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상담 프로그램 개발

        류진아 한국카운슬러협회 2013 학교상담전문가 자격연수 Vol.- No.1

        ∙ 조직적이고 체계를 갖춘 학교상담은 20세기 초 미국에서 출발한 직업지도운동으로부 터 유래되었고 이후 학교상담 및 생활지도의 발달로 이어졌다. – 황순길, 류진아, 이경아, 장진이, 정재우, 유형근 (2005):학생들이 학교의 안팎에서 당면하는 제반 문제를 예방하고 스스로 해결하며 건강하게 적응 및 성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종합 적이고 체계적으로 조력하는 활동

      • KCI등재
      • KCI등재

        신소설 『광야』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 『광야』와 『숨은보배』의 비교를 통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신앙을 중심으로

        류진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9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0 No.51

        이 논문은 신소설 『광야』(1912, 유일서관)에 나타난 실존 인물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삶과 기독교 사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백사겸(1860-1940)의 신앙 일대기 『숨은보배』(1938, 동양선교회 성결교회 출판부)와의 비교를 통해, 『광야』에 나타나는 백사겸의 회심과 실천적 신앙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신소설 『광야』의 문학적 형상화와 기독교사상을 분석하여, 기독교 소설로서 그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백사겸은 초기 한국 기독교계의 맹인 전도사로서 알려져 있다. 또한 백사겸은 민중 전도사 또는 조선의 삭개오라는 별칭이 있다. 백사겸의 일대기는 1938년 박소천에 의해 『숨은보배』라는 ‘신앙전기’로 발간되었다. 『숨은보배』 속의 개성중부교회 이종필 목사의 ‘추천사’에 따르면, 이미 팔십 고령에 이른 백사겸은 1897년 회심 후 사십여 년을 한결같이 신앙생활을 하였고 한국 초기 기독교 신앙을 보여주는 믿음의 선배였다. 백사겸에 관한 일대기 『숨은보배』가 발행되기 26년 전, 신소설 『광야』(유일서관, 1912)가 출판되었다. 신소설 『광야』는 ‘박장님’이라는 맹인 점술가가 기독교로 회심하여 전도인이 된 사건을 서사화 한다. 지금까지 신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 연구는 선진문명의 사상적 배경 또는 문명 기호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개인의 기독교적 회심과 실천을 주제로 하는 신소설 『광야』는 주목받지 못했으며, 신소설 『광야』와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관련성 역시 조명된 바 없다. 『숨은보배』와 『광야』는 각 주인공인 ‘백장님’과 ‘박장님’이 맹인 점술가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기독교인으로 회심한 후 전도인으로 헌신하며 화목한 가정을 이루었다는 서사이다. 신앙 전기 『숨은보배』는 백사겸의 탄생과 불우한 어린 시절, 점술가로서의 수학과 성공, 성공으로 인한 죄책감과 회심, 전도사로서 헌신이 순차적으로 이어지며, 탄생, 고난, 극복, 회심, 행복에 이르는 일대기의 서사 구조를 취하고 있다. 반면 신소설 『광야』는 박장님의 가난한 삶과 부인과의 이별, 점술가로서의 성공과 부인과의 재회, 부로 인한 타락과 발병, 회심과 실천적 삶, 전도사로서 헌신이 순차적으로 서사화된다. 숨은보배 의 서사와 비교해 볼 때, 『광야』는 박장님의 탄생과 불우한 어린 시절에 관한 내용이 생략되고 남녀이합의 서사가 가미되어 재구성된다. 신소설 『광야』에서 1. 박장님이 회심후 점술로 얻은 재물을 강도를 통해 처분하였다거나 2. 부인에게 합의 이혼하자고 권한 것, 3. 전도인으로 헌신한 삶과 가족들이 구원받고 자녀들이 훌륭하게 성장한 사건 등은 신소설 장르에 나타나는 일반적 제재와 거리가 있으면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신앙 일화와 매우 유사하다. 즉 신소설 광야』의 내용은 실제 맹인 전도사 백사겸의 삶을 참고로 하지 않고는 나올 수 없는 서사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신소설 『광야』는 백사겸을 모델로 하여 그 삶을 소설로 재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신소설 『광야』는 기독교인의 삶을 소설화함으로써 기독교 사상을 전파하는 기독교 소설로 볼 수 있다. 특히 『광야』에서 언급하는 우상숭배와 축첩 금지의 문제의식은 한국 초기 기독교계에서 문제로 지적되었으며, 기독교의 감화력을 기반으로 한 윤리적 삶과 가족구원은 기독교 사상을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위한 선교사들 ... This paper looked at Christian thought in the new novel “KwangYa”(1912, YullSeoGwan), focusing the life of Baek Sa-kyum. Through a comparison with “SumeunBobae”(1938, the publication department of the Oriental Church Integrity Church), Baek Sa-kyum's religious life story, was confirmed in “KwangYa”, especially his repentance and practical faith. In addition, the author analyzed the literary imagery and Christian thought of the new novel, “KwangYa”, to establish its significance as a Christian novel. Baek Sa-kyum is known as a blind evangelist in early Korean Christianity. Baek Sa-kyum is also nicknamed a folk preacher or a Joseon sakgaeo. Baek Sa-kyum's biographies were published in 1938 as a book published by Park So-cheon, called “SumeunBobae”. According to “Recommendation” by Lee Jong-pil, a pastor of the Kaesong Middle Eastern Church in “SumeunBobae”, Baek Sa-kyum, who was already at the age of 80 years, had been a steady believer for more than 40 years since 1897 and was a senior member of faith in Korea's early Christian faith. Twenty-six years before the publication of “SumeunBobae”, a life story about Baek Sa-kyum, was published, the new novel “KwangYa” in which a blind fortuneteller named Park became a evangelist and missionary. Until now, the research of Christian thought in the new novel tended to revolve arou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advanced civilization or the meaning of the symbol of civilization. Therefore, the new novel “KwangYa” which focuses on individual Christian repentance and practice, was not noticed, and the relevance to the new novel “KwangYa” and “Baek Sa-kyum” a blind evangelist, was never revealed. “SumeunBobae” and “KwangYa” each had the story of the great success as a blind fortuneteller, but after they became Christian, they devoted themselves as preachers and formed a harmonious family. The religious biography “SumeunBobae” is a life-long epic structure that leads to the birth, hardship, overcoming, practice and success as a fortuneteller, guilt and remorse for success, and repentance and dedication as a preacher. On the other hand, the new novel “KwangYa” is written sequentially as Park's poor life, separation from his wife, success as a fortuneteller and reunion with his wife, corruption and disease due to wealth, remorse and practical life, and dedication as a preacher. Compared to Baek Sa-kyum's epic, “KwangYa” is reconstructed by omission of Park's birth and his unhappy childhood, and the addition of parting and reunion of man to woman. In the new novel, “KwangYa”, a hero has disposed of the fortune gained by fortune-telling through robbery after the reincarnation, recommended to divorce to his wife after the diposition of the fortune, and finally his all family was saved and their children grew up wonderfully, which are similar to the life of Baek Sa-kyum, but are also far from the general materials that appear in the genre of the new novel. In other words, the content of the new novel, “KwangYa” cannot be written without reference to the life of Baek Sa-kyum, a blind missionary. Therefore, it seems that the new novel, “KwangYa”, is a re-creation, based on Baek Sa-kyum's christian life. Furthermore, the new novel, “KwangYa”, can be seen as a Christian novel that propagates Christian thought by fictionalizing Christian life. In particular,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idolatry and concubinage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early Christian circles in Korea, and ethical life and family salvation based on the influence of Christianity were also missionary strategies to effectively spread Christian ideas. The new novel, “KwangYa” is a novel about a real-life story of a Joseon Christian who believes in God and lives a changed life, reflecting the aspects and realities of the indigenousization of Christianity that permeated the daily lives of the Joseon people. The enlightenment novel, ...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성향 청소년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류진아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7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0 No.4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reduce adolescents’ smart phone addiction tendency. Particularly, this study aim to provide subjects, contents and activities using the approach of a group art therapy based on person centered counseling.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ntervent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relationship based on unsecure attachment, negative emotions like depression and anxiety, low self-efficacy, and impulsiveness and lack of self-regulation.

      • KCI등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녀 취학관련 경험과 대처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류진아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exercise on the cultural experiences and copying strategies of intermarriage mothers about their first children entering the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were 10 intermarriage mothers who were able to communicate in Korean and had school aged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purposed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 and analysed by the case study method based on ecological aspects. As the results, first, intermarriage mothers worried about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peer relationship, and so on because of they were foreigners and couldn't speak korean well. Second, they experienced economical problems and were needed new roles as mother in home. Third, they had new relationships related to the children's schools such as teachers and mothers of their children's peers. And, they had chances getting knowledge about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Forth, they perceived korean mothers were rearing their children as child-centered attitudes and the korea society was competitive. Finally, their copying strategies were mostly positive and problem-focused. 본 연구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이 첫 번째 자녀를 학교에 취학시키면서 경험한 내용과 그와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취학한 자녀를 둔 국제결혼 이주여성 10명을 심층면접한 후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생태체계에 따른 경험과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였는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개인내적으로 자녀의 학업적응에 대한 걱정, 자녀를 어떻게 교육해야할지 모름에 대한 불안, 자녀의 친구관계에 대한 걱정, 자녀의 학업에서 엄마의 역할과 중요성 인식, 자녀의 적응에 안도함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가 초등학교에 진학함으로써 사교육비 걱정, 준비물 및 과제지도, 남편과의 갈등 등 자신에게 주어지는 새로운 역할과 고민을 가정환경에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은 자녀를 학교에 진학시키면서 교사, 학부모 등 기존의 대인관계와는 다른 새로운 대인관계를 경험하게 되고, 학교행사에 참석하여 학부모로서 공교육에서 새로운 역할을 경험하였다. 또한 한국의 학교제도와 분위기에 대하여 경험하였다. 넷째, 한국의 부모들이 자신의 자녀들만 감싸고 자녀가 잘못을 해도 자신의 자녀들을 중심으로 사고하며 한국의 사회분위기가 너무 경쟁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자녀취학으로 인해 겪는 스트레스에 대해 스스로 개인내적 자원을 활용하거나 가족관련 자원을 활용하는 대처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문제에 대한 사고방식을 바꾸거나 그것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하여 대부분 적극적, 문제중심적 대처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소극적인 대처인 숨기거나 회피하는 경우도 종종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어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 유형과 전략에 대한 연구

        류진아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exercise on the adjustment types and coping strategie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The subjects were 19 intermarriage mothers who were able to communicate in Korean and had school-age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 and analysed through the ground theory study method. As for the results, first, the children had difficulties adapting to their families in low social economic status as well as their foreign mothers. Second, they had in emotional problems, identity confusion, behavioral problems and they tended to withdraw from their family. Third, they used their personal talents, commendations of important persons, conflicts with their mothers, experiences as leaders, and differences from peers due to having multicultural family as coping strategies. Finally, the adjustment types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were the adaptation, independent, and maladjustment types. 본 연구는 농어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을 밝히고, 대처하고 극복해 가는 전략과 유형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이상의 아동을 둔 어머니 1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한 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즉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단계 순으로 원자료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농어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에 있어서 엄마가 외국인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 열악하여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아동들이 겪는 중심현상은 정서적 어려움, 정체감 혼란, 학업적 어려움, 행동적 문제, 가족과의 상호작용 회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처전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가족의 지지, 사회적 지지, 개인적 요인이었으며, 재능발견, 주변의 인정, 엄마와 갈등, 리더경험, 다름을 이용하는 대처전략을 보였다. 넷째, 농어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유형은 맞춰가기(순응형), 독립적인 태도(자기주도형), 이중적 태도(부적응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또한 농어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은 개인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만 어머니의 심리적 안정성과 가정적, 사회문화적 환경의 지지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상담자 소진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류진아,방은진,신혜민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unselor's burnout process and burnout-related factors. To this end, 20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burnout were selected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burnout process of the counselor was analyzed that there are couple of stages such as an Effort․Flow phase, Burnout phase, Recovery phase, Growth phase, the counselor may recover after burnout, but the recovering could lead to a circular process of returning to burnout again. In addition, after the counselor restored burnout, they were able to achieve growth such as birth into existence, individualized self, noticing and positive contact. Second, the risk factors in moving from the Effort․Flow phase to the Burnout phase a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cted as more risk factors than individual factors. In particular, the lack of awareness of counseling within the organization led to burnout when there was conflict or whe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selor individual and the qualities and expertise as a counselor were not prepared. Third, the developmental factors were coping factors and leap factors in moving from the Burnout phase to the Recovery phase and the Growth phase. The counselors promoted recovery and growth by focusing on self-care, transformation, strengthening professionalism, and exerting self-control Fourth, the concept and model of growth after burnout were presented based on the intergrated and intrinsic meaning research for the burnout process and causal factors. 본 연구는 상담자의 소진 과정과 소진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진과 관련된 질적 연구 20편을 선정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소진 과정은 노력․몰입 단계, 소진 단계, 회복 단계, 성장 단계로 분석되었고, 상담자는 소진한 후 회복하기도 하고, 회복하였지만 다시 소진으로 돌아오는 순환 과정으로 이어질 수도 있었다. 또한 상담자가 소진을 회복한 후 실존적 존재로의 탄생, 개성화된 나, 알아차림과 긍정적 접촉과 같은 성장에 이를 수 있었다. 둘째, 노력․몰입 단계에서 소진 단계로 이동하는 데 있어서 위험 요인은 개인 요인과 환경 요인으로 나누어지며, 환경 요인이 개인 요인보다 더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조직 내 상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갈등이 있거나 상담자 개인의 성격적인 특성과 상담자로서 자질 및 전문성이 준비되지 않았을 때 소진에 이르게 되었다. 셋째, 소진 단계에서 회복 단계 및 성장 단계로 이동하는 데 있어서 발달 요인은 대처 요인과 도약 요인이었다. 자기 돌봄과 변혁, 전문성 강화, 자기통제력 발휘를 중심으로 자기를 돌아보고 변화와 변혁을 추구함으로써 회복과 성장을 도모하였다. 넷째, 소진 과정과 요인에 대한 통합적이고 본질적인 의미 탐색을 바탕으로 소진 후 성장이라는 개념과 모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구렁덩덩 신선비’에 나타나는 여성의 스키마와 상흔

        류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한국학 Vol.39 No.2

        이 글에서는 구비 설화인 ‘구렁덩덩 신선비’에 나타나는 여성의 의식세계를 관찰하였다. 연구 자료는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 채록한 48편의 각 편과 제보자 정보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구비문학대계』의 각 편 48편의 제보자 성별은 모두 여성이다. 이 글에서는 ‘구렁덩덩 신선비’의 제보자가 여성이라는 점에 초점을 두고, ‘구렁덩덩 신선비’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스키마와 상흔을 분석하였다. ‘구렁덩덩 신선비’를 가정생활에 필요한 여성의 스키마에 관한 스크립트로서 해석하여, 가부장적 사회에서의 여성의 스키마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렁덩덩 신선비’를 구술하는 과정에서, 가부장적 남성 중심의 사회를 살아오면서 겪었던 여성의 상흔이 어떻게 표출되는지도 관찰하였다. 일찍 사별하여 힘들고 가난하게 살아온 경우의 보상 심리, 언니 또는 시누이와의 갈등관계와 그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 축첩제도로 인한 후처에 대한 적대감과 보상 심리 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Women’s Schema and Trauma in Korean Folktale, GureongDeongDeong SinSeonBi.A total of 48 GureongDeongDeong SinSeonBi stories and their 48 narrators in Collections of Korean Oral Literature are selected as materials for this study. All 48 narrators are female, most of whom were married. This study, focusing on the fact that all narrators are female, analyzed Women’s Schema and Trauma in Korean Folktale, GureongDeongDeong SinSeonBi. According to narrators’ informations, it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GureongDeongDeong SinSeonBi contains schema necessary for women who have a family. This study confirmed women’s schema needed in patriarchal society in GureongDeongDeong SinSeonBi. Also, this study observed that women’s traumas brought on by an androcentric society are revealed in the process of dictating GureongDeongDeong SinSeonBi stories: Widows’ difficulties and their compensation mind, conflicts with sisters and sisters‒in‒law, and hostility on second wifes from concubinage and their compensation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