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uman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의 국소 세척 및 전신 투여가 미세혈관 혈전증에 미치는 영향
류승희,오희균 전남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3 구강과학 Vol.15 No.3
The needs of microvascular anastomosis or vessel graft to reconstruct maxillofacial tissue defect has been increased and a variety of attempts to improve the rate of patency has been achieved. Thrombolytic agents has been advocated in order to decrease the failure rate of microvascular anastomosis and to prevent the need for reoperation. Older thrombolytic agents, such as streptokinase or urokinase, have a significant side effects such as allergy, hyperthermia, systemic bleeding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ocal irrigation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human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which is known as effective thrombolytic agent with less systemic side effects, on patency and thrombus formation of experimental microvascular anastomoses in the traumatized femoral vein of rabbit. Nine rabbits weighing about 2㎏ were used. After exposure of both femoral veins. the veins were crushed by the jaws of smooth needle holder in order to create a thrombosis model. Transectional incision was made in the vein. The animals were then divided into 3 groups: 1) Experimental Group Ⅰ, topical irrigation of lumen with t-PA saline solution (n=6); 2) Experimental Group 2,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PA (0.75 ㎎/㎏) via the marginal ear vein for 3 days; 3) Control Group, topical irrigation of lumen with saline solution (n=6). The veins were anastomosed utilizing microvascular technique with 10-0 Ethilon. The patency was evaluated with empty-and-refill test 30 minutes and 3 days after microanastomosis. The thrombus formation was evaluated 3 days after microanastomosis by observing the thrombus with surgical microscope. The histologic findings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irty minutes after microvascular anastomosis, the patency of all Experimental Groups 1 and 2 was more improv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2. Three days after microvascular anastomosis, the patency of all Experimental Groups was much more improv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 Group 1 and Experiment Group 2. 3. Three days after microvascular anastomosis, the amount of thrombus in all Experimental Groups was much less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5). 4. In histologic findings, a lot of luminal thrombus were observed around sutured area in Control Group. Few luminal thrombus was observ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e necrotic changes were was observed in the vessel wall of all specime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opical irrigation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PA are effective measures in improving patency and preventing thrombus formation after microvascular anastomosis.
실내가장놀이와 실외가장놀이에서의 가작화와 의사소통전략에 관한 연구
류승희,최연,강의정 대불대학교 2004 大佛大學校大學院 硏究論文集 Vol.3 No.-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ake-believe and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strategy in indoor and outdoor pretend play. Its object is 50 5-year-old children who have been in tow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children who did pretend play outdoors showed higher make-believe of role, objects, actions, and situations than those who did indoors. In pretended communication strategy, the children who did outdoor pretend play showed higher cooperation and expressing feelings, but lower control and repetiton than those who did indoor pretend play. In Meta communication strategy, the children who did outdoor pretend play showed higher cooperation, however, lower control and shrink than those who did indoor pretned play.
류승희,권혜진,백경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the indicators that affect the practic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bout hand washing, and then to provide effective basic information about hand washing program that befits this life stage. 824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es 1-6 were given questionnaires at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si, Gyeonggi-do. The final results of the survey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Difference in knowledg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hand washing were as follows: gender, educated on hand washing. And difference in attitud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hand washing were as follows: grade, gender, economic status. The practice of hand wash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grade, mother's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Hand washing knowledge and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attitude and practice all showed unvarying statistical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hand washing practice as the dependent variable showed that: economic status, the mother’s education, hand washing knowledge and attitude influenced hand washing practice. these variables showed explanatory power of 27.4%. We saw that the more hand-washing knowledge one had, the better the hand-washing attitude was; and that the more hand washing knowledge one had, in combination with a better hand washing attitude, the higher the instances of hand washing practice were.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increasing hand washing practic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손 씻기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을 조사하고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손 씻기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경기도 S시에 소재하고 있는 공립초등학교 1개교에 재학 중인 남, 여 초등학생 8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기술통계, t-검정, ANOVA, Pearson's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생의 손 씻기에 대한 지식은 평균 17.36점, 손 씻기 태도는 20.26점, 실천은 27.63점이었고, 각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손 씻기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으면 손 씻기 태도가 좋고, 손 씻기에 대한 지식이 높고 태도가 좋을수록 손 씻기 실천에 적극적이었다. 손 씻기에 대한 지식은 성별, 손 씻기 교육경험, 손 씻기 태도는 학년, 성별, 가정경제상태, 손 씻기 실천은 학년, 어머니의 교육수준, 가정경제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손 씻기의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손 씻기에 대한 지식은 차이가 있었으나 손 씻기 태도, 실천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손 씻기 태도나 실천의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초등학생 가정의 경제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손 씻기에 대한 질병예방 효과 지식, 손 씻기 태도는 손 씻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고, 설명력은 27.4%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손 씻기 실천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류승희,신유란,오준범 현대경제연구원 2019 한국경제주평 Vol.841 No.-
■ 개요 최근 세계 서비스무역 규모가 확대 추세에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서비스수지는 부진한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 한국의 서비스수지는 2014년 -32.9억 달러에서 2017년 -367.3억 달러로 적자폭이 크게 확대된 후, 2018년 -297.4억 달러로 다소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 서비스수지 부문별 동향을 살펴보고, 서비스수지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서비스수지 부문별 동향 ① 주력 서비스수지 악화 (여행서비스) 서비스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여행서비스 수지는 2014년 이후 적자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2018년 -166.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최근 내국인의 해외 관광이 크게 증가한 반면, 국내 외국인 관광객은 사드 갈등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면서 여행서비스 수지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운송서비스) 최근 5년간 운송수입액이 급격히 감소하여 2016년을 기점으로 운송수지는 적자로 전환되었으나 2018년 적자폭은 소폭 축소되었다. 운송수지 적자 전환의 배경으로는 해운업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해상 화물운송의 적자폭 확대 및 사드 갈등 등으로 인한 항공운송 흑자폭 축소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건설서비스) 2018년 건설서비스 수입은 2017년 105.9억 달러에서 2018년 127.5억 달러로 증가하고 건설서비스 지급 또한 2017년 27.1억 달러에서 2018년 32.7억 달러로 소폭 증가하며 흑자폭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글로벌 건설 경기가 호황이었던 2014년 이전 수준과 비교하면 개선세는 여전히 미약한 상황이다. 최근 국제유가의 상승세 둔화 등으로 인한 중동지역의 발주 부진과 아시아 인프라 건설시장의 경쟁 심화 등이 지속됨에 따라 해외 건설수주가 감소한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② 고부가서비스수지 제한적 개선 (지식재산권서비스) 한국의 지식재산권서비스 수지는 2014년 -50.0억 달러 수준에서 2018년 -21.3억 달러 수준으로 적자폭이 축소되는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지식재산권 사용료 수입에 비해 지급이 높은 상황이다. 주요 수출 품목인 전기·전자제품 제조를 위해 미국 등에 원천기술 및 특허 사용료를 상당 부분 지불함에 따라 지식재산권 서비스 수지 적자 흐름이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및보험서비스)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점포수는 동남아지역 중심으로 2011년 359개에서 2018년 436개로 확대되는 등 금융서비스 수입이 증가하며 금융 및 보험서비스 수지가 2014년 2.7억 달러 적자에서 2018년 7.5억 달러 흑자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금융 및 보험 서비스 수입 및 지급이 전체 서비스 수입 및 지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 미만으로 여전히 미미한 수준에 머무른다. 우리나라와 산업 구조가 비교적 유사한 독일과 일본의 경우, 전체 서비스 수입 및 지급에서 금융 및 보험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기타사업서비스) 한국의 기타사업서비스 수입은 2014년 209.5억 달러에서 2018년 216.8억 달러로 증가했으나, 같은 기간 지급이 300.9억 달러에서 328.9억 달러로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타사업서비스 수지는 2014년 -91.4억 달러에서 2018년 -112.1억 달러로 적자폭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기타사업서비스는 국내기업의 해외투자 혹은 수출시장 진출에 수반되는 각종 법률, 시장 관련 서비스 등이 포함되어 제조업 및 건설업 등의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적자 흐름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③ 여전히 비중이 적은 신성장 서비스 분야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수입이 2014년 29.9억 달러에서 2018년 51.3억 달러로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수지가 같은 기간 9.7억 달러에서 21.1억 달러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전 세계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수입에서 국내 수입이 차지하는 규모나 국내 총 서비스 수입 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낮은 편이다. 2017년 기준 한국의 통신·컴퓨터·정보서비스 수입은 전 세계 수입의 약 0.7%를 차지하며, 국내 총 서비스 수입 내 비중은 2018년 5.2%로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개인·문화·여가서비스) 개인·문화·여가 서비스 중 특히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입이 2017년 6.3억 달러에서 2018년 7.7억 달러로 크게 증가하며, 흑자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콘텐츠산업 규모 자체가 아직 크지 않을뿐더러, 국내 전체 서비스 수입에서 개인·문화·여가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도 작아 영향력이 제한적이다. 한국의 콘텐츠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전 세계 시장의 2.6%를 차지하며, 국내전체 서비스 수입에서 음향영상 및 관련 서비스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0.8% 수준에 그쳐 아직 전체 서비스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 시사점 최근 서비스수지의 부진 확대는 주력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약화가 진행되고, 고부가 서비스업 및 신성장 서비스산업의 미약한 성장세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세계경제개선 지연 등으로 서비스수지 적자가 지속될 전망인 가운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주력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신성장 서비스산업 교역의 시장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첫째, 만성적인 서비스수지 적자를 방지하기 위해서 서비스업 전반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정부의 서비스업 수출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지식재산권, 금융 및 사업서비스 확대를 통해 저부가가치 서비스업 의존형 구조에서 벗어나 고부가서비스업 중심으로 서비스업 수출 구조를 재편해야 한다. 셋째, 정보통신기술(ICT), 콘텐츠 관련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성장 서비스 산업 육성을 통한 서비스업 수출 업종 다양화 노력이 필요하다.
류승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3 No.11
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강조한다는 점과 현대 사회 유아들이 미디어 환경에서 성장한다는 데 주안점을 두고, 만들어가는 교육과정과 미디어와의 만남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총 4명의 유아교사와 2명의 학부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면담과 사진, 영상 및 기록 자료를 중점 자료수집방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안에서 유아들이 필요로 하는 유튜브 동영상은 교실 내에서 또 다른 보조교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유아와 함께 하는 인터넷 쇼핑은 유아의 놀이를 지지한다는 의미를 암묵적으로 전달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부모-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안에서 유아-가정에 안내된 환경교육 유튜브 영상은 학부모가 환경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가정에서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유아의 한글 활동 영상은 유아에게는 비디오 재방문 효과가 있었으며 학급 교육과정에 관한 부모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의미가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가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 유의미하게 기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미디어를 접목시킬 수 있는 교사의 섬세한 노력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에 제시된 놀이 분석
류승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4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4 No.6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발간된 문서인 놀이이해자료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놀이이해자료에서 놀이를 어떻게 제시하고 있으며 그 방식이 적절한지 살펴보고, 놀이 연속성 개념에 근거하여 제언점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대상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에 제시된 19개의 놀이 사례 텍스트였으며, 분석을 위해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에서는 자유놀이를 여러 측면에서 강조하고 있었으며, 놀이 사례는 일정한 스토리텔링 형식이 반복적으로 적용되고 있어서 획일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놀이 연속성 개념에 근거하여 제언점을 살펴본 결과, 자유놀이만이 아니라 다른 형태의 놀이에서도 유아중심의 본질을 바탕으로 배움이 일어날 수 있음에 대해 숙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놀이 흐름 여부에 집중하기보다, 유아주도와 교사주도의 역동성을 도모함으로써 그 가운데 일어나는 교육과정의 유연한 실행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