaxa are distinguished, Adinion rubellae all. nov. and its type association Tripogono-Adinetum rubellae ass. nov. with two subassociations, typicum and rhododendretosum poukhanensae. Adino-Rhododendretum poukhanensae Itow et al. 1993 was discarded owing to mismatch of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Adina and Rhododendron phytocoena. The alliance Adinion is Jeju's regional and partly ombrotrophic vegetation occurring in pothole and rock crevice where are independent on ground-water table. We also suggest a revised alliance, Rhododendrion poukhanensae Lee 2004 ex. hoc loco in Korean peninsula, as a corresponding syntaxon to Adinion, which completely differs from Phragmito-Salicion. Finally we pointed out that Adina phytocoena requiring an absolutely monitoring has been threatened by river maintenance project of local government.

      • 국가 식생보전등급 평가기법과 그 적용

        김종원,최병기,류태복,이경연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현존식생의 구조는 서식처의 역사성과 자연성을 정밀하 게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진단종을 통한 식생분류와 식생 단위 체계화는 지역 생태계에서의 서식처에 대한 질적 양적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생태 선진 국가들이 국토관리를 위 해서 식생정보를 활용하는 까닭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982 년부터 녹지자연도(綠地自然度) 평가를 중심으로 생태자 연도(生態自然圖)를 법적으로 고시하여 국토의 건전한 개 발과 보전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 한 평가 수단은 그 평가 항목과 기준이 개념적 정의 수준에 그치고 있음으로써 연구자들 간의 상이한 평가기준 적용과 지역 간 생태자연도의 평가기준 불명확성이 발생하였다. 결 과적으로 국가 식생자원의 다양성과 그 가치 평가의 궁극적 인 목적을 성취하지 못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 는 국가 식생자원 평가 수단의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평가기법의 개발에 관한 2012년 도 국립환경연구원 제4차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서개발 연 구용역 수탁과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다항목식생평가기법」(Multicriterion- Matrix Method on Vegetation Assessment)으로부터 진화 한「국가식생보전등급」(NVC: National Vegetation Class) 의 정의와 범위 그리고 판정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2012년 까지 기재된 신뢰도 (fidelity) 높은 단위식생 (syntaxa)을 이용하여 「국가주요식생자원」발굴을 시도하였다. 「국가 식생보전등급」은 식생복합체 (상관식생형, 개개 식생조사 구, 유형화된 단위식생, 삼림형 등)의 잠재성 요소 평가와 현존성 요소 평가의 조합 (combination)과 순차적 (ordinal) 적용으로부터 생성된다. 잠재성 요소 평가는 평가대상 현존 식생의 군락생태학적 내재 특성을 포함하는 식생 기원의 자연성 (vegetation origin)과 복원성 (resilience) 정보에 의 존하고, 현존성 요소 평가는 평가 대상 현존식생의 보전생 태학적 실체적 특성을 포함하는 희귀성 (rarity)과 종조성 (weighted species) 정보에 의존한다. 1) 식생기원의 자연성 은 잠재자연식생을 정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의 유지 및 발달에 인위적 영향 정도를 평가한다. 2) 복원성은 식생 발 달과 회복능 (syndynamic and resilience)에 있어서 소요되 는 시간적 길이 정보를 바탕으로 평가한다. 3) 희귀성은 식 생의 수직적 (해발고도) 수평적 (위도) 지리분포 양상 정도 (extent)를 평가한다. 4) 종조성은 목록화 된 국가 중요 식물 종의 존재유무를 평가한다. 여기서 국가 중요 식물종이란 i)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과 II급, ii) 산림청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우선 보존대상식물, 멸종위기 보존 후보종, iii) 생태학적 종보전등급 6점 이상의 ‘절대감시 주요감시대 상종’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국가식생보전등급」을 이용한 사례 분석에 서 우리나라에 현존 분포하고, 정당하고 유효하게 기재되어 있는 식생자원으로부터 국가적 보호 식생자원 즉 「국가주 요식생자원」총 268개가 일차적으로 발굴되었다. 본 연구에 서 획득된 「국가주요식생자원」을 포함한 미등재 식생자원 의 지속적인 발굴과 생태학적 정성화 (定性化) 그리고 이들 에 대한 국가적 법제도적 관리전략의 성취가 후속과제로 남 는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보고된 문헌자료 (국가기관보고서, 학회투고논문, 학위논문 등)를 활용하여 신뢰도 높은 모든 유 형의 단위식생 (군락 및 군집수준; 하위단위 포함)을 추출, 다양성을 발굴하였다. 기재된 이들 단위식생들의 질적 속성 을 고려하여 식생단위체계를 구분하였으며, 분류된 단위식생 에 대해 「국가식생보전등급」(National Vegetation Class) 을 적용하였다. 총 405개의 문헌자료에서 획득된 476개 단위식생을 활 용하였다. 선행문헌의 분석 결과, 국내에 보고된 단위식생 의 다양성은 12개 군계, 45개 상관식생형의 476개 단위식생 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국가식생보전등급」 평가 결과 「국가주요식생자원」으로 인정되는 절대감시 1급, 2급과 주요감시 1급, 2급의 식생자원이 발굴되었다. 절대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습지 및 하천식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 대 암각지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80개 단위식생 (17 개 중복단위 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며, 절대감시 2급 국 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 염습지식생, 습지 및 하천식 생, 고산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 지대 암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168개 단위식생 (67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 되었다. 주요감시 1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 지식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 대․아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 각지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난온대 활엽수림 등에서 112개 단위식생 (84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으 며, 주요감시 2급 국가식생자원은 해안식생, 해안염습지식 생, 습지하천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초원식생, 고산대․아 고산대식생, 냉온대 삼림식생, 산지대 및 저산지대 암각지 식생, 임연식생 및 관목식생, 인공조림식생 등에서 135개 단위식생 (59개 중복단위식생 포함)이 기재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자연도의 1차적 적용사안으로 고려되는 ‘식생보전등급’ 분류기준의 개념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한편 국가 식생 자원에 관한 연구가 삼림식생 형에 편향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식생형의 본질적 특 성으로부터 본래부터 군락의 분포와 크기가 제한적일 수밖 에 없는 특이식생형이 국가식생자원 평가에서 크게 누락되 어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인문역사와 자연역 사를 반영하는 국가 식생자원에 대한 발굴이 중요 우선과제 로 대두되었다.

      • KCI등재

        전라도 귀화식물의 현황

        김덕기,류태복,이창우,최동희,김남영 한국자원식물학회 2017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0 No.4

        The rapid increase of naturalized plants causes disturbance of the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naturalized flora in Jeolla-do. A total of 830 sites were studied in 2016. These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189 taxa in total, belonging to 38 families, 116 genera, 181 species, 2 forms and 6 varie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place of origin, 75 taxa were from Europe, and 59 taxa were from North Americ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compositae had the highest diversity among 31 families, with 44 taxa, followed by Gramineae, with 24 taxa, and Leguminosae, with 10 taxa. Naju-si had the highest diversity among 36 counties, with 77 taxa. This study identified 37 (Jeollanam-do) and 30 taxa (Jeollabuk-do) not listed in the preceding literature in Jeolla-do. We found a lots of differences between flora's databases of previous studies resulting from the naturalized plant definition. 귀화식물의 급속한 증가는 지역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도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을 밝히는 것이다. 2016년 현장조사를 통해 830개 지점이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38과 116속 6변종 2품종 181종 총 189분류군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다. 생태특성 분석결과 국화과가 47분류군으로높은 수를 차지하며 벼과 32분류군, 콩과 19분류군 순으로 밝혀졌다. 원산지별 분석결과 유럽원산 75분류군, 북아메리카 5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도 지역에서 나주시가 77분류군으로가장 많은 귀화식물이 생육하며, 목포시 영광군 순으로 밝혀졌다. 선행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37분류군(전라남도), 30분류군(전라북도)이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되었다. 선행문헌분석결과 귀화식물 정의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종들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 KCI등재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Genus Melilotus in Korea: M. officinalis and M. indicus (Leguminosae)

        김진옥,류태복,김명준,김대홍,이남숙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2 No.1

        Two unrecorded alien plants, Melilotus officinalis (L.) Lam. and M. indicus (L.) All. (Leguminosae) were found in Korea. M. officinalis is native to Eurasia and widely distributed in agricultural regions throughout the world. M. indicus is native to Mediterranean and Southwestern Europe, and naturalized in temperate regions all over the world. These species are morphologically similar to M. suaveolens (Jeon-dong-ssa-ri). However, M. officinalis is distinguished from M. suaveolens by transverse nerved legumes, definite ovary stalks, and five to eight number of ovules in ovary. M. indicus is also distinguished from M. suaveolens by smaller size of flowers, broadly triangular calyx teeth, globose legumes, and minutely papillose seeds. The local name of M. officinalis and M. indicus were given as “Ju-reumjeon- dong-ssa-ri” and “Jom-jeon-dong-ssa-ri” based on transverse nerved legumes and overall smaller size than M. suaveolens, respectively. The descriptions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photographs at the habitat of M. officinalis and M. indicus are provided.

      • KCI등재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천연기념물 제429호)의 관속식물상, 분포실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이철호,장계현,류태복,최병기 한국전통조경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1

        The cactus habitat in Jeju Island has a phytogeographically specific distribu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forms a unique landscape as the only native cactus (Opuntia ficus-indica (L.) Mill.) habitat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of cacti in the habitat and no investigation on the diversity of the mixed composition of plants in the habita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cactus popul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in the Wollyeong-ri cactus habitat and record the actual distribution and trends of cactus distribution. In addition to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acti, we als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among the mixed population of plant species, as well as th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threaten the maintenance of cactus populations or require management for preservation of cacti. Considering the phenological character, we conducted the field surveys for flora identification six times between June 2015 and September 2017. The Engler classification system was used for the arrangement sequence and names of plants, and the Korean Plant Names Index was adopted for the Korean name of the speci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Wolryung-ri cactus habitat in Jeju Island has the characteristic physiognomy of an area dominated by cactus. For the vascular plants, a total of 125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53 families, 104 genera, 109 species, 15 varieties and 1 forma. Endangered plants specifi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not found. Two species, Cyrtomium falcatum and Asplenium incisum, were identified as the ferns, and no gymnosperms were found. In addition, 123 taxa of angiosperms, 91 taxa of dicotyledones and 32 taxa of monocotyledons were identified. The distributions of cacti were confirmed in 289 meshes corresponding to 59.3% of the total 487 meshes in the cactus protected area, which showed various coverage distributions ranging from 5% to 95%. Most of the meshes where no cacti were found are coastal areas with exposed basalt rocks where the soil depth has not developed or extremely restricted due to repeated waves, or areas where artificial facilities, grasslands, and observation paths have been construct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71 lattice points in 14.5% of the total area where the cactus showed 70% or higher dominance. Cacti are randomly distributed in these areas. They have adapted to the microhabitat environment and are found to be opportunistically distributed along the growable locations. Considering that the reproduction of cacti in the habitat is mostly dependent on parthenogenesis, the present distribution seems to reflect the potentially distributable regions of cacti in the habitat. Based on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a management plan for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protected areas has been proposed. 제주 선인장군락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식물지리학적으로 특이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유일한 자생지로 특유의 고유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생지 일대의 선인장 분포 현황에 관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으며, 서식지 내 혼생식물의 다양성 및 선인장 개체군 분포와의 상호 관계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월령리 선인장군락지 내 관속식물의 다양성을 파악하고 선인장의 분포 실태 및 출현 경향을 기록하고자 하였다. 선인장의분포 특성과 함께 혼생 식물종 가운데 서식처의 특성을 반영하는 종의 특성과 선인장 개체군의 유지에 위협이 되거나, 선인장 보존에있어서 관리의 대상이 되는 생물 및 환경 요소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식물상 확인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5년 6월부터 2017년9월까지 식물계절을 고려하여 총 6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식물에 대한 배열순서와 학명의 기재는 Engler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종의 한글명은 한국표준식물목록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는 선인장이 우점하는 지역 고유의 특징적인 상관을 형성하고 있었다. 관속식물상은 53과104속 109종 15변종 1품종으로 총 12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분포하지 않았다. 양치식물은 꼬리고사리, 도깨비쇠고비로 2종이 확인하였으며, 나자식물은 서식하지 않았다. 피자식물이 총 123분류군이 나타났으며, 쌍자엽식물이 91분류군, 단자엽식물이 3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선인장 보호지역 내 전체 487개 격자 중 59.3%에 해당하는 289개 격자에서 선인장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5-95%의 다양한 피도분포를보였다. 미출현 격자의 대부분은 현무암 암반이 노출된 해안지역으로, 반복적인 파도의 영향을 받아 토심이 발달하지 못하거나 극히제한적인 지역과 인위적 시설물 또는 초지, 관찰로 등이 조성된 지역이었다. 반면 선인장이 70% 이상 높은 우점도를 보이는 구간은총 71개 격자 지점으로 전체의 14.5%를 차지하고 있었다. 선인장은 보호 지역 내에서 무작위분포를 나타내며, 미소서식처 환경에 적응되어 생육가능입지를 따라 기회주의적으로 분포하고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락지 내 선인장은 대부분 단위생식(parthenogenesis)에 의존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현재의 분포는 군락지내 선인장의 잠재분포가능 영역을 투영하는 결과로 판단된다. 현장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지역 보존 및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을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