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한양도성 우물 분포의 환경적·사회적 요인 분석

        류승혜,송효민,송성국,정무열,이성주 중부고고학회 2024 고고학 Vol.23 No.2

        이 논문은 그동안 거의 주목받지 않았던 조선시대 우물에 대한 연구이다. 한양도성에서 발굴된 118기의 우물 자료를 대상으로 고고학적 분석과 해석을 시도했다.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우물은 다섯 집 정도가 공유한 공공재로서 국가가 축조를 지원하고 관리한 사회기반 시설이었으며, 청계천 분지의 복잡한 하계망과 지형을 배경으로 분포한 물 공급 시설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우물의 형태, 입지, 분포 등이 사회적 혹은 환경적 변이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해명하고자 했다. 아울러 왕조의 개창과 함께 도시의 원형이 마련되고 이후 전란과 사회경제적 변화를 겪으면서 변해가는 도시 구조 안에서 우물의 분포는 또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검토했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들은 우물과 관련 유적들의 공간적·비공간적 속성을 추출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한양도성 우물의 입지와 분포가 해발고도, 지하수면, 하천과의 거리, 토양환경 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고 조선시대 전기, 중기, 후기 등의 시기 차이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지금까지 역사학, 고지리학, 혹은 도시공학적 연구성과를 참고하여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하계망과 토지이용 양상을 복원한 토지이용 피복지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주거와 건물의 분포가 시기적으로 달라지는 변화상과 그에 따른 우물의 분포 양상도 검토했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토대로 우물의 분포는 주거 구역의 분포 변동과 연동하며 시기적으로 전기에는 궁궐과 관아가 모여 있었던 구역을 중심으로 분포가 집중되다가 중기와 후기를 거치면서 분포가 변동하고 집중되는 구역도 이동하여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왕조 초기에 계획도시로서 그 원형이 마련된 한양도성에 양란을 거치면 인구가 증가하고 상업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거주구역이 자연발생적으로 확대되어간 도성의 사회사가 우물의 분포에 반영되어 있음이 분명해 보인다. 그에 따라 우물이 입지한 해발고도나 지하수면의 시기적 변천이 확인되고 있지만 예상했던 하천과의 거리나 토양환경과 같은 변수는 우물의 입지와 깊이, 그리고 용적에 그다지 큰 영향을 준 것 같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an exploratory review of wells in the Joseon Dynasty, which has hardly been studied archaeologically.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wells vary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altitude, groundwater level, distance to rivers, and soil environment.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attern of the distribution of wells changing over time was also examin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historical, archaeological, or urban engineering, the water network and land use in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restored, and the fluctuation of wel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private and public buildings was also analyzed. For this analysis, we first constructed a GIS database containing spatial and non-spatial attributes of 118 wells excavated in Seoul.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t became clear that the distribution of wells was linked to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area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oncentrated distribution area of wells was an area where palaces and government offices were located, but in the late stages, it moved. Seoul, which was completed as a planned ci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radually increased its population and commercial activities became active. These changes made the residential area expand spontaneously, and it seems clear that the social history of the capital city is reflected in the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wells. Accordingly, the temporal change of the altitude and groundwater level where the well is located is confirmed. However, variables such as the distance to the river and the soil environment do not seem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ocation, depth, and volume of the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