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부자, 중간자, 외부자: 스페인 내전의 트라우마와 치유를 재현하는 세 방향의 시선 - 『나다』, 『카탈로니아 찬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중심으로 -

        류영지 ( Ryu¸ Youngji )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21 스페인어문학 Vol.- No.100

        In this study, I primarily aim to approach the symptoms of trauma caused by the Spanish Civil War experience depicted in three volumes of postwar literature; Nada by Carmen Laforet, Homage to Catalonia by George Orwell, and For Whom the Bell Tolls by Ernest Hemingway. Thus three authors come from different nations ─one native Spanish, others English and American, and therefore foreigners in Spain─, with different gender, and hence their memories and perspectives on the war may differ in broad terms. Nevertheless, these writers did recreate psychological aftermath due to the war in their literary works in equal. Since thus works set trauma as one of their main themes, I also target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covery and how it occurs in each composition. Through the aforementioned comparative investigation concerning the literary works from writers of distant standings, I anticipate reconstructing the post-Spanish Civil War memory and trauma, and reach the bottom of the essence of violence, and at last,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covery of the victims exposed to the extreme extent of violence.

      • KCI등재

        아이러니한 공존, 그리고 그 분열: 달리, 가르시아 로르카, 「성 세바스티안」

        류영지 ( Ryu¸ Youngji ) 고려대학교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1 스페인라틴아메리카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í)가 ‘초현실주의자’로 거듭나기 이전에 거친 단계를 추적하여, 그 예술 세계의 이론적, 사상적 기반이 형성된 과정을 탐구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가 중점적으로 조명할 시기적 범위는 달리가 마드리드 학생 기숙사에서 안달루시아 출신의 시인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Federico García Lorca)와 가장 활발하게 교류하였던 1926년부터 1929년까지로 한정하며, 이 시기를 달리의 ‘로르카 시기’로 정의하였다. ‘로르카 시기’라는 표현이 함의하듯 달리가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함에 있어 가르시아 로르카는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동안 두 예술가는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각자의 방식대로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본고는 그 중에서도 가르시아 로르카가 달리를 위해 쓴 송가와 달리의 전기 초현실주의 회화 세 점, 그리고 에세이 「성 세바스티안」에 초점을 맞춘다. 논의의 대상이 되는 작품들은 상호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로부터 화가와 시인의 관계를 읽어내는 동시에, 두 예술가의 작품 세계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In this study, I aim to follow the phase that Salvador Dalí had passed before becoming a surrealist, in order to discover how the Catalonian painter constructed his fundamental bases, both theoretic and ideologic of his artworks. The period that I mainly focus is termed as ‘Lorcaen period’(Época lorquiana, 1926-1929). As we can see from the adjective ‘Lorcaen’(Lorquiano/a), the Andalusian poet Federico García Lorca influenced the painter immensely throughout their early years. Both artists frequently communicated in this period with their creations of art ―García Lorca by his poems and Dalí by his paintings―, but among them, I mainly focus on three pieces of works: an ode for Dalí written by García Lorca, three Dalinian artworks which I define as ‘proto-surrealist trilogy’ and “Sant Sebastià”, an essay written by Dalí.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us works of art, this paper not only interpret the personal relationship of the poet and the painter, but also approach in depth to both artists’ universe of creation.

      • KCI등재

        트라우마에서 벗어나 새로운 삶으로: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살바도르 달리 作 〈육아낭이 있는 켄타우로스 가족〉 연구

        류영지 ( Jessica Youngji Ryu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24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33 No.-

        2020년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에 기증된 ‘이건희 컬렉션’의 일부인 1,400여 점의 미술품에는 카탈루냐 출신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의 1940년 작품인 〈육아낭이 있는 켄타우로스 가족〉이 포함되어 있다. 이 그림은 그 중요도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켄타우로스 가족〉에 대한 최초의 해석은 르네상스적 균형미와 조화, 그리고 고전주의로 회귀하려는 화가의 결심에 주목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없어야 할 육아낭이 그림 속의 켄타우로스에게 구태여 표현된 이유나, 이들이 ‘가족’ 단위로 등장하는 이유에 관해 충분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한다. 이 논문은 기존 해석의 공백을 채우고, 무엇보다도 ‘육아낭이 있는 켄타우로스’라는 이례적인 도상이 작품이 제작된 시기, 즉 2차 세계대전을 피해 달리가 미국 망명 생활을 시작한 1940년을 전후하여서만 사용된 이유를 추적하는 데에 목표를 둔다. 이 맥락에서 달리가 같은 시기 자기에 관한 글쓰기에 몰두하였고, 이때의 텍스트로부터 해석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주목을 요한다. 요컨대 〈켄타우로스 가족〉은 1930년대까지 고수한 초현실주의적 색채와 결별하고 다시 태어나겠다는 선언인 동시에, 같은 시기의 글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무엇보다도 어린 시절부터 유령처럼 따라다닌 근원적인 트라우마로부터 벗어나 새롭게 삶을 시작하겠다는 화가의 선언으로 2차 세계대전 이후의 달리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를 제공하는 작품이라 할 것이다. 나아가 글과 그림을 같은 층위에 두고 그 상호적 관계에 초점을 둠으로써 달리의 작품 세계에서 글쓰기가 점하는 위치에 대한 관점을 재고하는 것 또한 이 글이 추구하는 바의 하나이다. Among the collection of the late ex-president of Samsung, Lee Kun-Hee, donated to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at Gwacheon, Korea, in 2020, was a painting of Salvador Dali. Known as Family of Marsupial Centaurs, the 1940 work of the Catalan painter hitherto remains relatively less-known, quite contrary to its significance in the painter’s career. Earliest interpretations of the Marsupial Centaurs focus on its Renaissance sense of symmetry and composition and on Dali’s determination to turn to the classic. Such analysis, however, fails to explain why the centaurs are depicted as marsupials and in a family, unlike the description in classical mythology.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fill the void of interpretation and to explore why this highly unusual iconography was created and employed exclusively in the years 1940 and 1941, when Dali was in exile in the United States to avoid World War II consuming his homeland. That Dali was obsessed with writing about himself in this period is also notable, for in his contemporary texts reside clues to decipher the enigmatic painting. In short, in Family of Marsupial Centaurs, the painter manifests his break with the Surrealist era, namely between the 1920s and the 1930s, his turn to Classicism, and above all, his break from the trauma that haunted him since his youth. The painting thus provides a key to understand Dali’s postwar oeuvre.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conversation, or intertextuality between Dali’s paintings and writings, this paper also aims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the painter’s literary works in the field of Dalinia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