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목편살수여상 침출액비와 어분, 골분, 게껍질 혼합액을 이용한 상추의 수경재배

        류종원,Ryoo, Jong-Won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목편살수여상 pilot 장치를 설치하여 스크레파 축사에서 배출되는 뇨오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가동한 후 침출액비를 공시재료로 하여 상추 양액재배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침출액비 (SL) 단독처리구, 침출 액비+어분 (SL+FM), 침출액비+골분 (SL+BM), 침출액비+게껍질 (SL+CS) 혼합처리구. 침출 액비+부산물 (SL+FM+BM+CS) 혼합처리구, 대조구로 원예연 상추양액 (NS) 처리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침출액비와 부산물 혼합처리 후 전기전도도와 pH를 조정하여 상추의 양액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편살수여상 처리 과정중 pH는 처리 시작전 7.3에서 처리 후 8.5로 상승하였다. 전기전도도 (EC)는 처리전 17.05 mS/cm에서 처리 후 30일에는 9.7 mS/cm로 낮아졌다. 2. 침출액비는 부유물질 (SS)이 낮아 수경 재배시 관배수의 막힘문제 없이 활용이 가능하였다. 침출액비는 양분조성에서 칼륨함량이 높고 인산 함량이 낮았다. 3. 침출액비시용구 (SL)의 상추수량은 원예 연 표준양액재배 대비 75%를 나타내어 25% 수량저하를 나타내었다. 침출액비을 어분. 골분. 게껍질을 혼합한 처리구는 대조구 대비 85%. 79%. 80% 수량을 나타내어 어분의 첨가 효과가 가장 높았다. 침출액비와 어분 혼합액은 침출액비 단독처리구 보다 10% 증수를 나타내어 유기양액의 대체 원료로 사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ig slurry leachate was dark brown-colored solution that leaches out of woodchip trickling filt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g slurry leachate and byproduc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leaf lettuce in hydroponics culture. The effects of addition of fish meal, bone meal and crab shell for the growth of leaf lettuce were investigated. Leaf lettuce were grown in each of six combination treatment solutions; slurry leachate, slurry leachate + fish meal, slurry leachate+bone meal, slurry leachate + crab shell and chemical hydroponic solution for lettuce based on EC content. The chemical nutrient solution was the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e Research Station for the growth of lettuce. The all of nutrient solution was adjusted 1.5 mS/cm in EC in hydroponics culture. 1. The pH level of leachate of trickling filter was increased and EC decreased gradually during treatment. Pig slurry leachate was low in suspended solids (SS), phosphorus (P), but rich in potassium (K). 2. The plot of slurry leachate (SL) was lowest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ettuce. The leaf length and width of lettuce treated with mixture plot of slurry leachate and fish meal (SL + FM) was higher compared with plot in slurry leachate. The chlorophyll reading was reduced in plot treated with slurry leachate, but that in plot of SL+FM was similar compared with control plot. 3. The fresh weight of lettuce showed lowest in the plot treated with slurry leachate. The addition of fish meal increased the yield of comparing plot of slurry leachate, but plots of bone meal and crab shell add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The fresh weight of leaf lettuce in plot of SL+FM was 87% as 400.0g compared with control. In conclusion, the mixture solution of pig slurry leachate and fish meal could be used as a nutrition solution of organic lettuce hydroponics.

      • 철원지역에서 가축분뇨 발효액비 시용수준이 벼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류종원,이병오,Ryo, J.W.,Lee, B.O.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1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량이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양돈분뇨 발효액비를 벼 재배 질소 추천시비량인 11kg N/10a를 기준으로 하여 100%, 120%, 150%, 180% 수준으로 처리 하여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1. 양돈분뇨 발효액비 100%, 120% 시용구는 생육초기 벼의 분얼수 및 초장에서 양호하였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150%, 180% 시용구는 분얼수가 많고 초장이 큰 과번무 상태를 나타내었다. 벼의 수량은 양돈분뇨 발효액비 120% 시용구는 양돈분뇨 발효액비 100% 시용구 대비 11% 증수 되었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150% 시용구는 100% 시용구 대비 10% 감수하였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180% 시용구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져 19% 감수되었다. 2. 양돈분뇨 발효액비 100% 시용구의 단백질 함량은 7.9%로서 가장 낮았다. 그러나 양돈분뇨 발효액비 150%, 180% 시용구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각각 9.0, 13.3%로 높아졌다. 돈분뇨 발효액비 180% 시용구는 완전미 비율이 42%로 매우 낮았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적량시용은 벼 수량 증수와 쌀 품질 향상이 가능하나 벼 추천질소시비량 120% 이상 시용시 과번무로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졌으므로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시 적량시용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결론 내려진다. 3. 액비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토양의 치환성 K 함량이 높아졌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100% 시용구의 치한성 K함량이 $0.66\;cmol+kg^{-1}$이었으나 180% 시용구에서는 $0.89\;cmol+kg^{-1}$으로 높아졌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에 따른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높아지지 않았다. 시험 후 토양의 구리, 아연함량은 토양환경보전법 토양오염 기준치 이하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swine liquid manure on the rice growth and yield in 2006.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variable application rates; 100%, 120%, 150%, 180% N level of slurry based on 11 kg N 10a recommended amount of nitrogen. The experimental sites were located at Cheorwon in Gangwondo area.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In the plot treated with swine liquid manure of 150% and 180% N levels, the plant height and tillers were higher, and the color of leaf was darker than that of 100% N level of swine liquid manure. Rice yield in the plot applied with 120% N slurry level was increased at 11%, but those of 150%, 180% N-level application plots were reduced 10, 19% compared to 100% N level, respectively. Rice quality of the 100 and 120% application plots of swine liquid manure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150 and 180% levels of application plots. Total nitrogen content in rice plant after harvesting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swine liquid manure. The content of K in the soil was accumulated in plot treated with 150%, 180% slurry compared to control plot. The heavy metal contents in soils were not increased treated with swine liquid manure. The density of bacteria was low in the application plot of 180%N of liquid swine manure. The bacteria/fungi ratio was highest in 120% N level of liquid manure treatment.

      • 퇴비단 여과액비와 막분리 농축액비를 이용한 고형배지경 양액재배가 고추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류종원,Ryoo, Jong-Won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고형배지경 양액재배에서 화학 양액 대체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여과액비, 농축액비에 양액 및 부산물의 혼합처리가 고추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처리는 질소함량을 기준으로 여과액비, 농축액비에 부산물과 양액을 혼합하는 처리구를 두어 전기 전도도와 pH를 조정하여 고추 양액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과, 농축액비에는 다량 및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부유물질(SS)이 낮아 수경재배시 관배수의 막힘문제 없이 활용이 가능하였다. 또한 여과, 농축액비는 인산, 칼슘, 마그네슘 함량이 낮고 칼륨이 높은 양분불균형를 나타내었다. 2. 양액재배에서 고추의 합계수량은 여과액비 단독시 용구에서 원예연 표준양액재배 대비 총수량 59%를 나타내었으며 농축액비의 경우 양액 대비 14%에 불과하였다. 퇴비단여과액비+부산물, 농축액비+부산물 처리구의 수량은 대조구 대비 각각 60, 54%를 나타내어 여과액비 단독시 용구와 비슷한 수량을 나타내어 부산물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여과액비와 농축액비에 양액을 50%: 50% 비율로 혼합 처리구의 수량은 표준양액과 대등한 수량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여과액비, 농축액비 50%에 양액을 50% 첨가하면 고추 양액 재배에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ost leachate and concentrated pig slurry on growth of pepper in substrate hyrdoponic culture. In process of composting, compost leachate was was through a saturated compost heap. Pig slurry was filtered by ultra filtration and concentrated by reverse osmosis process. The pig slurry was mixed with chemical nutrient solution and byproduct based on nitrogen content. Peppers were grown in the seven different hydroponic solutions; compost leachate (CL), concentrated pig slurry (CS), compost leachate + byproduct (CL+BP), concentrated pig slurry + byproduct (CS+BP), compost leachate 50% + nutrient solution 50% (CL+NS), concentrated pig slurry 50% + nutrient solution 50% (CS+NS) and chemical nutrient solution for pepper. The chemical nutrient solution was the standard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e Research Station for the growth of pepper.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was adjusted $1.6{\sim}2.0mS/cm$ in EC. The compost leachate and concentrated pig slurry were low in phosphorus (P), calcium (Ca), magnesium (Mg), but rich in potassium (K). Growth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the different nutrient solu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treated with CL 50+NS 50%CS and 50+NS 50% were similar with NS 100% control plot. The dry weight of stem and leaf were 107.4, 104.2g in plot of NS 100% and CS 50%+NS 50%, respectively. The fruit of pepper showed lowest in the plot treated with 100% concentrated pig slurry, and the growth of pepper severely decreased after application of 100% CS treatment. The yield of pepp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lots treated with mixture of CS50 + NS50% and 100% nutrient solution treatment. Fruit yield of the compost leachate concentrated pig slurry plot were 59, 14% compared to control, repectively. In conclusion, the mixture solution of 50% of pig slurry and 50% of nutrient solution could be used as a nutrition solution of pepper in hydroponic culture.

      • KCI등재

        SCB 퇴비단 여과액비의 시용 수준이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류종원,박치호,윤태한,Ryoo, Jong-Won,Park, Chi-Ho,Yoon, Tae-Ha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본 연구는 SCB 공정 여과액비 시용이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쌀의 미질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SCB 여과액비 시용구는 농가관행 질소시용량인 13kg N/10a를 기준으로 하여 80%, 100%, 130%에 해당되는 여과액비 화학비료 시용구를 대조구로 두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분얼수에서 생육초기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는 화학비료와 대등하였다. 여과액비 130% 시용구는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분얼수가 많고 초장이 큰 과번무 상태를 나타내었다.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화학비료 시용구 대비 각각 8%, 11% 낮아졌다. 벼의 정조수량은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는 대조구인 화학비료 시용구 대비 12~13% 증수되었다.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의 정조수량은 과다시용에 의한 등숙률과 천립중이 저하되어 화학비료시용구 대비 7% 감수되었다. 현미의 품질지수는 SCB 여과액비 80%, 100% 시용구에서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았다. 그러나 SCB 여과액비 130% 시용구의 쌀 품질지수는 낮았다. SCB 여과액비 80~100% 범위의 적량시용은 벼 수량증수와 쌀 품질 향상이 가능하나 130%의 과다시용은 과번무로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져 수량감수를 초래하여 미질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SCB 여과액비 시용시 질소시용량의 11~13kg N/10a에 해당하는 여과액비의 시용량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SCB compost leachate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on sandy loam soil under the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80%, 100%, 130% N level of SCB leachate based on 13kg N/10a of conventional farmer application level and chemical fertilizer as control. The plant height and tiller's number of 80 and 100% N levels of SCB leachate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hemical fertilizer plot. But in the plot of 130% N level of SCB leachate the plant height and tillers was higher than that of chemical fertilizer. And the SPAD reading value of leaf in plot of 130% N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emical fertilizer. Rice yield in the 80% and 100% SCB leachate was increased from 12 to 13% that of plot of chemical fertilizer. But rice yield of 130% N-level was decreased 7% compared with chemical fertilizer. Rice quality of the application levels of 80 and 100% SCB leachate level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chemical fertilizer and 130% level of SCB leachate. In conclusion, the 100% N application of SCB leachate was improved yield and quality of rice.

      • 톱밥 절감형 돈분 슬러리 연속 퇴비화 공정 연구

        류종원,Ryoo, J,.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2

        축산분뇨와 톱밥을 혼합하여 수분조절을 한 후 발효조에 투입하는 방식이 아닌 발효상에 미리 투입된 톱밥위에 축산분뇨를 살포하면서 교반처리하여 발효증발 처리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퇴비 발효층의 온도, 수분함량, 수분수지, 퇴비의 비료성분을 연구하였다. 1. 본 처리공정은 과다한 수분을 신속하게 침출수 강제배출 방식으로 배출하여 슬러리 투입분뇨의 함수율이 높더라도 수분증발이 이루어지고 발효상 함수율은 $65{\sim}73%$ 전후로 유지되었다. 2. 연속퇴비화 과정에서 시험기간 중에 10.6% 정도의 침출수가 발생되었다. 또한 5개월 가동 기간 동안 톱밥 $1m^3$ 투입 당 $3.16m^3$의 돈분슬러리 처리가 가능하였다. 3. 침출여과액은 오염물질농도가 낮아져 투입분뇨 대비 BOD는 86.5%, SS은 96.2% 저감되었다. 4. 퇴비사의 미기상 분석결과 상대습도는 낮 시간을 제외한 야간시간에는 $80{\sim}100%$로서 높았다. 퇴비사의 습도가 높아지면 퇴비화 과정 중 수분증발 효율이 저하의 원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o develop the composting system to reduce the use of bulking agent, continuous composting was performed with farmer scale facility, The plant comprises a horizontal pit reactor closed inside a greenhouse and equipped with a turning machine moving on rails. The pit was 9m wide and 50m long and the maximum height of loaded materials was $1.8m^2$. The materials remained in the reactor for 5 months. During the composting process,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measured and water balance was evaluated. The reaction temperature of composting was changed $30{\sim}50^{\circ}C$ and high in the middle and low in under composting piles. The moisture contents of the compost were approximately 70% during the experiment. The amount of effluent was 10.6% and $3.16m^3$ of pig slurry per $1m^3$ of bulking agent was treated during continuous composting process. BOD and SS reduction of the effluent in continuous composting was 86.5% and 92.2%, respectively. Indoor relative humidity in night time was changed between 80 and 100%.

      • 분뇨단위 설정에 의한 철원군 지역의 가축분뇨 질소부하 평가

        류종원,Ryoo, Jong-Won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1

        경종과 축산의 분리에 따른 환경오염 심화, 축산분뇨의 해양투기 금지, 축분뇨 처리비용의 절감 및 자원화, 경축순환농업으로의 전환 필요성 등 시급한 과제를 해소하는 근원적임 방안은 바로 지역단위의 경축순환농업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지역순환농업을 위해서는 경종과 축산농업의 부산물에 대한 수급량, 그리고 그것의 비료량을 계산할 수 있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기준이 바로 가죽단위와 분뇨단위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실정에 적용가능 한 분뇨단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가축분뇨의 양분특성과 배출량의 연구자료를 토대로 분뇨단위 를 설정하였다. 이를 철원군 지역에 적용하여 읍면별 분뇨단위를 산출, 농경지의 N 부하량을 평가하고, 가축생산과 경작지를 연계한 경축순환농업의 적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기준으로 축종별 연간 발생량을 토대로 산출한 분뇨단위는 한우 0.36, 젖소 0.8, 돼지 0.105로 환산되었다. 또한 육계와 산란계의 분뇨단위는 각각 0.0046, 0.0079로 설정하였다. 2. 농경지의 ha 당 분뇨단위(MU/ha)는 갈말읍이 2.4, 서면이 1.92으로 다소 높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나 동송읍, 철원읍, 근남면은 1.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분뇨단위 결과로 볼 때, 철원군의 갈말읍, 서면, 김화읍은 분뇨단위가 1.8~2.4 범위에 있으므로 가축분뇨의 공급과 농경지 수용능력이 균형지역으로 분류되며 동송읍, 철원읍, 근남면은 1.0 이하로 가축분뇨의 공급이 부족한 지역이므로 분뇨의 수급불균형을 개선하는 양분관리가 필요하다. 3. 갈말읍은 N-부하량이 2.4 MU/ha를 나타내어 EU 기준 N-부하량인 1.7 MU/ha에 비하여 0.7 MU/ha가 초과되어 2,101 MU (16,238kg)의 질소의 과다부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분뇨를 부하량이 적은 지역인 철원읍이나 동송읍으로 분산하여 자원화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면의 경우 N-부하량이 1.92 MU/ha를 나타내어 0.22 MU/ha가 초과되어 203 MU/kg에 해당하는 분뇨를 부하량이 적은 읍면에 분산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4. 철원군 지역별 액비의 공간적 공급량과 잠재수요량을 분석한 결과 액비의 공급지역은 김화읍, 갈말읍, 동송읍이지만 액비의 가장 큰 수요지역은 동송읍이었다. 가축분뇨의 발생량과 친환경적인 액비 시용기준의 설정을 고려 할 때 김화읍과 갈말읍은 N-부하량의 농경지 수용능력을 한계지역이므로 액비 과다상태를 파악 분석하여 지역의 양분관리 정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다. 5. 철원군 사례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군내의 읍면단위의 지역별로 N-부하량이 상이하므로 읍면별 분뇨단위 적용을 통하여 가축생산과 경작지를 연계한 지역순환농업체계를 구축하여 지역 축산분뇨 양분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철원군내 축분뇨의 자원화를 극대화하려면 지역별 공급, 수급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농가 및 지역별로 허용 분뇨단위(MU)를 제정, 이를 기준으로 전문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 그리하여 경종농업과 축산농업에서 배출되는 각종 부산물의 수급량, 그것의 비료량 퇴비량을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농가단위 나아가 철원지역의 읍면단위별로 양분수지가 균형을 이루는 자원순환형 농업으로 전환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ive basic information of the animal manure management by manure units determination for recycling farming in Cheorwon-gun. Manure units (MU) are used in the permitting, registration, and the environmental process because they allow equal standards for all animals based on manure nutrient production. An MU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animals by manure unit factor for the specific type of animal. The manure unit factor for MU determination was determined by dividing amounts of manure N produced 80 kg N/year. Conversion to manure units is a procedure used to determine nutrient pollution equivalents among the different animal types. In this study, the manure unit factor based on nitrogen in Hanwoo, dairy cow, pig were 0.36, 0.8 0.105,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manure unit per ha shows that the N loading by MU is quite different by region. The nitrogen loading of manure unit (MU) per ha of cultivated land was the highest in the Galmal-eup on province with 2.4 MU/ha, which i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The Seo-myeon province came next with 1.92 MU/ha. To be utilized as a valid program to build the recycling farming system, diverse measures shall be mapped out to properly determine manure units, evaluate N-loading and to properly manage their nutrient balance of each region.

      • 퇴비단 여과액비가 수경재배에서 상추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류종원,Ryoo, Jong-Won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1

        The compost leachate was dark-colored solution that leaches out of the bottom of the compost pile. The compost leachate was rich in nutrients and can potentially used in plant culture. In the organic production, commercial liquid fertilizer was used to insure the availability of nutrients during the formation of the yield. The cost of supplemental liquid fertilizer could be reduced by developing a fertilizer based on animal fertiliz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 of compost leachate and conventional inorganic solution in hydroponic culture for lettuce growth. Six different treatments were applied. The compost leachate(CL) and nutrient solution(NS) were mixed by six different mixing ratios of 0:100, 20:80, 40:60, 60:40%, 80:20 and 100%:0% based on nitrogen content. The chemical nutrient solution was the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e Research Station for the growth of leaf lettuce.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was adjusted 1.5 mS/cm in EC. The compost leachate was low in phosphorus(P), calcium(Ca), magnesium(Mg), but rich in potassium(K). The plant height of lettuce treated with CL 20+NS 80% was similar with 100% NS of control plot. Plant height was highest in the plot of CL 20+NS 80%. The treatment of 100% compost leachate was lowest i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eaf lettuce. Number of leaf was very low in 100% compost leachate compared with plot of chemical nutrient solution. In the beginning of growth stage, SPAD value was reduced in plot treated with CL100%, but CL20+NS80% plot was higher compared to 100% compost leachate. SPAD value of leaf lettuce leaves was decreased as the amount of CL was increased. The dry weight of lettuce were 107.4, 104.2g in plot of NS 100% and CL 20%+NS80%, respectively. The leaf number and plant weight were decreased at high application plots of compost leachate. The leaf lettuce showed lowest in the plot treated with 100% compost leachate, and the growth of lettuce severely decreased after application of 100% CL trea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compost leachate can be use as liquid fertilizer for the organic hydroponic production. The mixture solution of 20% of compost leachate and 80% of nutrient solution could be used as a nutrition solution in hydroponic culture of leaf lettuce. Our studies have shown that is possible to produce using compost leachate, although growth is slower than when using a conventional inorganic hydroponic solution. 본 연구는 수경재배에서 여과액비의 양액대체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양돈농가의 퇴비화 과정 중 여과되어 나오는 퇴비단여과액비(SCB액비)와 화학양액의 혼합 시용이 상추(Lactuca sativa 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수경재배 방식은 박막순환 수경재배(NFT방식)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처리는 상추의 수경재배에서 질소함량을 기준으로 여과액비와 양액의 혼합수준 처리구를 두었다. 처리구는 여과액비(CL 100%) 단독처리구, 여과액비 80% + 양액 20%(CL80% + NS20%) 혼합처리구, 여과액비 60% + 양액40%(CL 60% + NS 40%) 혼합처리구, 여과액비 40% + 양액60%(CL 40% + NS 60%) 혼합처리구, 여과액비 20% + 양액80%(CL 20% + NS 80%) 혼합처리구, 양액 100%(NS 100%) 단독처리구를 두었다. 여과액비와 양액혼합액은 전기전도도와 pH를 조정하여 상추의 양액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과액비는 칼리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질산태질소, 인산 함량이 낮아 여과액비 100% 처리구는 양분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양액재배에서 상추의 지상부의 생육이 지연되어 대조구인 양액 대비 60%의 수량을 나타내어 수량감소가 있었으나 상추유기 농 수경재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 질소기준으로 여과액비와 양액을 40%;60% 혼합시 양액 대비 10%의 수량감소가 있었으나, 여과액비와 양액을 20%:80% 혼합하여 처방 처리 할 경우 대조구인 표준양액 처리와 대등한 수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여과액비와 양액을 질소기준으로 60% 이상 혼합 할 때 양분불균형이 해소되어 화학양액 100%에 근접하는 수량을 나타내어 여과액비 수경재배 활용시 40%의 화학양액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화본과 목초의 종속간잡종 Hybrid ryegrass 와 Festulolium의 생육특성

        류종원,강정훈,한흥제,김웅배,박병훈 한국초지조사료학회 198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8 No.3

        Even though grass species are one of major importance in livestock industry, the response of intergeneric hybridization of Lolium and Festuca and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Lolium m.X Lolium p. to Korean climatic condition has not been adequately documented. This rea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Festulolium, cv. Felopa and C-Stamm N 66 and hybrid ryegrass, cv. Maja and Tetilelite. 1. The early growth of Italian ryegrass was better than that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The plant length and helght of Italian ryegrass were longerltaller than those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but the number of tillers of Italian ryegrass was less than that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2. Festulolium and hybrid ryegrass were more tolerant than Italian xyegrass to winter killing, 70-80% of tillers was survived. 3. After wintering, early spring growth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were better than that of Italian ryegrass. Dry matter yield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were more than that of Italian ryegrass. 4. Spikes of hybrid ryegrass and Festulolium (C-Stamm N66) were more than those of Italian ryegrass. Seed yield per $m^2$ of hybrid ryegrass and Italian ryegrass were almost same, but that of Festulolium was lower.

      • 한국 국토의 질소부하화 질소오염 방지대책

        류종원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199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3 No.2

        This paper was discussed N-balance of the republic of Korea. About 397Kg N/ha was inputted into the chemical fertilizer, animal feed, precipitation and nitrogen fixation. About 15kg N/ha was outputted from the Korea. The amount of N surplus was 397kg N/ha and loaded into environment. This causes the problem of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It should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situation, such as depending more on selfsufficient feed and using nutrient cycling functions of so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